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진핑-푸틴, 우크라 문제 공조 약속…391일차 항전 계속된다 [타임라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키이우 시간, 한국시간-7시간) ※2022년 2월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일차부터 매일 업데이트 중입니다. ▶3월 21일 침공 3
-
대홍수 1년뒤 말라버린 강…지구가 미쳤다, 더 빨라진 기후재앙
최근 독일에서는 오랜 가뭄으로 라인 강이 말라버렸다. 석탄을 운송하기 어려워지면서 일부 석탄화력발전소는 발전량을 줄여야 하는 처지가 됐다. 하지만 불과 1년 전인 지난해 7월 독
-
러, 극초음속 미사일 동원해 공습…우크라 결사항전 337일차 [타임라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키이우 시간, 한국시간-6시간) ▶1월 26일 침공 337일차 오전/ 러, kh-47 킨잘 극초음속 미사일까지 동원해 우크라 전역에 대대적
-
나무 속 체리 익어버렸다…기후변화에 위협받는 밥상물가
지난 6월 미국 켄터키주 셸비빌에 위치한 농장에서 콤바인 수확기로 밀을 수확하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이라크 중부에 위치한 한 마을에서 밀 농사를 짓는 세이크 카짐 알 카비
-
[라이프 트렌드&] 미래 세대 위한 실감나는 '실감형 에너지 박물관' 선보인다
에너지산업 발전 과정과 신재생 에너지 전환 현장을 느낄 수 있는 디지털 공간을 웹사이트로 구축하는 ‘실감형 에너지박물관’이 제작되고 있다. 이미지는 실감형 에너지박물관을 위해 3
-
[사랑방] 중앙일보, KBCSD 언론상 대상
중앙일보 , KBCSD 언론상 대상 국내·외 기후 위기를 심층 취재한 중앙일보 창간기획 ‘기후재앙 눈앞에 보다’가 제15회 KBCSD 언론상 대상을 받았다. 이 상은 한국 사회와
-
중앙일보 '기후재앙 눈앞에 보다' KBCSD 언론상 대상
제15회 KBCSD 언론상 대상을 받은 중앙일보 창간기획팀. 중앙일보 창간기획 '기후재앙 눈앞에 보다'가 제15회 KBCSD 언론상 대상을 받았다. 국내·외 기후 위기를 심층적으
-
중앙일보 ‘듣똑라’ ‘기후재앙’ 팀, 한국디지털저널리즘 어워드 수상
중앙일보 ‘듣똑라’와 ‘기후재앙 눈앞에 보다’ 제작팀이 26일 한국온라인편집기자협회(회장 최락선)가 주최한 제9회 한국디지털저널리즘 어워드에 선정됐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부문에
-
중앙일보 '듣똑라' '기후재앙', 디지털저널리즘 어워드 수상
디지털스페셜 '기후재앙 눈앞에 보다'(https:www.joongang.co.kr/DigitalSpecial/434) 새로운 온라인 저널리즘을 시도한 중앙일보 ‘듣똑라’와 ‘기후
-
중앙일보 '기후재앙…' 취재팀, 올해의 '과학언론상' 수상
27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과학기자상 시상식에서 올해의 의과학취재상을 받은 '기후재앙 눈앞에 보다' 특별취재팀 기자들. 과학기자협회 올 한해 과학과 의학, 환경 분야에서 두드
-
유엔 “21세기 들어 기후재난 급증…경제적 손실만 3400조원”
미 캘리포니아의 한 주택이 화재로 인해 불타고 있다. AP=연합뉴스 21세기 들어 이상기후로 인한 재난이 급증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후변화가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심각
-
1초마다 수영장 7개 빙하 사라진다···기후재앙의 충격적 모습
7월 17일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의 숲이 불타면서 희뿌연 연기를 뿜고 있다. 올여름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찾아오면서 시베리아 전체가 화재로 몸살을 앓았다. 로이터=연합뉴
