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왕족과 재벌이 이 집 단골…샤넬도 반한 '금박 장인'
━ 가업 잇는 문화재 장인 김기호(왼쪽)·박수영 금박장 부부가 서울 종로구의 작업실에 걸린 녹원삼 앞에서 포즈를 취하는 모습. 녹원삼은 조선시대 세자빈·공주·옹주의 예복
-
삼성 그만두고 가업의 길로…샤넬도 인정한 금박 장인 부부 [가업 장인을 찾아서]
붉은 댕기 위에 금박풀을 입힌 문양판을 두드리고 금박을 올리자 찬란한 금빛의 복(福)자가 선명히 드러난다. 160년 간 한국 전통 예복에 금빛 장식을 입혀온 이곳에선 모든
-
[소년중앙] 옛날 짚신·가방·옷부터 요즘 갈대빨대까지, 만능 재료 짚풀로 만드는 생활 속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생활용품은 주로 플라스틱·스테인리스·철 등으로 만듭니다. 농경사회였던 옛날에는 어땠을까요. 돌이나 흙은 물론, 곡식을 추수하고 남은 식물 줄기와 산과 들에 널린
-
전시 기획자가 韓영부인 되어 왔다…김건희 만난 안도 다다오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순방에 동행한 김건희 여사가 17일 동경한국학교를 방문하고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다다오와 오찬을 가졌다.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김 여사는
-
[THINK ENGLISH] 목수 김윤관, 조선에 경의를 표하다
Carpenter Kim Yoon-kwan, who mainly creates furniture for a study, works at his workshop in Paju, G
-
[중국허베이통신] '아름다운 허베이' 사진전, 서울서 열려
'아름다운 허베이' 사진전, 서울서 열려. 사진제공 중국 허베이성 지난 3월 10일, 허베이성 문화관광부와 중앙일보는 서울 중구 순화동 KG타워 중앙전시관에서 '아름다운 허베이성
-
[소년중앙] 보석 아니지만 보석 같죠 반짝반짝 빛나는 '불의 예술' 칠보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문화유산을 만날 수 있는 국립고궁박물관에는 영친왕비 도금매죽잠이 보관돼 있어요. 매죽잠은 매화와 대나무 잎으로 장식한 비녀를 뜻하는 말로, 비녀 장식
-
대표작 별로 없는데 매진 행렬인 합스부르크 600년 전, 그 비결은?
━ ‘합스부르크 600년’ 전 연장 국립중앙박물관 ‘합스부르크 600년, 매혹의 걸작들’ 전시에서 벨라스케스의 ‘흰옷을 입은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오른쪽)를 포함한 스
-
한국남부발전 영월빛드림본부, 지역주민 건강증진 복지지원 나서
남부발전이 22일 지역주민 건강증진 복지지원을 위한 공예·사진 작품전시회를 개최하고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한국남부발전(주)(사장 이승우, 이하 ‘남부발전’) 영월빛드림본부가 지역
-
총으로 빵! 실이 퐁!…러그·방석 만드는 '총 쏘는 자수' 터프팅 [아이랑GO]
아이가 “심심해~”를 외치며 꽁무니를 따라다닌다고요? 일기쓰기 숙제하는데 ‘마트에 다녀왔다’만 쓴다고요? 무한고민하는 대한민국 부모님들을 위해 ‘소년중앙’이 준비했습니다. 이번
-
[소년중앙] ‘합스부르크 왕가’ 내한, 유럽 역사의 중심에서 모은 명작 만나요
앞으로 세계사 혹은 서양미술을 공부하며 한번쯤 듣게 될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합스부르크’죠. 합스부르크는 루돌프 1세가 신성로마제국 황제로 등극한 1273년부터 왕정이 몰락한
-
회화·조각·건축 넘나들어 “가장 저평가된 예술가”
━ 폐막 앞둔 문신 탄생 100주년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의 ‘문신(文信):우주를 향하여’ 전시 전경.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가장 과소평가된(underrated
