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불확실성 리스크 줄여라’ 2012 재테크 캘린더 꼼꼼 이용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2012년이 밝았다. 올해는 60년 만에 찾아오는 ‘흑룡(黑龍)’의 해다. 주식시장에도 상서로운 기운이 깃들길 투자자들은 고대한다. 그런데 2012년은 ‘지구 종말’의 해로도 해석된다. 고대 마야인들의 달력은 기원전 3114년 8월 13일을 시작으로 2012년 12월 21일에 끝난다. 혹여 올해 시장이 코스피지수 1000선까지 내줬던 2008년처럼 되지 않을까 걱정하는 투자자도 나올 법하다.

기대와 우려 사이, 투자자들의 마음을 흔들 만한 ‘어떤’ 일들이 ‘언제’ 벌어질까. 유비무환(有備無患)이다. 미리 알고 대비한다면 투자 성공에 이르는 길을 좀 더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남들이 미리 대비하지 못해 우와좌왕할 때 거꾸로 대어를 낚을 수도 있다.

‘머니&’이 올 한 해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및 이벤트를 정리했다. 가위로 오려두고 1년 내내 곁에 두면 투자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이 될 것이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분기
그리스 총선 결국 디폴트 가나

1월 전망은 나쁘지 않다. 최근 미국 경제가 조금씩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4일 발표된 지난해 12월 미국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지수는 53.9이었다. 전달(52.7)은 물론이고 예상치(53.4)를 웃돈다.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27일에는 신규 주택 관련 지표가 발표된다. 지난해 11월 주택 착공 건수는 19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추세 변화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안심하기엔 이르다. 남유럽 국가들의 국채 만기가 2~4월에 몰려 있다. 이 기간 만기가 돌아오는 이탈리아 국채는 1610억 유로(약 243조원)에 달한다. 자칫 유로존 3대 경제국인 이탈리아의 위기가 유로존 전체, 나아가 글로벌 위기로 전염될 수 있다. 2월 치러질 그리스 총선에서 긴축에 반대하는 세력이 집권할 경우 그리스가 디폴트로 갈 수도 있다.

 3월 초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선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의 당선이 유력해 보이지만 최근 거세지는 민주화 바람이 심상치 않다. 정치 소용돌이 속에 자원 부국인 러시아 경제가 흔들리면 원자재값 상승을 촉발할 수 있다. 3월 29일 예정된 이란 총선도 변수다. 반미 성향의 급진세력이 집권할 경우 국제유가를 밀어올릴 수 있다.

2분기

달려라 한국 증시
‘MSCI 선진지수’ 도전

4월 15일은 북한 김일성 전 주석 탄생 100주년이다. 북한은 원래 이날을 ‘강성대국 건설을 위한 원년의 해’로 선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하면서 계획이 차질을 빚게 됐다. 아직 김정은 체제로의 권력 이양은 불확실하다. 혹여 100일 탈상도 끝난 이 즈음 김정은이 무력 행동으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낼 수도 있다. 북한 리스크에 따른 시장 불안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

 일주일 뒤에는 프랑스 대통령 선거가 있다.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의 연임 여부가 주목된다. 교체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그렇게 되면 현재 의회에서 통과된 재정개혁안을 지속할 수 있을지 여부가 불확실하다.

 2분기 시장에 악재만 있는 건 아니다. 6월 한국 증시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지수 편입 여부가 결정된다. 지난해 10월 한국거래소와 MSCI 측은 지수 편입 협상의 최대 걸림돌 가운데 하나였던 코스피지수 정보이용료 문제를 타결했다. 3년 연속 실패를 딛고 편입에 성공하면 MSCI를 추종하는 펀드 자금은 보통 1년 유예기간을 거쳐 포트폴리오를 조정한다. 시장에서는 적게는 10조원, 많게는 20조원의 외국인 자금이 신규 유입될 것으로 기대한다.

3분기

중국 시진핑 시대
경기 부양 나설 듯

유럽연합(EU)은 지난해 12월 초 정상회의에서 새로운 ‘재정협약체제’를 만들기로 했다. 이에 따르면 5000억 유로 규모의 상시 구제금융기구인 유로안정화기구(ESM)가 7월에 출범한다.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의 4400억 유로와 국제통화기금(IMF)의 2000억 유로를 합하면 총 1조1400억 유로의 위기 진화용 돈줄이 확보된다. 다만 일부에선 문제 해결을 위해선 2조 유로 이상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ESM 출범으로 시장 불안이 해소될지 미지수다.

 중국은 10월 열리는 제18기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 차기 지도부를 선출한다. 국가 주석·총리 등 9명의 상무위원이 바뀐다. 후진타오(胡錦濤·호금도) 주석 자리는 시진핑(習近平·습근평) 부주석이 유력시된다.

 그러나 사전 정지작업은 여름에 시작된다. 일명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다. 한 번도 중국 정부가 이 회의를 공식 발표한 적은 없다. 그러나 1953년부터 매년 7월 말이나 8월 초 당·정·군 최고지도자들이 모여 국가 중대사를 결정한다. 지도부 교체 후에도 정치적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성장률을 높이고 고용을 창출해야 한다. 3분기부터는 중국 정부가 본격적인 경기부양에 나설 것으로 기대된다.

4분기

겨울 대선 누가 돼도
경제정책은 ‘분배·복지’

4분기는 정치의 계절이다. 11월 초 미국 대통령 선거가 있다. 경기 여건상 미국 민주당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연임이 만만치 않다. 과거 사례를 보면 정권 연장에 성공하려면 집권 4년차 때 최저 3.5%의 경제 성장을 이뤄야 했다. 그런데 오바마 대통령 4년차인 올해 미국 경제 성장률 예상치는 2%대 초반에 불과하다.

 공화당이 정권을 탈환할 경우엔 한반도 정세 변화가 예상된다. 현재 유력한 공화당 후보인 밋 롬니나 뉴트 깅그리치 모두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공화당 집권은 주요 2개국(G2)으로 떠오른 중국과 미국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한국도 대통령 선거가 12월에 있다. 앞서 4월에는 총선도 있다. 올해 국내 정치·사회적 불안정성은 매우 높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우리 경제의 대외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또 자세히 보면 여야 간 정책 차이는 크지 않다. 다만 수출 대기업에 유리한 원화 약세(고환율) 정책은 힘을 잃을 것이다. 성장 일변도에서 분배와 복지를 강조하는 정책으로 힘이 실리면서 중소기업들이 상대적으로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