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취업자수 31만명 증가…2년 새 최저
2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만2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고용시장이 빠르게 둔화하고 있지만, 취업자 감소로 돌아서지 않은 건 고령층 취업이 늘어서다. 60세 이
-
일자리 시장 식어가는데 고용률↑…인구 감소가 부른 ‘착시’
일자리 시장이 식어간다는 신호가 뚜렷한데도 고용률 지표는 호황이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 2월 15~64세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6%
-
취업자 증가폭 2년 만 최소…60세 이상 제외하면 10만명↓
지난 2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만2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2년 만에 가장 적게 늘었다. 고용시장이 빠르게 둔화하고 있지만 취업자 감소로 돌아서지 않은 건
-
"55∼64세 핵심 인적자원" 계속고용·임금체계 개편 논의 착수
노인 일자리. 송봉근 기자 정부가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만 55∼64세를 핵심 인적자원으로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또 기업의 자율적인 계속고용을 유도하기 위해 장려금을
-
청년 일자리 말라간다…취업자 증가폭 6개월째 둔화
고용시장 한파가 예고됐다. 취업자 수가 지난해보다 60만 명 넘게 늘었지만 증가 폭은 6개월째 쪼그라들고 있다. 노인 일자리만 잔뜩 생겨났고 청년 취업자는 줄기 시작했다. 1
-
고령층, 늙어도 못 쉰다…자녀가 주는 용돈 줄고 생활비는↑
사진 셔터스톡 최근 고령층의 생활비가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낮은 공적연금 수준, 자녀로부터 지원받는 사적이전 금액 감소 등으로 살림살이가 빠듯해진 탓에 취업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
취업자 71만명 늘었지만 증가폭 넉달째 둔화…고용 전망 '흐림'
‘2022 부·울·경 잡페스티벌’이 6일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열려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들이 채용정보게시대를 살펴보고 있다. 송봉근 기자 9월 취업자가 70만명 넘게 늘면
-
OECD “韓 올해 물가 4.8→5.2%…고물가·금리, 가계빚 위험”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지역 모습. 뉴스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8%에서 5.2%로 올려 잡았다. “물가 상승이 경기 회
-
7월 취업 82만6000명↑ 22년래 최대…‘성장없는 고용’ 계속
7월에도 ‘성장 없는 고용’이 계속됐다. 1년 전과 비교해 83만 명 가까이 취업자가 증가했다. 같은 달 기준으로는 취업자가 22년 만에 가장 많이 늘었다. 하지만 절반 이상이
-
7월에도 ‘성장없는 고용’ 취업자 83만↑…증가폭 두달째 둔화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시민이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7월에도 ‘성장 없는 고용’이 계속됐다. 1년 전과 비교해 83만 명 가까이 취업
-
7월 취업자 82만6000명…증가폭 두달째 둔화
연합뉴스 7월 취업자가 1년 전보다 80만명 넘게 늘었지만 증가 폭은 두 달째 둔화했다. 취업자 수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2020년 3월부터 12개월 연속 감소했다가 지난해
-
이 불황에 '취업자 2834만' 최대…성장없는 고용, 조마조마 왜
지난 2분기 한국의 취업자 수와 고용률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기침체와 고물가에 시달리는데, 일자리는 ‘풍년’인 이례적인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이른바 ‘성장 없는 고용’이
-
취업자 증가 석달만에 꺾였다, 고용에도 암운
6월 취업자 수는 84만여명 늘었지만, 증가 폭은 3개월 만에 줄었다. 경기 둔화 조짐에 하반기 일자리 전망은 더 흐리다. 지난 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중견기업 일자리 박람
-
6월 취업자 22년만 최대 84만명 ↑…하반기부터 둔화 전망
13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시민이 일자리정보 게시판을 보고 있다. 뉴스1 국내·외 경기 둔화 우려에도 고용 개선세는 양호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사회적
-
6월 취업자 84만1000명 증가…증가폭은 둔화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2 중견기업 일자리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6월 취업자 수가 85만명 가까이 증가하며 고용 회복
-
[속보] 5월 취업자 93만5000명 늘어...22년 만에 최대 증가
지난달 26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시민이 일자리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5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90만명 넘게 늘면서 같은 달 기준
-
[속보]4월 취업자 86만5000명↑… 2000년 이후 최대 증가, 고용률 역대 최고
어버이날을 이틀 앞둔 6일 오후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 꽃상가가 북적이고 있다. 연합뉴스 4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80만명 넘게 증가했다. 같은 달 기준으로 22년 만의 최대
-
[김용하의 이코노믹스] 2070년 3361만명, 세계 최고령 국가될 듯
━ 최악의 인구 시나리오 김용하 순천향대 IT금융경영학과 교수 2021년 합계 출산율이 0.81명으로 또 신기록을 경신했다. 1960년에는 6.16명이었으나, 1984년
-
‘위기의 40대’ 일자리 훈풍 부는데 나홀로 고용률 뒷걸음질
일자리 훈풍이 부는 가운데 40대가 나 홀로 고용 한파를 맞고 있다. 전 연령대를 통틀어 40대 고용률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
"경제활동참가율, 코로나19 2년간 금융위기 때보다 더 악화"
지난해 11월 23일 오후 서울 구로구 테크노마트에서 열린 구로구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게시판을 보고 있다. 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한 지
-
가장 고달픈 세대는 ‘삼대남’…2년 연속 일자리 최대 감소
민모(32)씨는 대학에서 2년간 공인회계사(CPA) 시험공부를 했다. 졸업하고 2년을 더 공부했지만 합격하지 못했다. 지난해부터 일반회사 취업에 도전했는데 번번이 실패했다. 졸업
-
취업 가장 고달픈 세대는 ‘삼대남’…2년 연속 일자리 최대 감소
민모(32)씨는 대학에서 꼬박 2년간 공인회계사(CPA) 시험공부를 했다. 졸업하고 2년을 더 공부했지만 합격하지 못했다. 지난해부터 CPA를 포기하고 일반회사 취업에 도전했는데
-
[Data & Now] 작년 취업자 36만9000명 증가
취업자 증감과 고용률.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3040 ‘고용 한파’...연령별 취업자 증감.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
-
지난해 취업자 36.9만명↑, 세금 일자리 104만개 효과?
지난해 취업자 수가 36만9000명 늘었다. 연간 취업자 증가 폭으로는 2014년 이후 최고다. 고용률도 전년보다 소폭 상승하는 등 수치상으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