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달리 붉은데 왜 ‘흑매화’? 한밤 화엄사가 황홀한 이유 유료 전용
‘흑매화’라고 들어 보셨나요? 전남 구례 화엄사에 가면 ‘흑매화’가 있습니다. 말 그대로 진짜 검은 매화일까요? 사실인즉슨 이러합니다. 원래 붉은 매화입니다. 그런데 유달
-
춥건 말건 먼저 꽃 틔운다…‘변산아씨’ 독한 생존 전략 유료 전용
봄인가 했더니 별안간 한겨울이 됩니다. 기온이 영상 20도에서 영하 10도로 쑥 내려가니 말입니다. 해도 해도 너무하다 싶은 꽃샘추위니 ‘변산아씨’가 얼지나 않았을까 염려됩
-
어느 볕 좋은 날 만난 봄처녀…‘야생 백합’ 산자고 아시나요 유료 전용
땅에서 봄기운이 올랐나 하여 바닥을 훑었습니다. 해 뜨기 전이라 제법 쌀쌀했습니다만, 그래도 남쪽인 목포니 뭐라도 눈에 띌 듯했습니다. 그러다 산자고를 만났습니다. ‘야생 백
-
황금나무 소문 듣고 가봤다, 거기엔 황금오리도 있었다 유료 전용
언제부턴가 충남 예산군 예당저수지에 ‘황금 나무’가 있다는 소문이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그 소문에 사람들이 몰려들기 시작했죠. 죄다 카메라 하나씩 들고 황금 나무 앞으로
-
작은 물방울이 3m 솟았다, 한파가 빚은 겨울왕국 유료 전용
역고드름을 보신 적 있나요? 고드름은 다 아실 터입니다. 처마에 주렁주렁 달려 아래로 쑥쑥 자라는 고드름이야 겨울이면 심심찮게 볼 수 있죠. 하지만 역고드름
-
다 같은 복수초가 아니다, 플래시 켜자 펼쳐진 ‘환상’ 유료 전용
눈 온 날, 동해시 냉천 공원을 찾았습니다. 냉천(冷泉)은 예로부터 찬물이 샘솟는 샘이라 하여 ‘찬물 내기’로도 불립니다. 눈 온 날 이곳을 찾은 이유는 복수초 때문입니다.
-
제 살을 버린 ‘나목의 사연’…겨울 자작나무숲 꼭 가보라 유료 전용
지난해 늦가을부터 눈을 기다렸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작나무 숲에 눈이 오길 기다린 겁니다. 지난해 11월, 숲 해설가가 겨울 자작나무 숲을 꼭 보
-
가히 은하수 당길 만하다, 3만보로 품은 ‘한라의 기운’ 유료 전용
제주에 도착해서부터 눈은 한라산을 좇았습니다. ‘제주가 한라산이고, 한라산이 제주다’라는 말이 있듯 어딜 가든 한라산이 보입니다. 그러니 보이는 족족 한라산을 살폈습니다.
-
오늘의 The JoongAng Plus
━ 삼성연구 삼성연구 “그날 회사가 내 혼 가져갔다” 삼성 사장으로 산다는 것 삼성 사장으로 산다는 건 어떤 걸까요? 김영기(전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 고문은 “
-
손전등 하나 비췄을 뿐인데…더 고고해진 강릉 매화꽃 유료 전용
어둑할 무렵 강릉에 도착했습니다. 매화를 볼 요량이었습니다. 1월에, 이 엄동설한에 핀 매화라니 그냥 지나칠 수 없었습니다. 1월 매화가 핀 곳은 강릉 대도호부관아입니다.
