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취재일기

허울뿐인 도서정가제, 무너지는 독서생태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배영대
문화스포츠부문 기자

10년 전에도 도서정가제를 놓고 출판계가 시끄러웠다. 1997년 등장한 인터넷 서점들이 할인판매를 하면서 정가제가 무너진 것이 원인이다. 매출이 준 오프라인 서점과 출판사들이 도서정가제 정상화를 들고 나왔다. 온라인 서점의 반대 속에 출판·서점계가 양분됐다. 정부가 중재를 나서 2003년 ‘출판 및 인쇄 진흥법’을 만든다. 발행 후 1년 미만의 도서에 한해 온라인 서점에서만 10%까지 할인을 허용한다는 내용이었다. 무분별한 ‘출혈 할인경쟁’을 막으려는 취지였지만 각종 편법이 동원됐고 결국 이 법의 의미는 얼마 안 가 무색해졌다.

 2007년과 2010년 두 차례 더 도서정가제 관련 법이 개정되면서 현행 ‘출판문화산업진흥법’에 이르게 된다. 77년 정찰제(정가판매제)가 도입된 이래 20년 넘게 유지해오다 지난 10년 새 세 번 바뀐 셈이다. 그런데 또 그 법을 고치자고 한다. 15일 국회에서 ‘도서정가제 개정을 위한 공청회’가 열렸다. 대한출판문화협회와 한국출판인회의는 ‘출판문화살리기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각종 통계는 출판계 불황의 심각성을 알린다. 94년 5683개였던 서점은 2011년 1752개로 급감했다. 국민(성인) 독서율은 94년 86.8%에서 2011년 66.8%로, 도서관 이용률은 2008년 33.3%에서 2011년 22.9%로 감소했다. 2011년 기준으로 전년 대비 매출액이 준 출판사는 전체의 40%에 달했다. 이런 추세는 지난 10년간 대개 이어졌지만 하나 달라진 것은 인터넷 서점의 매출도 2012년 상반기 첫 감소를 기록한 점이다. 오프라인·온라인 가릴 것 없이 어두운 그림자가 펼쳐진 것이다.

 출판계는 현행 도서정가제를 ‘무늬만 정가제’라고 비판한다. 현재 발행 후 18개월 미만의 도서에 한해 최대 19%까지 할인할 수 있다. 실용서와 초등학습참고서는 예외로 해 무제한 할인 가능하다. 18개월이 지난 책도 무제한 할인이고, 법정 공동단체가 구입할 때의 할인율도 무제한이다.

 2012년 11월 13일 현재 교보문고 광화문점 도서 중 12.8%만 정가제가 적용된다고 한다. 이런 정도를 정가제라고 부를 순 없을 것 같다. 지식·정보·문화 콘텐트의 저수지로서 책이 가진 공공재의 성격도 무시해선 안 될 것이다. 다만 2003, 2007, 2010년엔 그런 문제들을 몰랐느냐고 출판계에 반문하고 싶다. 프랑스·독일·일본 등 도서정가제 도입국을 충분히 참고해 2~3년 후 또 법 개정 소리가 안 나왔으면 한다. 양질의 책을 보다 싼값에 사려는 소비자의 정당한 바람도 외면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현재 책값에는 할인율을 고려한 거품이 포함돼 있다고 한다. ‘독서의 해’에 이런 얘기를 해서 안됐지만 10% 이상 거품을 뺀 값에 책을 공급하는 등 출판계의 자정 노력부터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