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수하게 생긴 독버섯은 10년 경력 산꾼도 깜빡 속지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왼쪽부터 삿갓외대버섯, 붉은싸리버섯, 독우산광대버섯.

지난달 28일 오후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 철마산(해발 786m) 계곡. 주민 김현덕(55·자영업)씨가 야생버섯을 가득 담은 봉투를 들고 산에서 내려왔다. 세 시간 동안 철마산 기슭에서 채집한 것이다. 김씨는 10여 년째 야생버섯을 채취해 온 ‘꾼’이다.

 취재진과 동행한 국립수목원의 한상국(38·농학) 박사가 김씨가 따온 100여 개의 야생버섯을 펼쳐 놓고 감별을 시작했다. 외대덧버섯·뽕나무버섯·노란젖버섯·노루궁뎅이버섯 등 먹을 수 있는 버섯이 대부분이었다. 갑자기 한 박사가 아찔한 표정을 지었다. 맹독성인 양파광대버섯이 발견된 것이다. 언뜻 봐선 식용버섯처럼 보이지만 복통·설사·어지럼증을 유발하고 심하면 목숨까지 잃을 수 있는 버섯이다. 양파광대버섯 14개 외에도 독버섯인 외대버섯 4개도 나왔다.

 한 박사는 뿌리가 작은 공 모양인 게 특징인 양파광대버섯 사진과 독성에 대한 설명이 게재된 일본어판 도감을 김씨에게 펼쳐 보였다. 김씨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그는 “독버섯은 통상 색깔이 화려한 줄 알았는데 반드시 그런 게 아니란 건 처음 알았다”며 “갈색에다 모양까지 갓버섯과 비슷해 식용인 줄 착각해 독버섯을 땄다”고 말했다. 그는 “평소 직접 딴 버섯을 소금물에 하루 이틀 담가뒀다가 먹어왔는데 별일 없었다”면서도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12년째 버섯 분류 업무를 맡고 있는 한 박사도 두 종류의 식용버섯은 도감을 확인하고서야 식용 여부를 최종 판정했다. 그는 “식용 가능한 버섯은 320여 종, 독버섯은 90여 종으로 워낙 종류가 많은 데다 모양도 비슷한 게 많아 전문가조차 독버섯을 정확히 가려내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한 박사는 “독버섯을 소금에 절여 먹는다고 결코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며 “송이·능이버섯 등 손쉽게 구별 가능한 버섯을 제외한 야생버섯은 가급적 먹지 않는 게 상책”이라고 조언했다.

 국립수목원은 최근 독버섯 중독 주의보를 내렸다. 수목원 측은 야생버섯을 먹고 복통·설사 등 이상증세가 나타나면 음식물을 토하고 먹다 남은 버섯을 들고 병원으로 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독버섯은 각기 다른 독소물질을 지니고 있어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