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수능' 논란 반복되자…"올해는 EBS 연계체감도 높이겠다"
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2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오는 11월 16일에 치러지는 2024학년도
-
“문해력 키우려면 학원 끊어!” 12년 대치동 논술강사 일침 유료 전용
초기 문해력의 골든타임이 만 8세(초2)까지라면 초등학교 6년은 이를 한 단계 발전시킬 기회다. 학령기 문해력의 핵심은 ‘독서’다. 하지만 학령기 아이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책을
-
요즘 아무도 읽지 않는 시대…문해력 부진, 범인 밝혀졌다 ① 유료 전용
‘사흘 논란’(2020년)에서 ‘무운 논란’(2021년)을 거쳐 ‘심심한 사과 논란’(2022년)까지, 문해력 논란을 촉발한 해프닝은 최근 2~3년간 반복됐다. 그리고 그때마다
-
‘야자·0교시’ 부활 조짐…엉덩이 붙이고 있으면 공부 습관 생긴다?
지난 2011년 한 고교에서 학생들이 야간자율학습을 하고 있는 모습. 중앙포토 사라졌던 고교 야간자율학습(야자), 0교시(8시 이전 등교) 등이 부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코로
-
학생과 주민 함께 쓰는 '학교복합시설'…1.8조 투입해 전국 도입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 우동기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학교 복합시설 활성화 방안 발표를 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학교 안에
-
학교만 알던 기초 학력진단…"공개하자" 나선 지방의회, 왜
10일 서울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16회 임시회 제5차 본회의' 모습. 뉴스1 지방의회와 교육청 등이 학생 기초 학력 강화 방안 마련에 나섰다. 그동안 학교에서 기초 학력
-
[사설] 저출산 부추기는 주범, 사교육비 부담
7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의 모습.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이 역대 최고치인 26조원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 학생은 4만 줄었는데, 사교육비는 2조6000억 늘어
-
초등생 의대반까지…한 자녀에 올인, 사교육 지출 더 늘어
초등학교 2학년생 아이를 둔 학부모 이모(43)씨는 가계부를 다시 쓰기 시작했다. 아이가 원래 다니던 영어·검도 학원에 수학학원을 추가해 지출이 늘면서다. 주변에선 논술·코딩 학
-
"우리 애 뒤쳐질라" 초등 의대반까지...사교육비 작년 또 2조 껑충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이 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애들 나이에 ‘0’하나 붙인 게 학원비라는 것도 옛말이에
-
물가 오른 것보다 더 썼다…학원비 평균 월 41만원 '역대 최대'
초등학교 3학년 아들을 둔 워킹맘 김모(41)씨는 매년 급여가 오를 때마다 학원을 갈아탄다. 비싸고, 멀더라도 더 좋다고 소문난 학원에 등록하는 식이다. 이런 식으로 ‘학원 갈아
-
불법인 줄 알면서도…"효도 꿀팁" 수험생 20% 몰리는 이 곳
고2(현 고3) 27만여명의 지난해 11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 인적사항 등이 유출되는 초유의 사태가 지난달 18일 발생했다. 텔레그램 상에 운영되는 A ‘피뎁방’을 통해서다
-
다자녀 가구 작년 월평균 557만원 썼다, 이자·학원비 부담 급증
물가 상승과 이자부담 증가 등 가계 살림이 팍팍해진 가운데 다자녀(미혼 자녀가 2명 이상) 가구가 더 심각한 ‘보릿고개’를 건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
-
아빠는 술 끊고 학원비 보탰다…다자녀 가구 월 지출 557만원
서울 동작에 사는 민모(42)씨는 지난해 둘째가 초등학교에 들어갔다. 초등학교 고학년인 첫째에 이어 둘째까지 학원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지출이 크게 늘었다. 통신사를 알뜰폰으로 바
-
문송 시대, 문과생 0.1% 됐다…‘4년째 세계 석학’ 48세의 비결 유료 전용
글로벌 학술정보 기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매년 전 세계 상위 0.1%에 해당하는 연구자들을 ‘HCR(Highly Cited Researchers)’로 선정한다. 그런데
-
[세컷칼럼] MZ 다음 알파세대, 그들 세상은 행복할까
■ 「 ‘내가 주인공’ 초등학생 세대사교육·집값 등 여건은 그대로기성세대가 시스템 바꿔줘야 」 최근 출근길 라디오에서 새로운 세대 얘기를 들었다. MZ세대에 이은 알파(
-
MZ 다음 알파세대, 그들 세상은 행복할까 [김성탁의 시선]
━ '내가 주인공' 초등학생 세대 김성탁 논설위원 최근 출근길 라디오에서 새로운 세대 얘기를 들었다. MZ세대에 이은 알파(α)세대다. 1980~90년대 태어나 30~40
-
[사설] ‘흙수저 금수저’ 격차 심화…끊어지는 계층 사다리
━ 상위 가구 자녀 첫 월급, 하위보다 11% 많아 ━ 부모 경제력 따른 학력 양극화도 점점 커져 ━ 개인 능력 존중하고 ‘기회의 평등’ 보장해야 부모의 경
-
학력 격차 더 심해졌다…"읍면지역 강사 구하기도 어려워"
17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의원 11명이 공동주최한 '부모의 배경이 학력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해소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이태규 의원실 코로나19
-
[시론] 고교 내신 9등급제 계속 둘 건가
정제영 미래교육연구소장·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이해 암기 위주의 근대식 학교 교육에서 벗어나 미래 교육으로 혁신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
-
[단독]자사고 "서울교육청, 9년간 보전금 미지급…권익위 제소"
서울자사고 학부모들이 7일 오후 서울 중구 이화여고 100주년 기념관에서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에 대한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 참석해 손팻말을 들고 있다. 김경록 기자 서울 자율형사
-
2025년까지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초등 '틈새 돌봄'도 제공
2025년부터 초등학교 1~4학년, 중·고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교과서가 단계적으로 보급된다. 올해 3월부터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을 위한
-
‘교육계의 슬랙’ 만들어냈다…클라썸 이채린·최유진의 꿈 [90년대생 창업자 ③] 유료 전용
■ 90년대생 창업자가 온다 「 창업의 길을 택한 90년대생, 그들은 누구인가. 한국의 정보기술(IT) 산업이 태동한 90년대에 태어나 청소년기에 스마트폰 혁명을 경험한
-
등록금 인상 동의했던 교육차관 "아직 타이밍 아냐"
장상윤 교육부차관이 지난 16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초등 늘봄학교(전일제교육) 정책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1 최근 각종 대학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하
-
[이혜정의 이코노믹스] 사회격차 키우는 교육, 이제는 바꿔야 할 때다
━ 양극화 해소와 교육 이혜정 교육과혁신연구소장 교육은 일반적으로 경제 격차를 넘어 계층 간 이동 사다리의 역할을 한다고 인식돼 왔다. 교육은 사회·경제 양극화를 해소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