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 가수 보아를 아시죠? 보아 오빠이자 광고·뮤직비디오 감독
권순욱(40)씨의 복막암 4기가 악화해 말기 통보를 받았나봅니다. 이 과정에서 3개의 대학병원 의사들에게서 마음의 상처를 입었습니다. 의사들의 말이 이랬다고 하네요.  
“낫는 병이 아녜요.” “몸에 고통 주지 말고 그냥 편히 ….”

권씨는 12일 인스타그램에 “죽고 싶은 마음이 전혀 없는데 의사들은 왜 그리 싸늘한가요?”라고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를 계기로 중앙일보 17일자 2면에 '말기암 보아 오빠 울린 '싸늘한 의사들' ...3분 진료의 비극'이라고 기사가 나갔습니다. 이 기사는 맨 아래 첨부 기사를 보시면 됩니다. 

오늘 레터는 그 후속 기사입니다. 13명의 전문가를 인터뷰해서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원인을 다시 짚었고, 대안을 모색해봤습니다. 
 
바로 아래 사진은 권씨의 인스타그램에서 캡처한 진료기록입니다. 
 

 


지난 12일 가수 보아의 오빠이자 광고·뮤직비디오 감독인 권순욱(40)씨가 인스타그램에 올린 '싸늘한 의사들'이라는 글에는 1844개의 댓글이 달렸다대부분 쾌유를 비는 지인들의 글이다한 댓글은 "이렇게 쓰기까지 얼마나 고민하고 힘들었을지현대의학에 오점이 있을 수 있다는 걸 꼭 증명하길 기원해"라고 응원했다권씨가 경험한 대학병원 의사들의 싸늘한 '말기 통보'는 이랬다
이 병이 나을 거라고 생각하세요이 병은 낫는 병이 아녜요” “환자 의지가 강한 건 알겠는데 이런저런 시도를 해서 몸에 고통 주지 말고 그냥 편하게 갈 수 있게” 
 
고령화 시대에 던지는 권씨의 메시지의 의미가 작지 않다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싸늘한 말기 통보에 상처받을 사람이 얼마나 될지 가늠이 안 될 정도다지난해 사망자는 처음으로 30만명(305100)을 넘어섰다교통사고·자살 등을 뺀 만성질환과 유사한 질병 사망자가 약 23만명에 달한다허대석 서울대병원 종양내과 명예교수는 "23만명은 대부분 '말기 통보과정을 거칠 것이며 고령화 시대에 피할 수 없는 과제"라고 진단한다말기 통보를 둘러싼 문제점과 대책을 13명의 전문가에게서 들어봤다


일반인이 만성콩팥병·간경변 등의 장기부전에 빠지면 92%가 의사에게서 말기 예후 설명을 듣길 원한다루게릭 같은 신경계 질환이나 뇌경색 등도 마찬가지다오시내·윤영호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지난해 말 일반인 1005의사 928명을 설문조사했더니 이렇게 나왔다환자의 알권리 인식이 매우 높다는 뜻이다


일부 의사는 시간을 할애해 섬세하게 말기 통보를 한다하지만 상당수는 그렇지 못하다는 게 본지 인터뷰에 응한 전문가들의 진단이다이유는 시간 부족이다서울의 한 대학병원 종양내과 의사는 17일 오후 57, 18일 100, 20일 오전 40명 진료한다다른 병원 의사는 오전 9~밤 9시 외래진료하는 날이 있다정지태 대한의학회장은 "의사에게 시간이 너무 없다. 3~5분 단위로 예약을 받아놓고 한창 얘기하면 대기 환자들이 불만을 표한다"고 말한다안기종 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3분 진료 환경에서 의사는 결과(말기 통보)만 알려준다어느 환자가 절망하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한다


이영미 고려대 의대 교수(의학교육교실)는 의사한테서 의학정보(말기 등의 나쁜 소식)만 전달받은 환자그룹과 공감·걱정·지속적 돌봄 메시지를 같이 받은 환자군을 분석한 네덜란드 논문을 소개했다두 그룹 다 처음에는 불안해졌다시간이 지나면서 공감 메시지를 받은 그룹만 불안이 감소했고의학정보를 정확히 기억했다

이 교수는 "환자에게 나쁜 소식을 잘 설명하려면 표정·감정을 살피고예후 등을 쉽게 표현하고질문을 받는 등 최소한 15~20분 걸린다"며 "대형병원 환자 쏠림이 심해 의료인력이 분산된 상태다의사 사명감만으로 절대 안 된다"고 말한다상급종합병원의 3, 30분 진찰료가 15330(재진)으로 똑같다


하지만 의사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김대균 인천성모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장은 "말기 통보는 반드시 의사가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의사는 항암치료가 안 되면 환자가 치료 실패로 받아들이고 자신을 비난할 것이라고 여겨 빨리 상황을 끝내고 싶어한다"고 말한다

김 센터장은 "그간의 치료를 종결하는 건 환자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환자를 포기하는 게 아니라는 걸 잘 설명하는 건 의사의 책무인데시간 탓은 말이 안 된다"며 "의사의 공감 능력이 떨어진다"고 말한다

미국처럼 암 진단 때부터 조기통합돌봄 서비스(완화의료)를 시작하는 게 대안이다서울대 윤영호 교수는 사망 6~12개월 전부터 한 사람의 인생 스토리 정리를 시작하자고 제안한다암 증상 관리심리적 고통 평가 후 지원향후 치료나 예후 설명가족 돌봄 지원 등을 시작한다아울러 사전연명의료의향서(존엄사 서약)를 설명해 작성하도록 유도한다유산 기부장기기증성년후견인 지정장례절차 등을 함께 준비하자는 것이다

윤 교수는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자원봉사자가 한 팀이 돼 이 서비스를 맡아야 한다"며 "2018년 2월 연명의료중단 제도를 시행했지만 이건 생의 최종단계에만 해당한다사전돌봄 서비스를 개시해야 진정한 웰다잉으로 가게 된다"고 말했다문재영 충남대병원 교수(호흡기내과)도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진찰료가 제대로 책정돼 있지 않은 등 완화의료 인프라가 너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울산대병원은 주치의들이 말기 통보 단계에서 호스피스를 연계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이 병원 고수진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주치의가 보내면 내가 말기환자인지 한 번 더 판단한다이어 환자가 자신의 말기 상태를 잘 알고 있는지모르면 설명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윤영호·김대균 교수는 "'호스피스=죽으러 가는 곳'이라고 잘못된 인식이 널리 퍼져 있어서 호스피스의 '()도 꺼내기 힘들다호스피스 용어를 없애고 조기통합돌봄을 확산하도록 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대석 교수는 "의료기술이 발전하면서 의사의 전공이 너무 세분화된다종합적으로 보는 의사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함께 보면 유익한 기사
말기암 보아 오빠 울린 "싸늘한 의사들"···韓 '3분 진료'의 비극

중앙일보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100세 시대요람에서 무덤까지 어떻게 준비하고 계시나요?
31년 기자생활 중 복지담당 21년의 지식을 나눌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