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漢字, 세상을 말하다] 端午 단오

중앙일보

입력

음양으로 따지면 홀수인 기수(奇數)는 양(陽)이요, 짝수인 우수(偶數)는 음(陰)이다. 기수가 겹치면 생기(生氣)가 배가된다. 그래서 음력 3월 3일이나 5월 5일, 7월 7일, 9월 9일은 모두 중요한 날로 여겨졌다. 그중에서도 5월 5일 단오(端午)는 1년 중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때라 해서 큰 명절로 간주됐다. 설날·한식·한가위와 함께 4대 명절로 꼽힌다.

단오의 ‘단(端)’은 ‘처음’을 뜻하며 ‘오(午)’는 ‘오(五)’ ‘다섯’을 의미한다. 단오는 따라서 초닷새(初五日)라는 뜻이다. 중오절(重五節)이나 천중절(天中節), 단양(端陽)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말로는 수릿날이라 한다. ‘수리’에는 ‘높다(高)’ ‘위(上)’ ‘신(神)’ 등의 의미가 담겨 있어 수릿날은 ‘높은 날’ ‘신을 모시는 날’ 등의 뜻을 지니게 된다.
또 단오엔 산에서 자라는 수리취(戌衣翠)란 나물을 뜯어 떡을 해 먹었는데, 그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둥글기 때문에 수릿날이란 이름이 나왔다고도 한다. 수뢰(水瀨·여울)에 밥을 던져 굴원(屈原)을 제사 지낸 데서 수릿날이 됐다는 말도 있다.

단오에 빠질 수 없는 인물이 중국 초(楚)나라의 굴원이다. 간신의 모함으로 주군(主君)의 신뢰를 잃자 멱라수(覓羅水)에 몸을 던지니, 그날이 5월 5일이다.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슬퍼해 대나무통에 쌀을 넣어 물속에 던져 제사를 지낸 데서 대나무 잎으로 싸서 찐 떡을 먹는 풍습이 생겼다. 중국에선 또 그의 혼을 건지기 위해 배를 타고 경쟁적으로 달려간 데서 작은 보트들의 레이스인 용선경도(龍船競渡)의 풍속이 생겼다.

예부터 음력 5월엔 비가 많이 와 나쁜 병이 유행하기 쉬워 액(厄)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예방조치가 취해졌다. 쑥으로 떡을 해 먹거나 창포(菖浦)를 삶아 창포탕을 만든 뒤 그 물로 머리를 감는 것 또한 쑥과 창포의 강한 향기와 약성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단옷날 양기가 가장 강한 시각인 오시(午時)에 목욕을 하게 되면 무병(無病)한다는 속설이 있다. 올해 단오는 양력 6월 24일, 바로 오늘이다. 단오는 본격적인 더위 직전의 시기로 여겨졌는데 이젠 지구온난화 탓에 무더위가 한창인 때로 바뀌고 있다. 이쯤 되면 고사성어와 절기 사이에 엇박자가 나기 십상이다. 시원한 단오부채(端午扇)가 그립다.

유상철 scyo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