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茶와 주님은 통하더군요” 떼제공동체 수사의 깨달음 유료 전용
━ #궁궁통1 프랑스 떼제에는 초교파 수도공동체인 떼제공동체가 있습니다. 한국에도 서울 화곡동에 떼제공동체가 있습니다. 영국 출신인 안선재 수사도 떼제공동체 소
-
유대교 넘어 그리스도교 등장, 시작은 예루살렘 성전 파괴 유료 전용
━ #궁궁통1 유대 민족은 고대 이집트에서 노예생활을 했습니다. 모세는 유대 민족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했습니다. 그리고 신이 약속한 가나안 땅을 향해 기나긴 여정
-
“모든 종교의 다이아몬드” 간디도 감탄한 ‘산상수훈’ 유료 전용
━ #궁궁통1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는 기독교 신자가 아니었습니다. 그는 인도의 전통 종교인 힌두교 신자였습니다. 그럼에도 영국에서 유학한 간디는 기독교의 성경에 큰
-
“오실 분이 선생님이십니까?” 세례 요한도 예수 몰라봤다 유료 전용
㉕ 하늘나라는 왜 철부지에게만 드러날까 예수 이후 2000년의 세월이 흘렀다. 앞으로 2000년도 그렇게 훌쩍 흐를 것이다. 우리는 모두 그 속에서 잠시 머물다 간다. 우주의
-
냉장고 가득 차면 평화 올까…냉장고 비어도 오는 게 평화 유료 전용
━ #궁궁통1 이스라엘을 여행하다 보면 많은 순례객을 만납니다. 숙소의 레스토랑에서 아침식사를 하면서 마주치고, 성지의 나무 그늘에서 묵상에 잠겼다가 마주치고, 여
-
틱 낫한 스님의 공짜 선물…그곳서 찾은 하느님의 나라 유료 전용
㉔ 천국이 왜 가까이 있을까 코라진 유적은 이스라엘의 국립공원이다. 안내 팻말도 세워놓았다. “코라진(Korazim/chorazin)은 기원전 3~5세기 탈무드 시대에 생겨난
-
하느님 본 사람은 죽는다? 구약성경 이 문구의 참뜻 유료 전용
━ #궁궁통1 구약성서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하느님(하나님)의 얼굴을 본 사람은 죽는다.” 출애굽기 33장 20절에 나오는 대목입니다. 개신
-
‘회개하라, 천국 가까이 왔다’…이 말 들었을 때 든 의문점 유료 전용
㉓ 마음의 문고리는 왜 안쪽에 있을까 갈릴래아(갈릴리) 호수의 북쪽에는 산촌이 있다. 카파르나움(가버나움)에서 산길 도로를 타고 20분쯤 가면 코라진(고라신)이 있다. 예
-
“부처 만나면 부처 죽여라”…‘예수의 칼’도 마찬가지였다 유료 전용
㉒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라, 왜 그런가 당나라 때 임제(臨濟, ?~867)라는 선사가 있었다. ‘임제의 할(喝)’로 유명한 그는 중국 선(禪)불교 임제종의 시조다. 그의
-
일본군 풀어주고 이토 쐈다…안중근 두 행동과 ‘예수 뜻’ 유료 전용
━ #궁궁통1 이스라엘 북부의 갈릴리 호수 일대는 우리나라로 치면 제주도와 무척 닮았습니다. 이스라엘은 기본적으로 사막 지형입니다. 모래바람이 휘몰아치는 광야가 국
-
“부자·모녀지간 잘라내라”…‘칼’ 주러 왔다는 예수의 속뜻 유료 전용
㉑ 예수는 왜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려고 했을까 예수는 분명하게 말했다. 내가 세상에 평화를 주러 왔다고 생각하지 마라.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러 왔다. 첫 구절부터
-
식당서 “뭐 먹을래” 물어보라…그 답에 팔복, 온유가 있다 유료 전용
━ #궁궁통1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고린도 전서 13장 4절에 나오는 대목입니다. 곡을 입혀서 노래로도 많이 불립니다. 사도 바울은
-
“집안 식구가 바로 원수다” 예수는 왜 이런 말 했을까 유료 전용
⑳ 성경을 읽다가 막다른 골목을 만날 때 성경을 읽다 보면 막다른 골목을 만날 때가 있다. 주위를 둘러봐도 우회로가 없다. 그래서 한 발짝도 나아갈 수가 없다. 성경을 아무리
-
왜 슬픈 사람이 행복할까…차동엽 신부가 찾아낸 해답 유료 전용
━ #궁궁통1 고(故) 차동엽 신부는 서울 관악산의 달동네인 난곡에서 자랐습니다. 좁은 골목에 가난한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산동네였습니다. 달동네에서 가난
-
“하나님, 뵙게 해주십시오” 제자 조르자 예수의 한마디 유료 전용
⑲ 숟가락은 왜 국 맛을 모를까 목회자들조차 설교할 때 ‘자기 십자가’를 말하면 성도들이 부담스러워 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예수는 왜 굳이 십자가라는 부담을 주려 했을까.
