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194 ‘Authoritarianism we’ve never seen’

2019-11-13 00:00:00

재생수154

공감수1

댓글수

KOREA JOONGANG DAILY

“한 번도 보지 못한 권위주의”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s shaping a new vision of authoritarianism, one the world has not seen for an awfully long time,” said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on Nov. 8, fiercely criticizing China’s communist system at the ceremony for the 30th anniversary of the fall of the Berlin Wall. He warned “we are in a competition of values with unfree nations,” and said “The wall is no more.”

“세계가 한 번도 보지 못한 새로운 버전의 권위주의를 만들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베를린 장벽붕괴 30주년 기념행사가 열린 지난 8일 중국 공산당 체제를 맹렬히 비난했다. 그는 “자유국가는 자유롭지 못한 나라와 가치 경쟁을 하고 있다”고 경고하면서 “장벽을 없애자(The wall is no more)”고 주장했다.



U.S. Vice President Mike Pompeo attacked the new Great Wall of China. When he spoke at the Wilson Center on Oct. 24, he said, “From the Party’s great firewall in cyberspace or to that great wall of sand in the South China Sea, from their distrust of Hong Kong’s autonomy, or their repression of people of faith all demonstrate that it’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at has been “de-coupling” from the wider world for decades.” He claimed that China’s opening was a mere declaration, and China still has built a wall against the world.

마이클 펜스 미국 부통령은 새로운 만리장성을 공격했다. 지난달 24일 윌슨센터 연설에서 “인터넷 만리 방화벽, 남중국해의 모래 만리장성, 홍콩 자치의 파괴, 신앙 탄압”을 열거하고 “중국 공산당이 세계로부터 ‘디커플링(탈동조화)’ 해왔다”고 단언했다. 중국의 개방은 선언에 불과할 뿐 세계와 담을 쌓고 있다는 주장이다.



China is responding to attacks from the United States by reinforcing its system. The so-called “China solutions” were passed at the Fourth Plenum. A total of 55 items in 13 areas covering politics, law, administration, economy, culture, military, unification, foreign policy and surveillance were proposed. The core ideas are one-party governance, the people’s democracy and co-ownership.

미국의 공세에 중국은 체제 다지기로 응수했다. 4중전회(4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른바 ‘차이나 솔루션’을 결의하면서다. 당·정치·법치·행정·경제·문화·민생·사회·환경·군대·통일·외교·감찰 등 13개 분야, 55개 각론으로 구성된 ‘중국 방안’을 제시했다. 일당 통치·인민 민주·공유제가 핵심이다.



Pro-government scholars are speaking up freely. I met Jin Canrong, a professor and associate dean of th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t Renmin University of China, at an open seminar on Oct. 31. He said that America’s “Taiwan card” has crossed the Maginot line, and if a military clash occurs in Taiwan, China has the upper hand in the first island chain of Okinawa, Japan, Taiwan and the South China Sea. He argued that China would pay a price, but it would be China’s victory in the end. If the clash happens, he warned, the United States would fall from being a global superpower to a regional power in the Americas overnight due to credit bankruptcy.

관변학자의 발언은 고삐가 많이 풀렸다. 지난달 31일 공개 세미나에서 진찬룽(金燦榮)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을 만났다. 진 교수는 “미국의 대만카드가 마지노선을 넘고 있다”며 “만일 대만에서 군사충돌이 벌어지면 제1도련(島鏈·오키나와-대만-남중국해) 안에선 중국이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도 대가를 치르겠지만 최종적으론 중국의 승리”라며 “그렇게 되면 미국은 신용파산으로 하룻밤 사이 세계대국에서 아메리카 지역 대국으로 추락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His based his argument on the DF-17 and DF-100 missiles presented at the military parade on China’s National Day last month. “It means that China is getting ready to use regular missiles included in strategic strikes” and “any hostile power against China is in danger within the first island chain.” He sounded as if he was ready to push the launch button.

그는 그 근거로 지난달 국경절 열병식에 선보인 둥펑(東風)-17과 둥펑-100 미사일을 내세웠다. “전략타격 대오에 포함된 정규(常規) 미사일은 (핵과 달리) 사용을 준비한다는 의미”라며 “제1도련 안에선 중국의 어떤 적대세력도 모두 위험하다”고 했다. 곧 발사버튼을 누를 듯한 어조였다.



American academia is just as aggressive. Last month, Kurt Campbell, former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and Ely Ratner, executive vice president and director of studies at the Center for a New American Security (CNAS), published “China Reckoning” on foreign affairs last year. The subtitle was “How Beijing Defied American Expectations.” They argued that the U.S. policy on China for the Chinese Civil War,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was a series of misjudgment, and urged for a more vigorous offensive.

미국 학계도 만만치 않다. 지난해 커트 캠벨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엘리 라트너 신미국안보센터장과 포린 어페어스에 '중국 심판'을 실었다. ‘베이징은 미국의 기대를 어떻게 거역했나’가 부제다. 중국내전·한국전쟁·베트남전 당시 미국의 중국정책은 오판의 연속이었다며 더 이상은 안 된다고 강공을 촉구했다.



The news about an imminent U.S.-China trade deal after their first-round negotiations and the news about their fierce hegemony rivalry coexist today. While Korean diplomacy focuses on North Korea, a new normal in world order is shaping.

미·중 무역 ‘1단계 협상’의 타결이 임박했다는 소식과 격렬한 패권경쟁 뉴스가 공존하는 요즘이다. 한국외교가 북한만 보는 사이 세계 질서의 뉴노멀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KOREA JOONGANG DAILY(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