-
1초마다 수영장 7개 빙하 사라진다···기후재앙의 충격적 모습
7월 17일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의 숲이 불타면서 희뿌연 연기를 뿜고 있다. 올여름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찾아오면서 시베리아 전체가 화재로 몸살을 앓았다. 로이터=연합뉴
-
나무의 무덤·불타는 동토·사라지는 빙하…기후재앙의 참혹한 흔적들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주변 구상나무 집단 고사 현장. 조현우 사진작가 역대 가장 길었던 장마와 홍수, 미 캘리포니아를 집어삼킨 초대형 산불, 시베리아의 역대급 폭염. 올해 사람들
-
360도로 본 세계 최대 산호초의 '하얀 비명'[VR 영상]
지난달 23일 촬영한 호주 북동부 바다에 있는 세계 최대 산호초 '그레이트배리어리프'. 백화 현상을 앓아 색을 잃은 산호를 360도 VR카메라에 담았다. 사진 리처드 피츠패트릭
-
다음 세대에 '산호초'는 없다…美·日·대만 퍼진 '하얀 죽음'
지난달 대만 남부 켄팅 주변 바다 속의 한 산호가 백화 현상을 겪어 새하얗게 변했다. 대만 남부 바다는 올해 들어 관측 이래 가장 높은 수온을 기록했다. [사진 그린피스] "다음
-
동토 시베리아가 38도 폭염…땅속 '좀비'들이 살아났다
지난달 불에 완전히 타버려 잿빛 폐허로 변해버린 러시아 사하공화국의 빌류이스키 숲. 화재 직전 울창했던 숲에선 더이상 생명의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다. 사진 sreda studio
-
동토 시베리아가 38도 폭염…땅속 '좀비'들이 살아났다
지난달 불에 완전히 타버려 잿빛 폐허로 변해버린 러시아 사하공화국의 빌류이스키 숲. 화재 직전 울창했던 숲에선 더이상 생명의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다. 사진 sreda studio
-
연중 대형산불 겪는 한국…'산불 조심 기간' 이젠 의미 없다
지난 5월 1일 강원 고성군 토성면 도원리에서 발생해 강한 바람을 타고 주변지역으로 번진 산불이 맹렬한 기세로 산림을 집어삼키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러시아 시베리아, 미국 캘리
-
잠자고 있던 치명적 바이러스 깨운다…시베리아 동토의 배신
올 1월 러시아의 시베리아 동부 사할린 섬에서 거대한 얼음 땅 사이로 물이 흐르는 모습. AP=연합뉴스 지난달 러시아 동부 사하공화국 야쿠츠크시의 멜니코프 동토연구소 지하엔 커다
-
잠자고 있던 치명적 바이러스 깨운다…시베리아 동토의 배신
올 1월 러시아의 시베리아 동부 사할린 섬에서 거대한 얼음 땅 사이로 물이 흐르는 모습. AP=연합뉴스 지난달 러시아 동부 사하공화국 야쿠츠크시의 멜니코프 동토연구소 지하엔 커다
-
[VR 영상] 그린란드선 모기장 뒤집어썼다, 빙하 눈물의 저주
그린란드 중서부에 있는 러셀 빙하의 모습. 가운데에 얼음이 무너져내린 흔적이 있다. 앞에는 빙하가 녹아 만들어진 물줄기가 흐르고 있다. 김인숙 12일 그린란드 중서부의 캉갈루수악
-
사라지는 빙하의 습격...10년뒤 인천공항 완전히 집어삼킬판
그린란드 남동부 지역에 있는 빙하 일부가 무너져 내리는 모습. AFP=연합뉴스 “해수면이 30㎝만 높아져도 부산 해운대, 인천 송도 같은 해안 도시엔 어마어마한 침수 피해가 발생
-
360도로 본 충격 장면, 한라산 크리스마스 나무의 죽음 [VR영상]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1700m 고지 주변에 구상나무가 집단으로 고사한 모습. 조현우 사진작가 제주 한라산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넓은 구상나무 숲이 있다. 크리스마스트리로도 유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