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열린 광장

한·러 가스관, 북한 불확실성 최소화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이유신
영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2008년 9월 한국과 러시아가 추진하기로 합의한 한·러 가스관 건설 계획은 경색된 남북관계로 인해 현재까지 이렇다 할 진전이 없었다. 하지만 얼마 전 개최된 북·러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러 가스관 건설 계획이 다시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정상회담 이후 러시아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내가 이해한 바로는 북한도 러시아와 한국이 참여하는 3국 간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데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여기서 한 가지 특이할 만한 사항이 있다. 바로 러시아가 북한을 통과하는 육상 가스관을 선택했다는 사실이다. 특히 이 선택은 러시아 가스관 정책의 핵심 축이라 할 수 있는 유럽에 대한 정책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이례적이다. 2000년대에 들어 러시아는 신규 가스관의 노선을 결정함에 있어 예측 불가능한 통과국을 배제하는 정책을 추구해 왔다. 이 정책은 2006년 새해에 발생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가스분쟁 이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됐다.

 이러한 정책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노드 스트림(Nord Stream) 가스관이다. 이 가스관은 러시아와 독일을 발트해 해저로 잇는 파이프라인으로 지난 5월 제1단계 공사가 완료됐다. 여러 전문가는 이 해저 가스관의 단점 중 하나로 육상에 건설되는 가스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건설비용을 꼽았다. 하지만 러시아 당국은 노드 스트림 가스관을 건설함으로써 예측 불가능한 통과국인 우크라이나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었다.

 러시아의 이러한 정책은 사우스 스트림(South Stream) 가스관에서도 엿볼 수 있다. 이 가스관은 러시아와 유럽을 흑해 해저로 잇는 파이프라인으로 2007년 건설이 계획됐다. 러시아 당국이 사우스 스트림 가스관 건설을 추진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예측 불가능한 통과국인 우크라이나라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물론 사우스 스트림 가스관도 노드 스트림 가스관과 마찬가지로 해저에 건설될 예정이기 때문에 건설비용이 매우 높다.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러시아가 북한을 경유하는 육상 가스관 건설에 적극성을 보인다는 사실은 매우 이례적이다. 2009년 이임을 앞둔 주한국 러시아 대사 글레브 이바셴초프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우크라이나보다 더 예측이 불가능한 국가라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한반도에서 이례적인 가스관 정책을 추구하게 된 데에는 한국 정부의 역할도 크다. 한국은 러시아와 육상 가스관 이외에 두 가지 방법을 통해 가스를 거래할 수 있다. 해저 파이프라인과 LNG선을 통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런 세 가지 옵션 중 한국 정부는 육상 가스관을 가장 선호해 왔다. 이는 한 손에 북한이라는 불확실성을 안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육상 가스관을 선택하느냐, 아니면 한 손에 북한이라는 불확실성을 배제하고 높은 비용의 해저 가스관 혹은 LNG선을 선택하느냐의 문제에서 한국 정부가 전자를 선택했다는 의미다. 북한이라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할 때다.

이유신 영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