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약도 없는 장마철 불청객, 수족구병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78호 18면

질병관리본부에서 최근 영·유아 수족구병이 급증하고 있어 위생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고 한다. 수족구병(手足口病, hand, foot and mouth disease)은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물집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콕사키바이러스에 의한 전염성 질환이다. 콕사키란 용어는 뉴욕주(州) 콕사키 지역에서 처음으로 이 바이러스를 분리시켰기에 명명된 것이다. 콕사키바이러스는 장(腸)바이러스 종(種)에 속하는데 이는 다시 피코르나바이러스 속(屬)에 속한다. 장바이러스 종에 분류되는 이유는 이 바이러스가 장에서 생존하면서 대변으로 퍼져나가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원장원의 알기 쉬운 의학 이야기

수족구병은 요즘 같은 여름과 가을에 유행하는데, 콕사키바이러스가 상대습도가 높은 곳에서 감염성을 오래 유지하기 때문이다. 생후 6개월 이내의 젖먹이에게는 드물고 주로 6개월 이후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한다. 특히 1살에서 3살 사이의 어린이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그 이후로 차츰 감소해 10세 이후에는 드물게 된다.

수족구병은 작은 물집이 손, 발, 그리고 입안에 생기는데 손이나 발에 생긴 물집은 가렵거나 아프지는 않다. 그러나 입안에 생긴 물집은 이내 터져서 궤양이 되며, 통증이 심해 음식을 먹기 힘들어진다. 때로는 엉덩이에도 나타나는데 엉덩이에는 물집이 아닌 빨간 발진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수족구병은 위험한 질환은 아니어서 치료 없이도 대부분 7~10일 안에 회복된다. 그러나 드물게 뇌수막염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현재로서는 수족구병에 대한 예방접종이나 바이러스 치료제가 없으므로 예방이 제일 중요하다. 수족구병은 콧물, 침, 그리고 물집에서 나온 진물에 의해 감염되기도 하며 감염된 사람의 대변을 직접 접촉한 손을 입에 가져갈 때 전파된다. 전염성이 높은 시기는 첫 증상이 나타날 때부터 수포성 발진이 사라질 때까지지만, 수주일까지도 대변으로 바이러스가 나와 전염성이 유지될 수 있다

수족구병과 유사한 질환으로 구제역(口蹄疫, 입발굽병)이 있다. 제(蹄)는 짐승의 발굽을 의미한다. 구제역은 소·돼지·염소·양 등 동물의 입과 발굽 주변에 물집이 생기는 질병으로 구제역바이러스 종(種)에 의해 발생하며 피코르나바이러스 속(屬)에 속해 있어서 수족구병과 친척 관계다. 다행히 사람에게 전염되지는 않으나 사람에게 생기는 수족구병과 증상이 유사하다. 영어로는 foot and mouth disease다. 동물에게는 손이 없기 때문이다.

손이 들어가는 질환명을 몇 개 더 소개한다. 양발-한손 증후군(Two feet-one hand syndrome)은 양 발에 무좀이 있는 사람에서 한쪽 손에도 무좀이 생기는 것으로 발의 무좀을 한쪽 손가락으로 긁고 나서 다른 손을 만지기 때문에 한쪽 손에만 무좀이 나타나는 것이다. 손발증후군(hand-foot syndrome)은 손바닥과 발바닥이 벌겋게 붓고 아픈 통증이 동반된 경우로 대개 항암제 주사 후에 항암제가 혈관 밖으로 스며 나오면서 주변 조직에 손상을 주면서 발생한다.

어깨손증후군(shoulder-hand syndrome)은 한쪽 어깨가 아프고 뻣뻣하며 같은 쪽 손이 붓고 통증이 있는 것을 말한다. 뇌경색 후 마비된 팔에 잘 오며 손을 다쳤거나 심근경색증이 있은 후에 나타나기도 하나 원인 불명인 경우도 있다. 일종의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으로 설명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