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조희연 성공회대 NGO대학원장 “박원순 당선, 시민운동의 위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박원순 서울시장의 탄생은 시민운동에는 거대한 도전이다. 권력 감시의 최선봉에 섰던 인물이 감시의 대상이 됐다. 시민운동 세력이 새 시장에 대한 감시의 끈을 느슨하게 하면 시민운동은 위기에 빠진다. 더 강하게 비판하고 수준 높은 감시 역량을 보여주어야 시민운동이 올바로 설 수 있다.”

 2일 오후 서울 구로구 항동 연구실에서 만난 조희연(55) 성공회대 NGO대학원장은 “박원순 서울시장의 등장이 한국 사회에 의미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1956년생 동갑내기인 조 원장과 박 시장은 1994년 참여연대 창립 멤버로 만나 17년간 함께 시민운동을 해 왔다. 박 시장은 2002년 참여연대를 떠났지만 조 교수는 참여연대에 남아 현재는 정책자문위원회 부위원장이다. 서로 너무 잘 안다. 그런 조 교수가 “박원순 시장의 등장은 시민운동 진영의 위기 혹은 새로운 도전”이라고 규정했다. 그 이유를 물었다.

 -시민운동의 승리라고 할 시점에서 시민운동의 위기를 내세우는 이유는.

 “시민운동의 대표 아이콘으로 권력 감시 운동의 대표주자였던 박 시장이 감시 대상이 됐다. 전 세계적으로 희귀한 현상이고, 한국 시민단체가 처한 새로운 현실이다. 시민운동세력은 박 시장의 배출을 자축만 할 수 없다. 수준 높은 감시 역량을 보여줘야 한다. 그래야 신뢰를 얻는다. 박 시장의 등장으로 시민운동이 언젠가는 정치화할 수 있는 세력으로 보이게 됐다. 앞으로 더욱 엄격하게 선을 그어야 하는 이유다.”

 -서울시에 시민운동 진영 인사들이 대거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시민운동 엘리트가 정치 엘리트로 유입되는 것은 한국적 특성이다. 다만 앞으로 시민운동 종사자들은 진로를 선택해야 한다. 이들은 박원순의 서울시에 유입될 것이고 총선과 대선을 거치면서 추가로 갈 가능성이 크다. 그건 좋다. 하지만 시민단체의 가장 소중한 미덕은 여전히 정당 및 정치와 거리를 두면서 권력을 감시하는 것이다. 시민단체에 남을 사람은 한눈 팔지 말아야 한다.”

 -시민단체의 역량 약화를 우려하나.

 “역량은 곧 고갈될 수 있다. 지금도 많은 시민단체 인재들이 정치로 투입됐다. 저수지가 고갈하면 시민운동은 몰락한다.”

 -시민운동의 정치 중립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했는데 그 경계가 모호하다.

 “시민운동은 운동의 진정성을 믿어주는 시민이 있어야 존재할 수 있다. 모든 형태의 권력은 부패할 수 있다. 그래서 권력은 ‘시어머니’가 필요하다. 과거의 박원순을 알기에 난 그의 순수성을 믿는다. 그의 지난 행보들이 마치 정치 진출을 하기 위한 기반 닦기였다고 오해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난 MB 정권이 들어서면서 그에게 닥친 개인적인 상황이 그를 정치 참여로 이끌었다고 본다.”

 -정치인 박원순의 등장으로 변한 것은 무엇인가.

 “지금은 정치 불신이 크다. 세계적 신자유주의적 흐름에서 젊은 세대와 자영업자, 비정규직 등 피해집단이 나왔다. 그가 당선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이런 시대의 흐름이 있었다. 한국에선 정치에 대한 ‘열광과 좌절의 사이클’이 반복된다. 참여정부 등 과거 여당 때도 늘 ‘인물이 없다’는 탄식을 했다. 정당이 해결할 수 있는 폭이 제한적이라서 그렇다. 때문에 기존 정당과 거리를 두는 잠재적 정치 엘리트들은 반사이익을 얻게 된다. 박원순 시장의 당선도, 안철수 교수 현상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서울시는 어디로 가야 하나.

 “박 시장의 장점인 가진 자들의 선의와 협력을 끌어낼 수 있는 능력을 이용해야 한다. 박 시장은 ‘미다스의 손’을 갖고 있다. 의제 가공 능력이 탁월하다. 그가 ‘타워크레인에서 농성하는 김진숙의 좌절과 분노의 정치’와 ‘안철수의 공감의 정치’를 잘 결합해 주길 바란다.”

 -참여연대는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가장 무섭고, 매서운 시어머니가 될 것이다. 서울시정을 감시하는 별도의 조직을 만들 수도 있다. 이런 고민은 이미 내부에서 진행 중이다.”

글=전영선 기자, 사진=김성룡 기자

◆조희연(55)=참여연대 창립 멤버로 활동한 시민운동 그룹의 대표적 학자다. 전북 정읍 출신으로 서울대와 연세대에서 사회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논문은 ‘한국 사회운동조직에 관한 연구’다. 저서로 『한국사회구성체논쟁(공저)』 『NGO가이드』 등이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