-
“이 세상 소유말고 누려라” 차동엽 신부의 영적 가난론 유료 전용
━ #궁궁통1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고(故) 차동엽 신부를 만나서 물은 적이 있습니다. 고(故) 차동엽 신부는 “
-
지금도 예수 때도 꼭 있다…남 눈 티만 보는 위선자들 유료 전용
⑱ 남의 눈의 티, 내 눈의 들보. 무엇을 봐야 할까 지금도 그렇고, 예수 당시에도 그랬다. 사람들은 ‘안’보다 ‘밖’을 보기를 즐겼다. ‘나’보다 ‘남’을 논하기를 더 좋아
-
유대인 약탈한 ‘로마 앞잡이’…예수는 왜 제자로 택했나 유료 전용
⑰ 예수는 왜 로마의 앞잡이를 제자로 삼았을까 이스라엘 갈릴래아 호숫가에서 나는 눈을 감았다. 우리는 누군가를 스승으로 삼고 좇을 때가 있다. 그게 언제일까. 스승이 내 안의
-
마음 가난한 자 복이 있나니…팔복, 그 첫 번째에 숨은 뜻 유료 전용
━ #궁궁통1 3주 전에 이스라엘 출장을 다녀왔습니다. 다시 가도 참 좋더군요. 갈릴리 호수 일대의 푸르른 풀과 나무, 그리고 언덕들 말입니다. 2000년 전,
-
“행복 어원은 ‘Happen’이다”…산상수훈 ‘팔복’에 담긴 뜻 유료 전용
━ 산상수훈의 팔복은 수평선이다 #궁궁통1 고(故) 차동엽 신부에게 산상수훈의 ‘팔복(八福)’에 대해 물은 적이 있었습니다. 차 신부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
묘지 위 불경스러운 도시…예수도 자랐던 ‘반란의 땅’ 유료 전용
⑮예수가 자랐던 갈릴리 일대는 반란의 땅이었다. 갈릴래아(갈릴리) 호수 서편에는 티베리아스가 있다. 갈릴래아에서 가장 큰 번화가다. 호텔과 리조트 건물이 들어서 있고,
-
인간 욕망이 만든 ‘천국의 삶’…예수가 설한 ‘천국의 농사법’ 유료 전용
⑭예수가 설한 천국의 농사법 인간의 내면에는 우물이 하나 있다. 그 우물에 물음의 두레박을 던지면 답이 올라온다. 어떤 물음은 바로 답이 올라온다. 또 어떤 물음은 그렇지
-
루터의 종교개혁 그 뒤…개신교가 놓친 한 가지 유료 전용
⑬예수는 비유에 담긴 뜻을 깨치라고 했다 사람들은 예수의 메시지를 단박에 알아채지 못했다. 그래서 예수는 비유를 들었고, 그래도 어려워하는 이들이 많았다. 예수는 갈릴래아 호
-
본인이 돌밭인 줄 모르고…예수의 씨앗 품었다는 그들 유료 전용
⑫ 태어나려는 자, 하나의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갈릴래아(갈릴리) 호숫가에 군중이 모였다. 모두 예수에게 다가가려고 서로 밀고 당겼으리라. 예수는 아예 배에 올랐다. 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