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길이 4857㎞ 파이프, 전투기만큼 절실하다…中이 러와 밀착 이유 [채인택의 세계 속 중국]
사진 셔터스톡 중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주년을 맞은 지난 2월 24일 ‘종전 협상 중재자’를 자처하면서 중국의 역할과 중국-러시아 관계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린다. 중국
-
獨 가스관 폭발 사건 우크라 배후설에…푸틴 "완전히 난센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와 독일을 연결하는 노르트스트림 해저가스관 폭파 사건에 우크라이나 측이 관련됐을 수 있다는
-
"친우크라, 가스관 폭발" 주장에…獨 "거짓깃발 작전일수도"
독일은 노르트스트림(Nord Stream) 1·2의 해저 가스관 폭발 사건 당시, 폭발 장치를 운반한 것으로 의심되는 선박을 수색했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전날 미국 뉴욕타
-
“작년 가스관 폭발, 배후는 우크라 세력”
미국 정보기관이 노르트스트림(Nord Stream) 가스관 폭발 배후로 친(親)우크라이나 세력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미국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7일(현지
-
"유럽 천연가스 가스관 폭파 물질, 우크라인 회사가 빌려준 선박으로 운반"
러-독 가스관 폭파. 덴마크 국방당국, AFP=연합뉴스 독일 연방검찰이 러시아에서 독일 등 유럽으로 천연가스를 운반하는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파에 이용된 물질을 운반한 것으로 의
-
"러 가스 유럽 잇는 '노르트 스트림' 폭발 배후, 친우크라 세력"
미국 정보기관이 노르트 스트림(Nord Stream) 가스관 폭발 배후로 친(親)우크라이나 세력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러시아 천연가스를 유럽에 공급하는 이
-
인도양을 중국 내해로 만들 수 있다…시진핑 공들인 미얀마 항구 [채인택의 세계 속 중국]
2020년 1월 18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네피도에서 아웅산 수지 미얀마 국가자문역과 공식 회담을 가졌다. ⓒ신화통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코로나19 팬
-
러시아의 '달러·유로' 이탈 가속…수출결제서 87%→53% 급감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된 서방의 금융제재로 러시아의 수출 대금 결제에서 달러ㆍ유로화 비중이 급격히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러시아 자국 화폐인 루블과 중국 위안화의 비
-
“영국, 우크라서 무기·군용차량 생산 추진…현지 합작사 설립 논의”
2023년 2월 8일 영국 모처 군사 훈련장을 함께 방무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오른쪽)과 리시 수낵 영국 총리. UPI=연합뉴스 영국 국방산업 고위 관리들이
-
"가스관 폭발, 바이든 지시" 폭로…중·러 발칵, 美언론은 침묵
“노르트 스트림(Nord Stream) 가스관의 폭발 배후는 미국”이라는 내용의 최근 미 80대 탐사전문 기자의 보도를 두고 중국과 러시아의 진상 규명 촉구가 잇따르는 가운데 미
-
파리 '바게트 시위대'…푸틴이 유럽 빵집들 거덜낸 기막힌 사연 [세계 한잔]
「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계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 지난달
-
[단독] "한국 위험한 투자"…美싱크탱크, 호주 가스전 사업 비판
2021년 3월, 개발 중인 호주 바로사-칼디타 가스전 전경 모습. [SK E&S 제공]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최근 호주 바로사-칼디타 해상 가스전 개발 사업의 금융지원 보증 유효기
-
푸틴, 우크라 점령지 전격방문…388일차 항전은 계속된다 [타임라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키이우 시간, 한국시간-7시간) ※2022년 2월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일차부터 매일 업데이트 중입니다. ▶3월 18일 침공 3
-
[역지사지(歷知思志)] 온난화의 역설
유성운 문화부 기자 “강원도 간성의 바닷물이 6월에 얼음이 얼어 종이처럼 두꺼웠다.”(『숙종실록』 35년 1월 10일) 17세기는 소빙기의 절정이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바
-
푸틴이 따뜻한 날씨에 졌다…밸브 잠갔지만 천연가스값 급락
올겨울 유럽에서 이상고온 현상이 발생하면서 난방 수요가 줄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에너지 무기화' 전략이 힘을 잃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4월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
-
절묘한 위치, 육지-해양 일대일로 만난다…中이 40년간 빌린 항구 [채인택의 세계 속 중국]
[사진 셔터스톡] 파키스탄의 과다르(Gwadar) 항구는 단연 주목 대상이다. 중국이 일대일로의 해상 부문에서 주요 축으로 삼는 지역 중 가장 독특하고 의미가 크기 때문이다. 발
-
"푸틴, 만성통증 심각"…건강이상설 띄운 덴마크 '주목한 장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건강 이상설이 재점화됐다. 이번에는 ‘만성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벨라루스 수도
-
[사설] 불가피한 전기요금 인상, 산업 넘어 안보의 문제
내년 1분기에 적용될 전기료 인상 폭 발표를 앞둔 가운데 29일 서울 시내의 전기계량기 모습. [연합뉴스] ━ 탈원전에 전쟁까지 겹쳐 에너지 가격 급등 ━ 취약 계층
-
'유가상한제' 러 돈줄 죈다는 서구...푸틴 '석유 금수' 보복 명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 도입국에 대해 석유 수출을 금지하도록 했다. 유럽연합(EU) 등이 러시아산 원유에 유가 상한제를 적용
-
‘K보일러’ 글로벌 시장 달궜다
지난 2월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북미건축설비 전시회 의 경동나비엔 부스. [사진 경동나비엔] 보일러 업계가 내수 시장을 넘어 해외로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수출 규모는 물론 현지
-
북미선 경동나비엔, 그리스선 귀뚜라미…‘K-보일러’도 해외서 잘나간다
지난 2월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북미 건축설비 전시회 IBS에서 방문객들이 경동나비엔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 경동나비엔 보일러 업계가 내수 시장을 넘어 해외로 영토를 확
-
경기침체에 독일·폴란드도 갈린다…푸틴 노림수, 내년이 더 섬찟 [우크라이나 전쟁 10개월]
━ 우크라이나 전쟁 10개월-무엇을 남겼나 ㊦ 소비자물가 상승률 10%(유로존 11월 전년 대비), 내년 예상되는 유럽연합(EU) 경제성장률 0.3%. 러시아-우크라이나
-
‘우크라 경유’ 러-유럽 가스관서 폭발…현재 가스 흐름 중단
우크라이나를 통과해 유럽으로 향하는 러시아의 수출용 가스관에서 20일(현지시간) 폭발이 발생해 3명이 사망했다고 러시아 타스 통신 등이 보도했다. 유럽-러시아 간 가스관. 그래픽
-
독일, 축구는 일본에 졌지만 천연가스 쟁탈전은 압승
━ 카타르서 펼쳐진 또 다른 월드컵 러시아, 이란에 이어 천연가스 매장량 3위를 차지하고 있는 카타르는 전세계 천연가스 공급의 30%를 담당한다. 사진은 카타르 북부 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