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끓이면 독 없어진다?…'공포의 독버섯' 상식 싹 다 틀렸다
추석 연휴를 맞아 벌 쏘임과 독버섯 등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국이 경고했다. 자칫 잘못하면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7일 경기 가
-
모기, 이젠 죽지도 않는다…더워진 지구가 만든 ‘좀비’ 유료 전용
요즘 모기가 지독해졌다. 살충제·모기향에 끄떡없다. 봄부터 나타나고 초겨울까지 돌아다닌다. 예전엔 이렇지 않았는데 끈질기게 안 죽는다. 과거에 비해 눈에 띄는 것도 많이 늘었다.
-
대한민국학술원, 고동환 교수 등 7명 신임회원 선출
학술원 신임회원으로 선출된 고동환, 신동운, 한인구 교수(왼쪽부터). 대한민국학술원 대한민국학술원은 14일 총회를 열고 고동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등 7명을 신임 회
-
"혐오스러워" 불청객 취급…서울 한강변 습격한 '이 벌레' 정체
〈퀴즈〉어떤 곤충에 대한 설명일까. ①강한 불빛이 켜진 곳이면 어디든 모여들어 달라붙는다. ②얼핏 봤을 땐 동화 ‘피터팬’에 나오는 요정 팅커벨 같기도 하다. ③수명이 짧다.
-
'목조 킬러' 여왕 흰개미 잡았다…박멸했지만 유입 시간문제 왜
서울 강남구 한 주택에서 발견된 외래 흰개미. 연합뉴스 최근 서울 강남구 논현동 주택에서 나온 외래 흰개미가 주변 지역으로 확산하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 2
-
[포토타임] 내일은 세계 벌의 날...꿀벌의 가치는?
오늘의 국내 주요 뉴스 사진(전송시간 기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업데이트합니다. 오후 4:40 [포토타임] 내일은 세계 벌의 날...꿀벌의 가치는? 세계 벌의
-
지구 지배자도 기생충에겐 숙주
미래의 자연사 미래의 자연사 롭 던 지음 장혜인 옮김 까치 80억 명을 넘어선 인류의 몸무게를 다 더하면 육상 척추동물 전체 무게의 32%를 차지한다. 여기에 가축 무게까지
-
지구 점령한 호모 사피엔스도, 가축도 기생종에게는 숙주[BOOK]
책표지 미래의 자연사 롭 던 지음 장혜인 옮김 까치 80억 명을 넘어선 인류의 몸무게를 다 더하면 육상 척추동물 전체 무게의 32%를 차지한다. 여기에 가축 무게까
-
"토마토 5일간 물 안 줬더니…1시간 동안 50번 '뽁뽁' 소리"
AP=연합뉴스 식물이 갈증이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청범위'에서 벗어난 고주파를 내뿜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N은 30일(현지시간) 이스라엘
-
대멸종도 견뎠는데…사라지는 곤충들
인섹타겟돈 인섹타겟돈 올리버 밀먼 지음 황선영 옮김 블랙피쉬 어렸을 적 시골길을 달릴 때면 자동차에 부딪혀 죽는 곤충들. 언젠가부터 눈에 띄게 줄었다. 야외 조명에 달라붙던
-
5번의 대멸종도 이겨냈는데...갑자기 사라지는 곤충들[BOOK]
책표지 인섹타겟돈 올리버 밀먼 지음 황선영 옮김 블랙피쉬 어렸을 적 시골길을 달릴 때면 자동차에 부딪혀 죽는 곤충들. 언젠가부터 눈에 띄게 줄었다. 야외 조명에 달라
-
"꿀벌 수명 절반으로 짧아졌다"…집단실종 미스터리 풀릴까
칠레의 한 양봉농가에서 집단 폐사한 꿀벌들. AP=연합뉴스 꿀벌의 수명이 50년 전보다 절반으로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양봉 농가에서 꿀벌이 집단
-
