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덕노의 식탁 위 중국] 마라탕과 불로장생 환상
마라탕. 셔터스톡 최근 수년간 우리나라에서 핫(hot)하게 유행했던 중국 음식 중 하나가 마라탕이다. 정확하게는 마라탕을 비롯해 충칭훠궈, 마라샹궈, 마라룽샤 등 마라 소스를 사
-
[한 週 漢字] 祝融(축융)-‘주룽’ 아닌 ‘축융’으로 읽어야
한자 6/19 우주 개발 전쟁이 한창이다. 테슬라 CEO(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가 다행성(多行星) 인류를 창안한 것이 큰 계기였다. 화성에 도시를 건설해 다른 행성에서도 인류
-
이사·도잠에 대한 관조와 사색 어린 글
시간의 압력-불멸의 인물 탐구 시간의 압력 -불멸의 인물 탐구 샤리쥔 지음 홍상훈 옮김 글항아리 자신의 사색을 통해 고전의 인물을 관조하는 글을 만나는 건 쉽지 않다. 요즘
-
BTS·이효리 죄다 때린 中 '분노청년'…누가 그들을 키웠나
중국 택배업체 중통이 BTS 제품의 운송을 중지한다는 공지(왼쪽)와 중국인들이 SNS에서 이효리를 비난하는 글. [웨이보·인스타그램 캡처] 지난해 7월 가수 이효리가 MBC 예능
-
한국은 교만하다? BTS에 화내는 중국 분노청년 세대 심리
그룹 방탄소년단 [연합뉴스] 지난해 7월 가수 이효리가 MBC 예능 '놀면 뭐하니'에서 자신의 예명으로 "마오 어때요"라고 했다가 중국 네티즌들의 집중 공격을 받으며 결국 인스타
-
[책꽂이] 중국 인문 기행 3 外
중국 인문 기행 3 중국 인문 기행 3(송재소 지음, 창비)=유려한 한문 번역으로 이름난 송재소 성균관대 명예교수의 기행문. 강서성·안휘성을 답사한 1권, 절강성·강소성을 찾은
-
[시조가 있는 아침] (33) 경세가(警世歌)
유자효 시인 경세가(警世歌) 김수장 (1690∼?) 검으면 희다하고 희면 검다하네 검거나 희거나 옳다할 이 전혀 없다 차라리 귀먹고 눈감아 듣도 보도 말리라 - 해동가요(海東歌謠
-
‘죽림칠현’ 칭송 들었던 양셴이, 자본주의 정보원 취급받아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629〉 다이가 세상을 떠난 후 양셴이(앞줄 오른쪽)는 황먀오즈(가운데)의 서화와 산문을 즐기고, 딩충(앞줄 왼쪽)의 시사만화에
-
원로작가 양셴이 별세, 중화권 ‘중국 통째로 번역’ 추모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628〉 양셴이(뒷줄 오른쪽 다섯째)의 집에는 늘 문화인들이 붐볐다. 뒷줄 왼쪽 첫째가 혁명만화가 딩충(丁聰). 둘째는 명 극작
-
[중앙시평] 정의와 불의: 한국은 지금 어디로 가는가?
박명림 연세대교수·김대중도서관장 정치의 사법화와 도덕의 정치화가 절정이다. 정치의 요체인 가치와 목표, 대화와 타협, 포용과 공존은 사라지고 구호와 진영, 사법과 형사(刑事),
-
한국의 문화유산 등재 소식에 분노하는 중국인, 왜?
