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박찬일의 음식잡설 (25) 손님은 프로다운 음식 원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4면

박찬일 음식 칼럼니스트

자영업자가 700만 명이 넘었다고 한다. 그중 다수가 식당업이다. 인구 110여 명당 식당이 하나란다. 경제활동 인구로 보면 50여 명당 하나꼴이 된다. 이 시간에도 식당 ‘문을 여는’ 사람은 있다. 적은 자본으로 비교적 쉽게 시장 진입이 가능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만큼 망하는 경우도 잦다. 개업 후 1년을 넘기는 경우가 드물다. 문을 닫으면 그 자리에 새 식당이 들어선다. 실내장식과 간판업만 호황이라는 뼈 있는 농담이 나돈다.

그런데도 개업을 준비하는 예비업자는 줄을 섰다. 취직을 포기한 청년 창업에다 베이비붐 세대의 대규모 퇴직까지 겹쳤다. 게다가 경기 하강국면이다. 앞으로 몇 년 내 외식산업의 끔찍한 상황을 예견하는 이가 많다. 기존 식당도 성공이 아니라 망하지 않기 위해 버틴다. 이 바닥에서 십수 년 동안 식당을 해온 필자도 남의 일이 아니다. 그런데 기왕 시작하는 식당, 망하지 않게 제대로 하는 데는 그다지 관심이 없는 것 같다. 식당을 여는 데만 바쁘지 무얼 어떻게 팔아야 하는지 준비가 잘 안 돼 있다.

나는 겁 없이 뛰어드는 창업자를 보면 깜짝 놀란다. 프렌차이즈 설명회에 한두 번 참석하고 덜컥 계약한다. 복덕방 말만 듣고, 큰 고민 없이 식당 자리를 얻기도 한다. 내가 아는 한 친구는 식당을 열려는 지역의 유동인구를 계산하려고 골목에 낚시의자를 갖다 놓고 일주일을 앉아 있었다. 유동인구를 연령과 성별로 분류한 자료를 토대로 메뉴를 짰다. 여성이 많다는 걸 감안해 간판 모양도 여성 취향으로 바꿨다. 인근 지역 사무실 직원의 평균 연봉을 조사해 음식 가격을 매겼다. 맛있다는 식당의 비결을 캐기 위해 6개월 동안 집요하게 가서 사먹었다. 개업 후에는 새벽마다 시장 세 곳을 돌아 가장 싸고 싱싱한 재료를 사들였다. 싸고 맛있고 푸짐하다는 식당의 기본 3박자를 갖췄다. 그런데도 겨우 먹고사는 정도라고 탄식한다.

영업이 부진한 업주에게는 뭔가 이유가 있다. 대개는 이렇게 말한다. “음식은 괜찮은데 목이 안 좋아서….” 틀린 말이 아닐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식당의 상당수는 뜻밖에도 정작 음식이 시원찮다. 식당의 핵심은 음식이라는 걸 놓치고 있는 것이다.

아마추어리즘도 문제다. “이 장사를 처음 해봐서…, 부족해도 잘 봐주세요”라며 동정을 구한다. 그러나 손님은 냉정하다. 프로다운 음식을 원한다. 사람은 원래 자기 입에 들어오는 음식에 대해 보수적이다. 진화의 과정에서 그렇게 프로그래밍되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잘못 산 5만원짜리 원피스는 후회하더라도 곧 잊는다. 그렇지만 만원짜리 음식이 문제가 있으면 오래도록 기억한다.

사람마다 표준적인 자기 입맛이 있어서 섣불리 새로운 맛에 잘 도전하지 않는다. 옷은 아방가르드로 최신 패션을 입지만, 음식은 할머니 된장찌개를 좋아하는 게 사람의 심리다. 이런 사람의 입맛을 만족시키는 건 생각보다 어렵다. 과연 나는 식당을 하기 위해 얼마나 준비했나, 그걸 먼저 묻고 시작해야 할 것 같다.

박찬일 음식 칼럼니스트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