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국, 작년 원유 유출 때 트위터로 민심 진정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27호 06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미국 등 해외 각국에서 이미 정부 정책을 설명하고 유권자와 직접 소통하는 중요 채널이다.

외국 정부의 SNS 활용법

2008년 대선 때 SNS를 적극 활용한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사진)이 이런 문화를 선도한다. 오바마는 지난달 19일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아버지가 된다는 건 가장 힘든 일이지만 가장 보람된 일”이라고 ‘아버지의 날’을 맞는 소감을 띄웠다. 글 말미에 자신이 직접 썼다는 것을 뜻하는 ‘-BO’라는 단어를 넣었다. 페이스북에선 “우리 대통령 세계 최고!(We have the best president in the world!)” “나라의 아버지가 되는 건 훨씬 더 힘들죠(It wud still harder to be father of nation)” 등의 댓글 8177개가 올랐다.

오바마 정부는 신뢰 위기를 부를 뻔한 대형사고를 SNS 홍보로 막은 적이 있다. 지난해 4월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의 멕시코만 원유 유출사고 때 생긴 늑장대응 논란이다. 이 사고는 당시 오바마 대통령이 예정된 호주·인도네시아 순방을 취소하고 멕시코만으로 달려갈 정도로 민감한 현안이었다. 논란이 일자마자 오바마 정부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재빨리 계정을 만들고 원유 유출량과 복구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개해 민심을 잡았다.

영국은 2009년 고든 브라운 총리 시절 트위터를 적극 이용하라고 정부 각 부처에 지시했다. 특히 “구어체 영어를 사용해 하루에 2∼10개의 트윗을 작성하고 국민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받으라”는 상세 활용원칙까지 제시했다. 총리실·외무부 등 보안을 강조하던 정부 부처가 앞다퉈 트위터 계정을 만들고 정책 설명에 나섰다. 현 내각의 데이비드 캐머런(45) 총리, 닉 클레그(44) 부총리 등 젊은 각료들은 개인 트위터를 유권자 접촉에 활용한다. 마틴 유든 주한 영국대사가 지난 7일 자신의 트위터에 “동계올림픽 평창 유치 축하 축하, 지금 기분이 어떨지 런던은 잘 알죠!”란 축하 글을 올린 게 이런 영국 정부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 영국은 내년 올림픽 주최국이다.

호주 정부는 줄리아 길라드 총리의 페이스북과 트위터 계정을 정책 설명의 창구로 활용한다. 길라드 총리의 트위터 팔로어는 11만여 명이다. 페이스북엔 7000여 건의 댓글이 달린다. 정부의 공식 홍보보다 개인 SNS가 더 효과적이란 얘기다.

필리핀 재무부는 지난해 8월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시민의 돈(Pera Ng Bayan)’이란 시민 제보 채널을 개설했다. 이 채널에 탈세 의혹이 있는 사업자나 공무원 등을 제보해 사실로 확인되면 포상금을 지급한다. SNS를 공공이 참여하는 감시수단으로 활용한 예다.

지난 3월 동일본 대지진을 겪었던 일본 정부는 이후 내각 홍보실에서 재해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메신저로 일문·영문 트위터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대지진 당시 통신이 두절되는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트위터 등을 통해 재난 소식이 전파되며 SNS의 위력이 확인됐었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