2019년 7월, 한국의 서원 9곳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문제는 한국의 문화유산 등록에 중국인들이 공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중국인들은 위챗 등 중국 SNS에서 ‘한
-
여섯 살 때 귀양 갔던 이준경 '복수의 칼' 쓰지 않은 까닭
━ [더,오래] 김준태의 자강불식(9)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준경(1499~1572)의 시문집, '동고유고' [사진 디지털청주문화대전] 1504년(연산군
-
복수는 나의 힘, 그러나 소원 이룬 오자서의 비참한 최후
━ [더,오래] 김준태의 자강불식(8) 오자서 동상. 오자서는 마음속에 칼날을 품고 복수할 날만을 기다렸다. [사진 위키백과] 자신을 더욱 강하게 만드는데 ‘복수심’만
-
왕도 극한직업? 한글창제 때 기력 소진한 세종, 지팡이 의지
━ [더,오래] 김준태의 자강불식(7) "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4/
-
"날 위해 슬퍼말라" 자살한 굴원이 오래 추모되는 이유
━ [더,오래] 김준태의 자강불식(6) 중국 굴원사당에 세워진 굴원(BC 343년 추정 ~ BC 278년 추정)의 동상. [중앙포토] 말할 수 없이 무도한 세상을 만나
-
[이훈범의 문명기행] 패권 향배의 나침반에서 인간사 희로애락까지 … 북한산
이훈범 논설위원 ‘문명기행’의 출발지는 북한산이다. “거창한 이름을 내걸고 고작 앞산 가냐”는 비아냥 있을 수 있겠다. 하지만 첫걸음으로 그 이상 좋은 곳을 찾지 못했다. 우선
-
죽음 대신 거세당하고 진실을 기록했던 사람
━ [더,오래] 김준태의 후반전(5) 그대는 사랑의 기억도 없을 것이다긴 낮 긴 밤을멀미같이 시간을 앓았을 것이다천형 때문에 홀로 앉아글을 썼던 사람육체를 거세당하고인생을 거세당
-
‘중국 피카소’ 치바이스, 노동자 사랑 묘사했죠
중국 후난성 상탄시 ‘치바이스 기념관’에서 송재소 교수가 치바이스의 화론(畵論)을 설명하고 있다. 중국을 여행하는 길이 다채로워지면서 심도 있는 주제 기행을 찾는 이들이 늘었다.
-
[글로벌 아이] 백 년 정당의 꿈
신경진베이징 특파원“갈 길이 아득히 멀어도 나는 온 힘을 다해 탐구하겠다(路曼曼其修遠兮 吾將上下而求索).”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진리를 찾으려는 초(楚)나라 시인 굴원(屈原)의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44)
경복궁 경회루 앞 수정전. 그 앞에 집현전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집현전 초석이었을 가능성이 있는 석재를 감싸고 있던 사진 속 나무는 2년 전까지 서 있었으나 최근 ‘정비’라는 이
-
단오의 유래, 한국 단오제는 중국과는 달라…그 기원은 언제일까?
단오의 유래 ‘단오의 유래’ 단오의 유래, 한국 단오제는 중국과는 달라…그 기원은? 한국 단오제(端午際)와 중국 단오절(端午節)은 기원부터 다르다. 단오 전문가인 강릉대 국문과 장
-
단오의 유래, 한국 단오제는 중국과는 달라…어디서 왔을까?
단오의 유래 ‘단오의 유래’ 단오의 유래, 한국 단오제는 중국과는 달라…그 기원은? 한국 단오제(端午際)와 중국 단오절(端午節)은 기원부터 다르다. 단오 전문가인 강릉대 국문과 장
-
단오의 유래, 한국 단오제는 중국과는 달라…그 기원은?
단오의 유래 ‘단오의 유래’ 단오의 유래, 한국 단오제는 중국과는 달라…그 기원은? 한국 단오제(端午際)와 중국 단오절(端午節)은 기원부터 다르다. 단오 전문가인 강릉대 국문과 장
-
도은과 삼봉, 정치는 나눌 수 없었지만 茶 나누던 ‘절친’
17세기에 그려진 이경윤의 월하탄금도. 달밤에 거문고를 연주하며 즐기는 문인들의 여유로운 모습이 잘 묘사돼 있다. 탈속을 누리는 문인들의 곁에는 언제나 차가 함께 있었다. [고려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