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23 Reflections on the coups
2020-01-08 00:00:00
재생수123
공감수1
댓글수
KOREA JOONGANG DAILY
미 외교관의 5ㆍ16, 12ㆍ12 회고
Among the many diplomats in Washington specializing in Korea, 90-year-old Robert Rich, former U.S. Ambassador to Belize, is one of those who witnessed all the important events in the Korea-U.S. relations.
He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s a newly commissioned naval officer on a U.S. destroyer in 1952.
The political affairs desk at the U.S. Embassy in Korea was his first post as a diplomat with the U.S. Department of State.
워싱턴에 한국통 외교관은 많지만 한ㆍ미 관계의 중대 사건을 모두 목격한 이 중 한 사람이 로버트 리치(90) 전 벨리즈 대사다. 그는 1952년 미 구축함 초급 해군 장교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이후 국무부 외교관으로 처음 부임한 곳이 주한대사관 정무과였다.
He oversaw the United Nations election monitoring work in Chuncheon, Gangwon, for the March 15 election in 1960 and reported the bribery and illegal activities to the United States.
At the time of the April 19 Revolution, he was at the scene of the police firing at college students in front of the presidential compound and escaped with the protesters into a building to send a telegram about the situation.
In the following year, he accompanied Acting Ambassador Marshall Green as a secretary for meetings with Combined Forces Commander Carter Magruder and President Yun Po-sun on the day of the May 16 coup.
그는 1960년 3ㆍ15 부정선거 때 강원도 춘천에서 유엔선거 감시 업무를 맡아 돈 봉투, 고무신 선거를 본국에 보고했고 4ㆍ19 혁명 때도 경무대 앞 경찰의 발포로 많은 대학생이 숨진 현장에서 시위대와 함께 건물 안으로 피신해가며 상황을 타전했다.
이듬해 5ㆍ16 쿠데타 당일 마셜 그린 대사 대행이 카터 맥그루더 연합사령관과 윤보선 대통령을 만날 때 서기 자격으로 동석했다.
Former Ambassador Rich served as a Korea desk chief in the Department of State through the four years of the Jimmy Carter administration.
He handled the Korea Gate, a case of illegal lobbying of the U.S. Congress, and struggled to have Carter’s campaign promise to withdraw U.S. Forces Korea retracted.
The assassination of President Park Chung Hee, the Dec. 12 military insurrection in 1979 and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 followed in Korea.
리치 전 대사는 지미 카터 행정부 4년 내내 국무부 한국과장을 지냈다.
미 의회 불법 로비 사건인 코리아 게이트를 뒤처리하고, 주한미군 철수 공약을 철회시키느라 곤욕을 치렀다.
이어 한국에서 79년 10ㆍ26과 12ㆍ12 사태와 1980년 5ㆍ18 민주 항쟁이 잇따랐다.
On Dec. 12 last year, he attended a seminar marking the 40th anniversary of the Dec. 12 coup hos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the Johns Hopkins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SAIS) and explained why the United Stated did not actively intervene in the two military coups in Korea.
The Korean leaders at the time refused Washington’s suggestion to have the forces on the demarcation line move southward to suppress the coup.
그런 그가 지난 12일 존스홉킨스대 국제대학원(SAIS) 한국학연구소가 주최한 12ㆍ12 4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한국의 두 번의 군사 쿠데타에 미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은 데 대해 통념과 다른 사실을 밝혔다.
당시 한국 지도자가 휴전선에 배치된 한국군 전방 사단을 남하해 쿠데타군을 진압하겠느냐는 미국의 제안을 거부했다는 것이다.
The situation was similar for the May 16 and Dec. 12 coups.
For the May 16 coup, Prime Minister Chang Myon was hiding, and President Yun Po-sun refused Ambassador Green and Commander Magruder’s proposal to move the unit on the front.
For the Dec. 12 coup, President Choi Kyu-hah could not be contacted, and Defense Minister Roh Jae-hyun refused the proposal by U.S. Ambassador William Gleysteen and Commander John Wickham.
They had the same reasoning for refusal: leaving the demarcation line would lead to a greater risk of invasion by the North Korean forces, and large-scale bloodshed could not be avoided among the Korean troops.
“5ㆍ16과 12ㆍ12엔 아주 유사한 사건이 있었다.
5ㆍ16 때는 윤보선 대통령(장면 총리는 은신한 상황)이 그린 대사와 맥그루더 사령관의 전방 사단 투입 제안을 거부했고, 12ㆍ12 때는 노재현 국방장관(최규하 대통령은 연락 두절)이 윌리엄 글라이스턴 대사와 존 위컴 사령관의 제안을 거절했다.
휴전선을 비울 경우 북한군 침략 위험이 크고, 한국군 간 대규모 유혈 사태가 불가피하다는 거절 사유도 똑같았다.”
SAIS Professor James Person said that the United States could not mobilize U.S. Forces in Korea at the time due to the concerns about the U.S. interference in domestic affairs and infringement on sovereign rights.
“However, proposing to move the front-line division to the south reflects how much interest the United States had in Korea’s democracy,” he added.
제임스 퍼슨 SAIS 교수는 “미국이 내정 간섭과 주권 침해에 대한 반발 우려 때문에 주한미군을 동원할 수는 없었지만, 반란군 진압을 위해 전방 사단 이동까지 제안했다는 점은 당시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관심을 반영했던 것”이라고 평가했다.
But once written, history does not allow assumption. Accountability of the United States for the two coups is still a controversial subject among the scholars of modern history, but it is a secondary issue.
The outcomes of the choices were devastating as we had to pave another way for a long time.
In the reflection of the old diplomat, one fact that did not change is a threat from North Korea.
하지만 한 번 쓴 역사는 가정을 허용하지 않는다.
여전히 현대사 학자들 사이엔 미국 책임론이 논란이지만 부차적인 문제다.
스스로 선택한 결과는 무참했다.
우린 오랜 시간 또 다른 길을 내야 했다.
노(老) 외교관의 회고 가운데 변치 않은 유일한 사실은 북한 위협뿐이다.
ⓒKOREA JOONGANG DAILY(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