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호의 시시각각] 한국 후려친 중국의 첨단 기술
김동호 경제에디터 중국 화웨이가 자체 모바일 프로세서(AP)를 내놓자 미국의 반응이 날카롭다. 중국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 SMIC가 생산해 화웨이 메이트60 프로에 탑재한 기
-
[김동호의 시시각각] 중국에 스며드는 재패니피케이션
김동호 경제에디터 아무도 미처 예상하지 못했다.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가능성 얘기다. 중국 경제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전망은 벌써 2008년 베이징올림픽 이전부터 나왔다. 고도성
-
[김동호의 시시각각] ‘잃어버린 30년’ 탈출하는 일본 경제
김동호 논설위원 디플레이션 사실상 막 내리고 반도체 부활에 임금도 오름세 한국에 미치는 영향 주시해야 일본 경제가 꿈틀댄다. 30년 만의 변화 조짐이다. 1990년 무렵 버블
-
[김동호의 시시각각] 미들파워 대한민국
김동호 경제에디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의 유튜브 중계는 윤석열 대통령의 말대로 불쾌한 장면이었다. “미국 승리에 베팅하면 후회한다” “중국몽 의지를
-
[김동호의 시시각각] 위선적 정책들의 비극적 결말
김동호 경제에디터 MZ세대는 기성세대와는 다른 세상에서 살고 있다. 경제 규모 10위 국가에 살고 있는데 무슨 걱정이 있을까 싶지만 취업은 물론 평생 집 한 채 마련이 어려운 세
-
[김동호의 시시각각] 한국 덮친 설익은 선진국 증후군
김동호 경제에디터 나라의 곳간이 바닥을 드러내고 경제성장률은 1%도 힘겨워졌다. 개인에 비유하면 저축은 없는데 소득은 제자리걸음이다. 결국 부족한 돈은 마이너스 통장에 기댄다.
-
[김동호의 시시각각] 일본의 집단 망각과 반도체 부활 꿈
김동호 경제에디터 일본이 달라지고 있다. 저무는 태양이라고 보면 오산이다. 한국 일각에선 일본의 무기력을 가리켜 ‘잃어버린 40년’이라고 단순화하기도 한다. 그런 생각을 가졌다면
-
[김동호의 시시각각] 대통령 참모는 한 수 더 봐야 한다
김동호 경제에디터 한국전력은 지난해 33조원에 달하는 적자를 냈다. 적자 행진은 올해도 계속된다. 원가보다 턱없이 싼 전기요금을 받고 있어서다. 결국 적자가 쌓일 수밖에 없고,
-
[김동호의 시시각각] 알파고와 비교 안 되는 챗GPT 충격
김동호 경제에디터 챗GPT가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스마트폰에서 챗GPT 앱을 깔았다. 몇 가지 질문을 넣어봤더니 지적 충격이 몰려왔다. 인공지능(AI)과 실시간 대
-
[김동호의 시시각각] 벌써 궁금해지는 169석의 운명
김동호 경제에디터 진짜 의문이다. 169석을 앞세워 윤석열 정부의 정책적 선택을 줄줄이 가로막는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총선에서 국민에게 어떤 선택을 받을까. 그 선택의 날이 내년
-
[김동호의 시시각각] 일본 기자, 중국 기자와의 대화
김동호 경제에디터 최근 일본 기자들과 한·일 언론 협력 방안을 논의할 기회가 있었다. 일본 기자와 한국 기자들은 서로를 훤하게 꿰뚫고 있다. 양국 국내 정치가 국경을 넘어 외교적
-
[김동호의 시시각각] 선을 넘는 대통령 흠집 내기
김동호 경제에디터 윤석열 대통령을 향한 인신공격이 선을 넘고 있다. “바지를 거꾸로 입었다.” “김앤장 변호사 30명과 청담동에서 새벽 3시까지 술을 마시고 동백아가씨 노래를 불
-
[김동호의 시시각각] 일본의 침체, 강 건너 불 아니다
김동호 논설위원 일본의 추락이 확연하다. 세계 2위 경제 대국 자리를 2010년 중국에 내줄 때만 해도 이렇게까지 될 줄은 몰랐다. 그 양상을 들여다보자. 먼저 일본인의 경제력이
-
[김동호의 시시각각]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고 비통하다
김동호 논설위원 기분 좋게 길을 걷다가 압사한다는 걸 누가 상상이나 했을까. 전 국민이 침울하고, 해외에서도 애도의 메시지가 쏟아지고 있다. 이 비극에 대한 분석도 꼬리를 물고
-
[김동호의 시시각각] 친일 프레임, 그 진부함에 대하여
김동호 논설위원 정치권이 해묵은 친일 논란으로 격전을 벌이고 있다. 힘을 모아도 모자랄 판에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정치권의 친일파 소환은 이제 너무 진부하고 상투적이며 시대착
-
[김동호의 시시각각] 대통령의 화두
김동호 논설위원 윤석열 대통령은 “구두 밑창이 닳도록 일하자”고 했다. 실제로 윤 대통령은 민생 현장을 부지런히 다니고 있다. 하지만 국정 수행 지지율은 20%대를 맴돈다. 대통
-
[김동호의 시시각각] 보호무역주의 본능 드러낸 미국
김동호 논설위원 미국의 ‘바이 아메리칸’(미국 제품 구매) 정책이 우리 국민·정부·기업을 당혹스럽게 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에 지급하는 7500달러(약 1050만원)의 보조금
-
[김동호의 시시각각] 핵관들과 헤어질 결심
김동호 논설위원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고 처음으로 맞이하는 추석이 임박했다. 모처럼 평온한 시간이다. 하지만 이번 연휴 중에도 인터넷이나 TV를 통해 정치권의 막장극이 중계될 것이
-
[김동호의 시시각각] 알면서도 당하는 금리의 역습
김동호 논설위원 ‘빚투’ ‘영끌’이 회자한 건 불과 3~4년밖에 안 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추세적으로 나타난 역사적 저금리의 끝단을 장식한 말들이다. 빚내
-
[김동호의 시시각각] 한동훈의 솜씨 보여줄 이민청 설립
김동호 논설위원 한국에서 100년 넘게 대를 이어 살아온 인요한 연세대 의대 교수와 지리산 여행을 갔을 때다. 삼겹살을 구우며 동반자들에게 “왜 빨리 안 마시고 빼냐”며 연신 소
-
[김동호의 시시각각] 윤 정부 지지율 회복이 필요한 이유
김동호 논설위원 윤석열 대통령이 “전 정권 장관 중 이렇게 훌륭한 사람 봤느냐”(지난 5일)고 한 데 이어 장차관 워크숍에서 “정부 구성은 잘된 것 같다”(지난 22일)고 했다.
-
[김동호의 시시각각] 경제는 언제나 정치 문제였다
김동호 논설위원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이겨낸 한국 앞에 글로벌 경기 침체의 거대한 소용돌이가 휘몰아치고 있다. 그 결말은 어떻게 될까. 한국은 이번에
-
[김동호의 시시각각] 최장수 경제수석 사공일의 당부
김동호 논설위원 윤석열 대통령은 출근할 때마다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다. 국정 현안을 소상하게 설명한다. 복잡한 국정이 명쾌해진다. 바로 교통정리가 되니까 자동차가 교차로를 술술
-
[김동호의 시시각각] 위기관리 시험대 오른 편중 인사
━ 대통령 탈 청와대, 기자문답 긍정적 ━ 경제 위기 태풍 몰아쳐 민생은 불안 ━ 다양한 인재 써 위기 대응력 높여야 김동호 논설위원 윤석열 대통령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