-
[아이랑GO] ‘책의 도시’ 전주 여행, 도서관에서 시작해볼까
아이가 “심심해~”를 외치며 꽁무니를 따라다닌다고요? 일기쓰기 숙제를 해야 하는데 ‘마트에 다녀왔다’만 쓴다고요? 무한고민하는 대한민국 부모님들을 위해 '소년중앙'이 준비했습니다
-
글로벌 MZ세대에 한식문화 알릴 이 상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한식문화상자’를 개발해 해외 한국문화원에 보급하고 전시를 확대한다. ‘한식문화상자’는 고유한 한식문화를 알리면서 한식문화를 쉽고
-
[라이프 트렌드&] 이동형 전시 플랫폼 ‘한식문화상자’ 개발해 해외 한국문화원 보급·전시 확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잔치시리즈’ 3종과 ‘한식도락’ 4종 선봬 문체부와 공진원이 ‘한식문화상자’를 개발해 해외 한국문화원에 보급하고 전시를 확대한다. 사진은 일본 도쿄에서
-
서울과기대 도예학과, ‘ST 창의틔움 도예 교육 프로그램’ 전시회 열어
서울과학기술대학교(총장 이동훈, 이하 서울과기대)가 1월 16일(월)부터 18일(수)까지 사흘 간, 서울 공릉동 교내 다빈치관 지하 1층 전시공간에서 ‘ST 창의틔움 도예 교육
-
‘뉴진스’ 한지 만들고 장원영 비녀 꽂고…K컬처 힙해졌네
━ [서정민의 ‘찐’ 트렌드] 전통문화에 빠진 아이돌 안치용 한지장과 함께 한지 체험 중인 걸그룹 ‘뉴진스’. 최영재 기자 지난달 22일 경기도 파주의 한 스튜디오는 소녀
-
[소년중앙] 복 새지 않게 정성껏 손바느질…비단 두루주머니에 새해 복 담아가요
예로부터 사람들은 바늘에 실을 꿰어 바느질하며 다양한 생활용품을 만들었습니다. 한자로 바늘 침(針)에 실 선(線) 자를 써 ‘침선(針線)’이라고 하기도 하죠. 조선시대 유교 사회
-
[이은주의 아트&디자인] 쑥쑥 큰 한국공예, 못 따라간 전시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지난 9일 서울 코엑스 C홀. 제17회 공예트렌드페어(이하 공예페어) 전시장에서 한뼘 남짓한 공간에 작품을 내건 한 작가를 만났습니다. 그가 전시한 것은 작은
-
[소년중앙] 봄에 채취한 자작나무 껍질로 추위 이기는 친환경 감성 공예 해볼까
나무 공예에는 여러 색을 입힌 대나무 껍질을 엮어 만드는 우리나라의 ‘채상(彩箱) 공예’, 야자과의 덩굴성 식물인 라탄의 껍질을 제거하고 가공한 환심을 엮는 동남아의 ‘라탄 공예
-
권순철·김선두 2인전 ‘통으로 만나는 세상’… 24일까지 갤러리 월하미술
권순철(78), 김선두(64) 작가의 2인전 ‘통(通)으로 만나는 세상’이 서울 종로구 소격동 갤러리 월하미술에서 열리고 있다. 갤러리 월하미술은 서울 북촌에 있다. 도심과
-
“아름다운 공예품 보면 작가·가격 꼭 물어봐주세요”
제17회 공예트렌드페어 양태오 총감독은 “한옥에서의 삶을 통해 ‘지역성과 전통’이라는 중요한 화두를 얻었다”고 말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국내 최대 공예 전문 박람회 공예트렌드
-
디자이너 양태오 "우리 시대 문제 해결할 답이 공예에 있다 "
태오양스튜디오가 있는 서울 북촌 한옥에서 만난 양태오 공예트렌드페어 총감독.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국내 최대 공예 전문 박람회 공예트렌드페어(이하 공예페어)가 오는 8~11
-
은은하면서도 맑은 비취색 ‘청자멍’에 빠져볼까
━ 국립중앙박물관 ‘고려비색’ 방 오픈 비색과 조형성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국보 5점을 360도 회전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전시한 ‘고려비색’ 방. 박종근 기자 소극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