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임권택·박찬욱 그리고 김기덕 … 그 다음이 문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영화 ‘피에타’에서 ‘엄마’(조민수·왼쪽’)가 ‘강도’(이정진) 앞에서 무릎을 꿇고 있다. ‘피에타’는 청계천의 철물공장 등을 배경으로 돈에 짓눌려 사는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하고 있다. 조민수는 심사위원들로부터 여우주연상 후보로 꼽혔으나 황금사자상 수상작은 기타 주요 부문 상을 탈 수 없다는 영화제 규정에 따라 수상하지 못했다. [사진 NEW]

“김기덕 감독의 이번 수상은 한국영화 100년사에 최대 쾌거입니다.”

 한국 예술영화 해외진출의 1등 공신인 김동호(75) 부산국제영화제 명예집행위원장이 올 베니스영화제에서 ‘피에타’로 최고의 영광을 안은 김기덕 감독에게 전하는 축하인사다. 그는 9일 본지와의 전화통화에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이 1951년 ‘라쇼몽((羅生門)으로 그랑프리를 받은 이후 일본영화계가 중흥기를 맞았듯 김 감독의 쾌거는 최근 활력을 되찾고 있는 충무로가 일대 도약하는 전기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 감독의 이번 수상은 산업적·예술적으로 성숙해가고 있는 한국영화의 저력을 보여준 ‘사건’이다. 한국영화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찍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 동안 국제영화제에서 꾸준히 낭보를 알려왔지만 중국·일본 등에 비해 ‘변두리’로 인식됐던 한국영화의 파워를 당당하게 알리게 됐다

 ◆한국영화의 꿈=1960년대 전성기를 누렸던 한국영화는 1980년대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박광수·이명세·장선우 감독 등 젊은 감독들의 수작이 나오면서부터다. 87년 강수연이 ‘씨받이’(감독 임권택)로 베니스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으면서 세계의 문을 두드리기 시작했다. [아래 수상기록 참조]

 2000년대 한국영화 산업은 르네상스를 맞는다. ‘쉬리’(1999), ‘공동경비구역 JSA’(2000), ‘친구’(2001), ‘살인의 추억’(2003) ‘괴물’(2006) 등 초특급 히트작이 잇따랐다. 대기업 자본이 충무로에 들어오면서 제작-배급-상영이란 산업적 시스템도 완비 됐다. 그만큼 시장의 파이가 커진 셈이다.

 드라마·가요에 밀려 주춤했던 충무로는 올해 다시 활개를 펴는 모양새다. 1200만 관객을 돌파한 ‘도둑들’ 등 화제작이 쏟아지면서 올 상반기 한국영화 관객수는 총 4418만 명(영화진흥위 집계)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6%나 증가했다.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던 2006년 상반기보다 270만 명이 많은 수치다.

특히 지난달 한국영화는 70.2%라는 놀라운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한국영화 제2 전성기’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김기덕 감독의 수상 밑바탕에도 이런 ‘한국영화(K-Movie)의 힘’이 깔려있다. 영화평론가 곽영진씨는 “상업영화와 예술영화가 함께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한국영화가 좋더라’라는 식의 인지도가 올라간 게 김기덕 감독 수상의 배경이 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1961년 베를린영화제에서 특별은곰상을 받은 ‘마부’(감독 강대진). [중앙포토]

 ◆작가영화의 약진=충무로는 그간 세계가 주목하는 작가주의 감독을 꾸준히 배출해냈다. 이창동·홍상수·박찬욱·김기덕 등이다. 실제로 세 감독은 앞서거니 뒤서거니 세계 3대 영화제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여왔다. 한국전쟁·산업화·민주화라는 한국 특유의 역동적 현대사가 이들 감독들의 영화적 자양분이 됐다.

 영화평론가는 강유정씨는 “내수시장에서 대중영화가 잘 팔리면서 한 축에서는 예술영화도 공존하는 나라는 한국 이외에 별로 없다. 우리나라 영화계의 특수성이자 저력”이라고 설명했다. 강씨는 “감독 개인의 역량이 돋보이는 스토리의 힘이 있었기 때문에 세계에서 경쟁할 수 있었다”며 “김기덕·박찬욱·이창동 이후 세대의 신인감독을 적극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부산영화제 전찬일 프로그래머는 “한국영화가 놀랍게 성장한 만큼 그 뒤에는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있다. 상업영화와 예술영화, 자본과 창작의 균형을 맞추는 정책과 지원 등 장기적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세계 3대 영화제 한국영화 수상 기록

▶1961년 ‘마부’(감독 강대진) 베를린 특별은곰상

▶1987년 ‘씨받이’(임권택) 베니스 여우주연상(강수연)

▶2002년 ‘취화선’(임권택) 칸 감독상

▶2002년 ‘오아시스’(이창동) 베니스 감독상(은사자상) 신인배우상(문소리)

▶2004년 ‘사마리아’(김기덕) 베를린 감독상(은곰상)

▶2004년 ‘올드보이’(박찬욱) 칸 심사위원대상

▶2004년 ‘빈집’(김기덕) 베니스 감독상(은사자상)

▶2007년 ‘밀양’(이창동) 칸 여우주연상(전도연)

▶2009년 ‘박쥐’(박찬욱) 칸 심사위원상

▶2010년 ‘시’(이창동) 칸 각본상

▶2010년 ‘하하하’(홍상수) 칸 ‘주목할 만한 시선’상

▶2011년 ‘파란만장’(박찬욱·박찬경) 베를린 단편부문 금곰상

▶2011년 ‘아리랑’(김기덕) 칸 ‘주목할 만한 시선’상

▶2012년 ‘피에타’(감독 김기덕) 베니스 황금사자상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