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의 관점+] 응급실까지 마비시키면 나라도, 의사도 아니다
응급실까지 마비시키면 나라도, 의사도 아니다
5일 경기도 성남시 한 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 응급실 진료 지연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밤 의정부성모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방문했다. 현장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의료진을 격려하고 현장의 의견을 청취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에서 (중앙일보)이라는 비판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군의관 '땜질' 실효성 없다
부산에선 응급실을 헤매던 환자가 수술할 의사를 찾던 중 사망했다. 부산의 국제신문은 “의정(醫政) 갈등 이후 지역 내 응급실 의료진 부족으로 타 시·도로 이송하는 사례가 2~3배 늘었다”고 전했다. 더구나 면서 대책을 우려했다.
경기일보는 라고 질타했다. 아주대병원은 “응급의료센터 전문의 사직과 의료진의 과부하 등에 따라 심폐소생술(CPR) 등 초중증 환자(심정지 환자)만 수용해 진료한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정부는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공보의) 250여명을 응급실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병원에 투입했다. 그러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8명에 불과하다.
속 뒤집는 당국자들
문제는 (경향신문)이다. 윤 대통령은 그제 의정부성모병원에서 의사들을 만나 필수의료 지원 강화를 약속했다. 그렇지만 그것은 중장기 과제다. .
한국일보도 고 지적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응급실 뺑뺑이 현실에 대해 ‘응급실 양보론’을 꺼내 무책임을 드러냈다고 한국일보는 비판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2차관은 “환자 본인이 (병원에) 전화해 알아볼 수 있으면 경증”이라며 응급실 이용을 자제해달라고 말해 논란이 됐다.
"비상의료 체계가 원활하다"?
“비상의료체계가 원활하다”라는 윤 대통령의 말에서 시작됐다. 한국일보는 라는 사설을 실었다. 이러한 인식을 심어준 책임자가 누구냐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