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에서 커피를 볶는 카페를 운영한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비판한 ‘만민토론회’ 연설로 주목받았으며, 광주복합쇼핑몰 유치 운동 단체인 광주시민회의를 이끌고 있다.
- 응원
- 49
- 구독
- -
총 6개
-
시민단체에 밀려 말도 못한다…무등산 케이블카 정말 나쁜가 [배훈천이 소리내다]
무등산 케이블카를 통해 아시아문화전당과 광주 지하철 1호선까지 활성화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는 것이다. 광주광역시와 광주의 주류 시민단체는 경제성과 환경 파괴를 이유로 무등산 케이블카를 검토하는 것조차 반대한다. 비법정 등산로와 통신탑, 군용도로를 축소하고 케이블카를 놓으면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무등산을 살리는 길이며, 지하철 1호선과 연계한 무등산 케이블카는 친환경적일 뿐 아니라 탄소 중립을 실천하는 길이 될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아예 귀를 닫는다.
-
전두환 동상 뿅망치 테러…이런 선동, 독재자 등장 부추긴다 [배훈천의 댓글 읽어드립니다]
학창시절 5·18을 직접 겪었던 배훈천 사장은 광주의 5·18 민주화운동 의무화 교육을 정면으로 비판했습니다. 대법원인 1997년에 이미 12·12와 5·18에 대한 책임을 물어 전두환과 그의 측근들에게 유죄 판결을 내렸습니다. 다만 5·18에 대한 역사적, 법률적 평가는 대한민국의 법과 제도에 의해 이미 완결됐습니다.
-
광주 이름으로 혐오·증오 가르친다…누굴 위한 5·18 교육인가 [배훈천이 고발한다]
5·18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지 25년이 지나고 5·18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5·18 교육은 보편의 가치인 민주주의 교육으로 승화하지 못하고 1980년 5월의 피해에만 갇혀있다. 이런 보편타당한 민주주의 사상이 5·18 교육의 주류를 차지하지 못하고 트라우마를 재생산하는 비교육적인 교육에 자리를 내어준 건 지배 엘리트가 5·18을 사유화한 탓이다. 그런데 90년대의 5·18은 대한민국의 5·18로 줄어들고, 2000년대 5·18은 광주만의 5·18이 되어버렸어요.
-
혁명의 시간 왔다···복합몰이 일깨워준 광주의 진짜 목소리 [배훈천이 고발한다]
광주 서구에 사는 30대 직장인은 시민의 편익은 뒷전이고, 세력을 우선하는 정치행태와 지방행정에 대한 일반 대중의 분노가 복합쇼핑몰을 통해 분출된 것이라며,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을 예로 든다. 광주 광산구에 사는 30대 직장인은 소상공인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대기업을 규제하지만 결국엔 지역 토호들의 뒷배 역할을 하는 것이라는 날카로운 지적을 내어놓는다. 민주당과 지자체는 지역 내 소상공인 보호한답시고 지역 내 중견기업 쇼핑업체인 세정아울렛과 영암마트, 금호월드를 소상공인이라고 하는데 지역 기반 기업에 입점한 점포는 소상공인이고, 대기업 쇼핑몰에 입점한 점포는 소상공인이 아닌 건가요? 제가 근무하는 나주 혁신도시에도 처음에 이마트 들어온다고 하다가 결국 못 들어오고 하나로 마트만 빛가람에 3개, 지역 브랜드인 YH 마트만 엄청 많습니다.
-
불가사의 광주 복합몰 제로…토호세력 '가스라이팅'이 만들었다[배훈천이 고발한다]
나는 ‘대기업 복합쇼핑몰 유치 광주시민회의(이하 시민회의)’를 지난해 6월 조직하고 7월에 광주시민 660명의 서명을 받아 광주시의회에서 ‘복합쇼핑몰 유치 광주 시민운동 660인 선언문’을 발표했다. 유난히 광주에만 소상공인들이 많아서 복합쇼핑몰은커녕 대형마트조차 쉽게 들어서지 못하는 것일까? 민주당 광주광역시당 위원장인 송갑석 의원은 윤석열 후보의 광주 복합쇼핑몰 공약을 비판하는 성명에서 "광주 인구 144만 중에서 60만여 명이 자영업자와 중소 상공업에 관련돼 있다. 민주당 송갑석 의원은 윤석열 후보의 복합쇼핑몰 공약과 GRDP(지역총생산) 꼴등 발언에 대해 "철 지난 갈라치기"라고 비난하면서 "그렇다면 윤석열 후보는 대구에 가서 국민의힘의 일당독재로 대구의 1인당 GRDP가 전국 꼴등이라고 말할 것인가?"라고 하였다.
-
"2주 더 가만있으라"는 정부…K방역 깃발 달린 자영업호 침몰 [배훈천이 고발한다]
14조 원의 82%인 11조 5000억 원이 1인당 300만 원의 방역지원금 등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에 쓰인다고 한다. 방역지원금으로 자영업자 1인당 300만 원씩 나눠준다는 예산을 차라리 ‘폐업 장려금’으로 바꿔서 지원하면 어떨까. 자영업 지원예산을 활용해 고용보험 일시납 가입방식으로 폐업 실직 자영업자들에게 고용보험 가입자와 동일한 조건의 실업급여와 직업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