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년 한 번 검사로 C형 간염 치료…"간암 사망률 74% 감소"
간암 관련 이미지. 중앙포토. C형 간염을 적절한 시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간암 같은 중증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크게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간 관련 학계에서는 C형 간
-
졸리처럼 절제하겠다는 환자, 유방암 명의는 고개 저었다 유료 전용
여성이 가장 많이 걸리는 암은 유방암이다. 국가암정보센터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2020년 2만4806명이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여성 10대 암의 21.1%를 차지한다. 대장암(
-
충치도 없는데 퀴퀴한 입냄새…'침묵의 장기'가 보내는 경고장 [건강한 가족]
‘침묵의 장기’ 간, 위험 신호 다섯 가지 간은 ‘침묵의 장기’다. 손상되더라도 회복하기 어려운 상태가 될 때까진 조용히 침묵한다. 간 기능이 70% 이상 떨어지기 전엔 특별
-
男, 女보다 6년 일찍 사망…폐암·폐렴·심장질환 등 영향
행복 노부부 일몰 바닷가 황혼 포옹 조부모 노인 커플 시니어. 셔터스톡 한국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6년 일찍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기대수명의 차이는 40여년 전 8.6년
-
20년 활동한 담배 킬러, 술로 눈돌렸다…"한잔도 안돼" 왜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이 16일 국립암센터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흔히 하루 한두 잔의 술은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암 예방을 위해서는 소량 음주도 피해
-
마시면 참 좋던데 '1군 발암물질'…10명 중 7명이 모르는 진실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이 16일 오전 경기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흔히 하루 한두잔의 술은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암 예방을 위해서는
-
암세포 80% 뒤덮여도 무증상…침묵의 간암, 이렇게 잡아라 유료 전용
■ 「 ‘닥터후 외전’은 닥터후가 만난 국내 최고의 명의가 설명하는 각 분야의 백년 튼튼 건강법입니다. 첫 순서는 이승규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석좌교수의 칼럼입니다.
-
年 1만명 늘던 암, 1만명 줄었는데…"심각하다" 당국 비상 왜
국립암센터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의 한 치료사가 말기 환자의 손을 잡고 있다. 사진 국립암센터 매년 꾸준히 늘어나던 국내 신규 암 환자가 코로나19 사태 첫 해인 2020년 1만
-
지난해 태어난 아이, 83.6년 산다…암 없으면 기대수명 3.5년↑
잠을 자고 있는 신생아. [사진 픽사베이] 지난해 태어난 아이는 평균적으로 84년 가량 살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코로나19 영향으로 기대수명 증가 속도는 주춤해졌다. 최대 사인
-
술먹다 물 홀짝홀짝, 이유 있었네...내 간 지키는 '송년회 수칙' [건강한 가족]
모임 잦은 연말, 간 건강 지키려면 기나긴 거리두기를 지나 맞이한 올 연말, 그간 미뤄 온 송년회와 단체 회식 등 크고 작은 식사 모임에 참석하려는 사람이 늘었다. 이런 모임에
-
췌장암 의심해볼 3가지 전조...체중감소·식욕부진 그리고 '이것' [건강한 가족]
암 사망률 5위 췌장암 바로 알기 현대인에게 췌장암은 공포의 대상이다. 폐암·간암·대장암·위암에 이은 암 사망률 5위이고 5년 생존율은 13.9%에 불과하다. 췌장암 정복의 최선
-
술도 안마시는데 간암?…'비알코올 지방간' 5년새 40% 는 이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비알코올 지방간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7년 28만3038명에서 2021년 40만5950명으로 5년 새 40% 이상 늘었다. 흔히 지방간은
-
면역항암제 썼더니 4기 암세포 사라져…위암 사망률 뚝 [신성식의 레츠 고 9988]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지난 10년간 암 치료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해 생존율은 올랐지만,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사망자도 늘었다. 통계청의 ‘2021년 사망 원인’ 자료에 따르면
-
술 안먹는데도 지방간? 살만 빼선 소용없다 '이것' 꼭 해야 [건강한 가족]
병원리포트 삼성서울병원 곽금연·조주희 교수팀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근 손실이 더 빠르고 많이 생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소화
-
“서울성모병원, ‘건강정보 고속도로 ‘건설하겠다”
서울성모병원 윤승규 병원장은 “개인 의료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에 대한 신뢰체계를 구축하는 법적·제도적 정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여러 의료기관에 흩어져 있는 본인의 건강 정보를
-
장애인 주요 질환 사망률 높다…뇌혈관질환은 비장애인 7.2배
제42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20일 오전 대구 달서구청을 찾은 주민이 휠체어에 앉아 장애공감 가상현실(VR) 체험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뉴스1 장애인의 주요 질환 사망률이 비장애
-
진행성 간암, 간동맥 항암주입술 부작용 적고 효과 좋아
━ 라이프 클리닉 62세 이모 환자는 만성 B형 간염 보유자였으나 증상이 없어 대수롭지 않게 지내던 중, 1년 전 진행성 간암을 진단받았다. 이미 주(主)간문맥까지 종양
-
암세포가 큰 난치 간암에 수술보다 방사선색전술이 더 효과적
간암 5년 상대생존율, 간암 발병 주요 원인, 바이러스성 간염에서 간암으로 진행과정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2018년 국가암등록통계, 대한간암학회, 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
1000만명 목숨 앗아갔다…전세계 사망 원인 2위 '암', 1위는
[사진 셔터스톡] 암으로 전세계에서 1000만명 가량이 사망해, 사망 원인 2위에 올랐다는 통계가 나왔다. 사망 원인 1위는 심혈관질환으로 나타났다. 4일(현지시간) 헬스데이
-
고혈압은 서천군, 당뇨는 고흥군서 많아…작년 진료 최다는 '위암'
서울 마포구 국민건강보험공단 마포지사의 모습. 뉴스1 전국에서 고혈압 환자(10만명당)가 가장 많은 지역은 충남 서천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는 전남 고흥군이 가장 많았
-
[월간중앙] 스폐셜 인터뷰-'4차병원' 향한 금기창 연세암병원장의 소명(召命)
"중입자 치료로 암 치료의 패러다임 혁신 이룰 것" 연세중입자치료센터 개원하면 환자 부담 낮추고 의료 수준 도약 암 예방에서 치료, 완화까지 전 주기 환자별 맞춤 진료 가능해
-
갑자기 혈당 치솟고, 체중 급감, 피부·눈 황달? '이 병' 의심 [건강한 가족]
조기 발견 어려운 난치암 췌장암은 독한 암으로 유명하다. 의학이 발전하면서 치료가 어렵다는 폐암·간암도 3명 중 한 명은 5년 이상 생존한다. 하지만 국내 췌장암 5년 생존율은
-
“술은 1군 발암물질, 하루 두잔도 위험”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은 “술의 위험성을 알리는 데 적극 나서고 싶다”고 했다. 김경록 기자 “당장 돈이 안 된다고 해도 국민에게 도움되는 일을 하는 게 우리 병원과 민간병원의
-
'술 한 잔은 몸에 좋다' 이 주장에 대한 국립암센터 원장 답변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이 11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국립암센터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당장 돈이 안 된다고 해도 국민에게 도움되는 일을 하는 게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