-
[김병기 ‘필향만리’] 放於利而行 多怨(방어리이행 다원)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이익을 앞세우면 원망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공자를 계승한 맹자도 특별히 이익을 경계했다. 맹자가 양혜왕을 만났을 때 양혜왕은 “장차 무엇으
-
[김병기 ‘필향만리’] 懷德(회덕)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군자는 가슴에 덕을 품고, 소인은 가슴에 땅(부동산)을 품으며, 군자는 잘못했으면 형벌을 받을 생각을 하고, 소인은 잘못을 저지르고서도 혜택을 받
-
[김병기 ‘필향만리’] 恥惡衣惡食者 未足與議也(치악의악식자 미족여의야)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누군가의 소개로 첫인사를 나누는 자리에서 ‘명품’을 확인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눈길이 내 모자로부터 신발까지 주~욱 훑고 지나가는 것을 느낄 때가 있
-
[김병기 ‘필향만리’] 朝聞道 夕死可矣(조문도 석사가의)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아침에 도를 듣는다면 저녁에 죽어도 괜찮을 것이다.” 『논어』 이인(里仁)편 제8장 구절이다. 공자님 말씀치고는 적잖이 과격하게 들린다. ‘사생유
-
[김병기 ‘필향만리’] 過也各於其黨(과야각어기당)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생긴 대로 논다’는 말이 있듯이 공자는 “잘못도 다 제 꼬락서니대로 저지르고 같은 무리끼리 저지른다”고 했다. ‘범죄는 범죄일 뿐’이라고 치부해
-
[김병기 ‘필향만리’] 無終食之間違仁(무종식지간위인)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나아갈까 말까 멈칫하는 짧은 시간을 조차(造次)라고 한다. ‘造’와 ‘次’는 흔히 ‘지을 조’ ‘버금 차’라고 훈독하지만, 여기서는 ‘나아갈 조’
-
[김병기 ‘필향만리’] 惟仁者 能好人 能惡人(유인자 능호인 능오인)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다른 사람을 미워할 자격이 없는 사람도 불쌍하지만, 좋아할 자격조차 없는 사람은 더욱 불쌍하다. 미워할 자격이 없는 사람은 “너나 잘해!”라는 핀잔
-
[김병기 ‘필향만리’] 久處約 長處樂(구처약 장처락)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어질지 못한 사람은 곤궁한 상황에도 오래 처할 수 없으며, 즐거운 상황에도 오래 처할 수 없다”라고 했다. 『논어』 이인 편 제2장의 말이
-
[김병기 ‘필향만리’] 里仁爲美(이인위미)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가 말했다. “인(仁·어짊)이 있는 마을이 아름답다. 인(仁)한 마을을 택하여 살면서도 인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어찌 지혜롭다고 할 수 있
-
[김병기 ‘필향만리’] 吾何以觀之哉(오하이관지재)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가 말했다. “윗자리에 있으면서 너그럽지 못하고(居上不寬), 예를 행하면서 공경스럽지 않으며(爲禮不敬), 상(喪)을 당하여 슬퍼하지 않는다면(臨
-
[김병기 ‘필향만리’] 盡美盡善(진미진선)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순임금 시대의 음악인 ‘소(韶)’에 대해서는 “지극히 아름다우면서 지극히 선하기도 하다(盡美矣又盡善, 矣 어조사 의, 又 또 우)”고 평하였
-
[김병기 ‘필향만리’] 木鐸(목탁)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의(儀)’지역에서 ‘봉인(封人)’ 벼슬을 하던 사람이 공자를 뵙고서 감동한 나머지 공자의 제자들을 향해 “하늘이 장차 그대들의 스승을 목탁(木鐸)
-
[김병기 ‘필향만리’] 旣往不咎(기왕불구)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의 제자 재여(宰予)가 큰 실수를 했다. 노나라의 왕 애공이 토지신에게 제사 지낼 때 신주로 사용하는 나무에 대해 묻자, 재여는 “하후씨는 소나
-
[김병기 ‘필향만리’] 樂而不淫, 哀而不傷(낙이불음 애이불상)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제자들을 가르치는 교재의 하나로 주나라 때 『시(詩)』를 사용했는데 제1장인 ‘관저편’에 대해 “즐거우면서도 넘침이 없고, 슬프지만 몸과 마
-
[김병기 ‘필향만리’] 射不主皮(사부주피)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과녁의 어원은 ‘관혁(貫革)’에 있다. 고대에 군자의 스포츠였던 활쏘기를 할 때 두꺼운 베로 만든 과녁판 가운데에 가죽(革:가죽 혁)을 붙여서 표적
-
[김병기 ‘필향만리’] 入太廟 每事問(입태묘 매사문)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태묘(太廟)는 문자 그대로 ‘큰 사당’이라는 뜻이다. 우리나라로 치자면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神主)를 모신 왕실 사당인 종묘를 말한다.
-
[김병기 ‘필향만리’] 獲罪於天 無所禱也(획죄어천 무소도야)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지난 회 칼럼에서 공자님 당시 민간에는 “아랫목 신보다는 부엌 신에게 빌어라”라는 속어가 유행했음을 말했었다. 왕인 영공(靈公)에게 충성하기보다는
-
[김병기 ‘필향만리’] 寧媚於竈(영미어조)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은 공자님 때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공자님 당시에도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한때 유행했던 ‘핵관(핵심관계자)’
-
[김병기 ‘필향만리’] 始可與言詩已矣(시가여언시이의)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앞 회에서 살폈듯이 “본바탕으로 아름다움을 삼았다(素以爲絢)”라는 옛 시의 뜻을 묻는 자하에게 공자는 “회사후소(繪事後素)”, 즉 “그림 그리는 일
-
[김병기 ‘필향만리’] 繪事後素(회사후소)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회사후소(繪事後素)! 『논어』에서 특히 많이 인용하는 명구 중의 하나다. 대개 “그림 그리는 일은 바탕(캔버스)을 먼저 마련한다”라고 해석하고, ‘
-
[김병기 ‘필향만리’] 其爭也君子(기쟁야군자)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잘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세상에서 경쟁은 필연적이며 역사와 문화발전의 필수동력이기도 하다. 경쟁은 본래 나쁜 게 아니었다. 좋은 쪽, 잘하는 쪽을
-
[김병기 ‘필향만리’] 禮 與其奢也 寧儉(예 여기사야 영검)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임방(林放)이라는 사람이 예(禮)의 근본에 대해 묻자, 공자는 “질문이 참 크군요! 예는 사치스럽기보다는 차라리 검소해야 합니다(禮 與其奢也 寧儉)
-
[김병기 ‘필향만리’] 孰不可忍也(숙불가인야)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주나라 때의 예법에 의하면 천자는 궁정에서 8인×8열 즉 64명이 춤을 추게 할 수 있고, 제후는 6인×6열, 대부(大夫)는 4인×4열, 사(士)는
-
[김병기 ‘필향만리’] 十世可知也(십세가지야)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10세(世) 후를 알 수 있습니까?”라는 제자의 물음에 대해 공자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은나라는 하나라의 예법(禮法)에 기인하고 있으니 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