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어깨·무릎·발바닥 통증, 치료 효과 높은 체외충격파 요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0면

50세가 넘어 등산을 시작한 고광호(57·가명)씨. 오른쪽 발바닥이 아파 걷기 힘들 정도가 되자 병원을 찾았다. 진단명은 족저근막염. 발바닥의 아치를 이루는 근막의 일부가 찢어져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의사는 물리치료를 하면서 소염진통제를 권했지만 증상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기능성 깔창 역시 마찬가지였다. 다행히 그는 수술을 받지 않고 다시 산을 찾을 수 있었다. 최근 근골격계 질환에 두루 쓰이는 체외 충격파 요법이 그에게 희망이 된 것이다.

아픈데 방치하면 퇴행성 관절염 불 보듯

관절전문의가 석회화건염 환자의 어깨에 체외충격파 시술을 하고 있다. [연세사랑병원 제공]

관절 통증 하면 과거엔 중년 이후의 질환으로 인식했다. 하지만 요즘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다. 운동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관절 어딘가에 질병을 달고 다닌다. 문제는 근골격계 통증은 견딜 만해서 방치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결국 손상을 받은 관절은 만성화해 이른 나이에 회복 불능의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관절은 양쪽 뼈마디를 붙들고 있는 인대와 건으로 구성돼 있다. 인대와 건(힘줄)의 주요 구성 성분은 콜라겐 섬유. 퇴행성 변화 또는 스포츠 활동으로 외상을 입으면 콜라겐 섬유가 미세하게 파열돼 염증과 통증을 유발한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관절은 동작을 할 때마다 불가피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파열된 인대와 건이 회복하지 못하고 만성 통증으로 발전한다”고 말했다. 만성 근골격계 질환이 오면 자연 치유는 거의 불가능하다 .

 이 부위에 신생 혈관이 없다는 것도 치유를 방해한다. 영양을 공급받지 못한 건과 인대 조직은 부실해져 작은 충격에도 재발하는 등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이다.

절개 안 하고 조직 회복은 도와줘

일반적인 외상치료는 진통·소염 작용이 있는 약을 쓰면서 휴식을 취한다. 인대 증식요법 등도 시도하지만 만성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수술도 마찬가지다. 수술 대상이 아닌데도 수술을 함으로써 불필요한 조직을 손상시키기도 한다.

 몇 년 전부터 만성 근골격계 질환에 도입된 치료 장비가 체외 충격파 쇄석기다. 이 기기는 원래 결석 치료에 사용했다. 몸 밖에서 강도 높은 충격파를 쏴 몸 안의 돌을 깨는 원리다. 이 같은 원리를 이용해 손상된 콜라겐 섬유에 자극을 주는 것이다. 큰 충격이 석회화된 조직을 깨면서 상처 치료에 필요한 신생 혈관을 만들어 조직의 회복을 돕는 것이다.

 연세사랑병원 어깨상지관절센터 성창훈 원장은 “처음에는 어깨 관절에 석회가 침착된 석회화건염이나 테니스 또는 골프 엘보, 족저근막염에 사용하다 점차 무릎 퇴행성 관절염, 슬개건염, 아킬레스 건염, 수술 후 통증 등 치료 범위가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도 체외 충격파 쇄석기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인정해 현재 관절 전문병원에서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다.

주 3~4회 시술, 시간은 30분 정도

치료 효과는 고무적이다. 5년 전 국내에 체외 충격파 요법을 소개했던 연세사랑병원은 2006년 1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만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체외 충격파 치료를 받은 8000여 명(무릎 통증 2425명, 오십견 2311명, 족저근막염 1372명, 테니스 엘보 932명, 근막증후군 223명, 기타 405여 명)의 치료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무릎 통증은 73%, 오십견 70%, 족저근막염은 83%, 테니스 엘보 80%, 요통 환자는 76% 치료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곤 병원장은 “무릎은 10명 중 3명, 허리는 10명 중 1명 정도만이 수술을 요한다”며 “많은 환자가 체외 충격파 치료로 통증 개선은 물론 완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체외 충격파 치료는 주 3~4회 시행하며, 시술 시간은 20~30분이다. 입원이 필요 없고,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고종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