"물지도 않고 뱀 죽였다"…印 덮친 최악 침입종 '노랑미친개미'
노랑미친개미. BBC 캡처 인도 남부 지역에 ‘노랑미친개미(yellow crazy ant)’가 떼로 출몰하면서 주민들이 생계까지 위협받고 있다. 18일(현지시간) 인디아닷
-
年 9명 앗아간 '킬러' 초비상…검은 옷 입으면 더 위험한 이유
지난해 7월 26일 충남 계룡시의 한 도로 나무 위에 말벌들이 집을 짓고 번식활동을 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지난 6월 경북 문경시 소재 산에서 60대 남성이 벌에 쏘여
-
수십억 메뚜기떼 습격…"30년만에 최악" 伊사르데냐섬 비명
사진은 2020년 1월 케냐의 한 마을에서 아이가 메뚜기떼에 둘러싸여 있는 모습. AP=연합뉴스 이탈리아 사르데냐 섬이 30여년 만에 수십억 마리의 메뚜기 떼 습격으로 몸살을 앓
-
인간이 바꾼 바퀴벌레의 연애…'3초만에 반응' 과격한 사랑법
‘라쿠카라차 라쿠카라차 아름다운 그 얼굴 라쿠카라차 라쿠카라차 희한하다 그 모습’ 멕시코 노래 ‘라쿠카라차(La cucaracha)’ 아시지요? 음악 교과서에도 실렸던
-
그의 사망 시간, 구더기는 알고 있다...죽음의 진실 쫓는 수사관
2014년 6월 12일. 전남 순천의 한 매실 밭에서 부패가 심한 시신 한 구가 발견됐다. 변사체의 신원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DNA 감정을 통해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으로
-
[권혁재 핸드폰사진관]자연의 분해자 장수풍뎅이 애벌레
권혁재 핸드폰사진관/장수풍뎅이 애벌레 이강운 박사가 소똥을 모아 만든 퇴비 더미를 뒤적입니다. 아무리 오래된 소똥이라 해도 똥은 똥일 터인데 맨손으로 뒤적뒤적합니다.
-
"왕모기라며 보는 족족 다 죽이죠" 세상 억울한 곤충 '각다귀'[권혁재 핸드폰사진관]
잠자리각다귀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이강운 박사 제공 “각다귀만큼 억울한 곤충도 없을 겁니다.” 계곡 물속에서 찾은 각다귀 애벌레를 두고 이강운 박사가 대뜸 이리 설
-
[권혁재 핸드폰사진관] 겨울 물속의 포식자 쇠측범잠자리 애벌레
권혁재 핸드폰사진관/ 쇠측범잠자리 애벌레 언 겨울 계곡에서 뜬금없는 친구를 만났습니다. 바로 쇠측범잠자리 애벌레입니다. 계곡 속 돌멩이 아래로 들락날락하거나, 썩어가는
-
[권혁재 핸드폰사진관] 하루만 산다구요? 하루를 위한 하루살이의 진짜 삶
권혁재 핸드폰사진관/ 하루살이 애벌레 하루살이 애벌레를 본 적 있나요? 하루살이야 지겹도록 봤지만 하루살이 애벌레는 본 적도 없을뿐더러 그들의 생태도 아는 바 없었습니다.
-
[권혁재 핸드폰사진관] 다들 집 한 채 정도는 있잖아요. 날도래 애벌레
권혁재 핸드폰사진관/ 날도래 얼음을 깨고 든 개울에서 아주 작은 나뭇가지를 발견했습니다. 권혁재 핸드폰사진관/ 날도래 이강운 박사가 얼른 사진부터 찍으라고 했습니다. 사
-
[권혁재 핸드폰사진관] 큰산개구리가 영하 21도에도 물속에서 월동하는 이유
권혁재 핸드폰사진관/ 큰산개구리 영하 21도인 아침에 이강운 박사가 계곡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했습니다. 깜짝 놀라서 이유를 물었습니다. "바깥에만 있어도 이리 추운
-
여차하면 사람 귓 속 파고들어 섬뜩…무기는 배에 달린 집게 [권혁재 핸드폰사진관]
권혁재 핸드폰사진관 /집게벌레 꽁지에 집게를 단 녀석이 찢어진 나뭇잎 사이로 파고듭니다. 그것도 칼로 벤 듯 찢어져 좁디좁은 틈을 눈 깜짝할 새 비집고 듭니다. 권혁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