-
‘열두굽 돌아도 길은 길이다’…속리산 관문, 천년의 말티재 유료 전용
눈 오는 날, 어디로 갈까 궁리하다가 길이 떠올랐습니다. 어디로든 가는 길이되, 아름답기까지 하다면 더할 나위 없을 길을 찾아 나서기로 작정한 겁니다. 지난가을에 봐
-
‘뚜루루루’ 운다고 두루미? ‘두루두루’ 어울려 두루미! 유료 전용
이른 아침에 철원 들녘을 지나다가 먼발치에 옹기종기 모인 무엇을 보았습니다. 희끄무레한 잿빛의 꿈틀거림, 재두루미 무리임이 직감되었습니다. 600㎜ 망원렌즈를 꺼내
-
한국의 나이아가라, 직탕폭포…셔터스피드가 만든 두 이야기 유료 전용
겨우내 매서운 추위가 이어집니다. 가히 동장군이라 할 만큼 시린 겨울입니다. 온통 꽁꽁 어니 불현듯 철원의 직탕폭포가 어른거렸습니다. 직탕폭포 ‘한국의 나이아가라’라 일컬어지
-
오늘의 The JoongAng Plus
━ 특수부 비망록② 노무현 “우린 끝까지 올라오노? 대통령이라고 봐주는 게 없네” 2003년 대선 수사 기획관의 기억. “노 대통령이 ‘한나라는 수사하다 중간에 끊
-
백조의 호수? 백조의 한강!…50m 먼 거리 그들 찍은 ‘꼼수’ 유료 전용
하늘을 나는 백조를 본 게 2020년 1월이었습니다. 경기도 양평 남한강가를 걷는데 하늘에서 꽤 큰 소리가 들렸습니다. 놀랄 만큼의 괴성에 고개를 올려다봤습니다. 신기하게도
-
수년간 벼른 ‘부소담악’ 설경…산과 물, 서로 700m 품었다 유료 전용
눈 예보에 부소담악(芙沼潭岳)이 단박에 떠올랐습니다. 오래전부터 부소담악의 설경을 오매불망했던 터였기 때문입니다. 부소담악을 이름으로 풀자면 이러합니다. 부소(芙沼)는 부소머
-
누가 싸리비를 뒤집어 놨나…그 정체 알려준 한 통의 전화 유료 전용
서울 강변북로나 올림픽대로를 달리다 보면 한강 고수부지에 늘어선 키다리 나무가 보입니다. 훤칠한 키에 미끈하게 뻗은 자태이니 먼발치에서도 도드라져 보입니다. 짐작건
-
어느 사진이 더 나은가요…‘노출값’ 이렇게 중요합니다 유료 전용
날이 한순간에 차졌습니다. 하루아침에 겨울로 들어선 느낌입니다. 찬 겨울을 제대로 느끼기엔 저수지만 한 곳이 없습니다. 한낮에 비교적 따뜻한 햇볕을 받았던 저수지의 물이
-
오늘의 The JoongAng Plus
━ 특수부 비망록 얼떨결에 녹음된 ‘SK 100억’ 대선자금 수사 시작이었다 ‘특수부 비망록’ 첫 번째 순서로 ‘노무현 전 대통령과 640만 달러 수수 의혹 사건’을
-
영하 2도, 습도 85% 그날…군사지역에 나타난 ‘비밀의 정원’ 유료 전용
언제부턴가 이맘때면 사진가들이 강원도 인제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쉬쉬하며 어둠을 틈타 조심스레 그곳을 찾았습니다. 그러고는 그곳을 ‘비밀의 정원’이라 이름하였습니다.
-
공작단풍·물단풍·단풍약수…가을 청와대를 본 적 있나요 유료 전용
가을 청와대를 본 적이 있나요? 청와대와 인연이 있는 이들을 빼면 국민 대다수는 본 적이 없을 겁니다. 1939년 일제 조선총독 관저 시절부터 83년, 1948년 대한민국 정
-
해, 폰, 은행나무 한줄 선 순간…800살 더 샛노랗게 빛났다 유료 전용
반계리 은행나무가 샛노랗게 물들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그곳으로 내쳐 달렸습니다. 적어도 800살이 넘으며, 천연기념물인 그 나무가 물든 모습을 수년간 오매불망하던 터였습니다.
-
내 폰이 가을을 품었다 [권혁재의 사진톡톡]
■ 「 사진으로 소통하는 시대입니다. 친구들의 단톡방에서 사진으로 안부와 근황을 주고 받는 게 필수죠. SNS에서 생각을 담은 사진으로 소통도 하고요. 백문이불여일견이듯 사진
-
빗방울이 들국화 품은 날, 내 폰은 그 빗방울 품었다 유료 전용
가을비 오는 날, 인천의 국야(菊野) 농원을 찾았습니다. 농원은 국야(菊野)란 이름 그대로 들국화를 키우는 곳입니다. 무려 300여 종 들국화가 한창이라는 소식에 들른 겁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