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건강 칼럼] 여자 아이가 척추측만증 더 위험하다

중앙일보

입력

생활 속 재활의학

'어느 날 아이의 등을 닦아 주면서 보니까 아이의 몸이 틀어진 것 같아요.' '학교 검진에서 척추가 기울어졌다고 해서 데리고 왔어요.'라고 말하며 진작 발견하지 못한 미안함에 죄스럽다는 보호자들을 자주 보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척추 측만증가 많은데, 척추 측만증은 척추가 기울어지거나 회전 변형이 동반되는 경우를 말하며 의학적으로는 선 자세에서 촬영한 방사선 검사에서 측면 만곡이 10도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척추 측만증이 있을 경우에는 보기에 좋지 않아 외모에 관심이 많은 청소년들은 큰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며 변형이 심할 경우에는 흉곽 내 폐나 심장 등을 압박할 수도 있다. 진행하는 척추 측만증은 선천성, 특발성, 신경근성으로 나뉘는데 그 중 특발성 척추 측만증이 가장 많다. 특발성 측만증의 경우, 뚜렷한 원인 없이 척추가 기울어 지게 되며 구조적인 측만증의 80%를 차지한다. 발생하는 시기에 따라 유아기(3세 미만까지), 연소기(3세에서 사춘기까지), 청소년기(사춘기부터 성장판이 폐쇄되기 전까지)로 구분하며 청소년기의 척추 측만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척추측만증은 다양한 유전 양상을 보이는데 여자 아이에게 많이 발생한다. 남자 아이보다 여자 아이가 측만 진행의 가능성이 높고 초경 시기, 성장 가능성 및 초기의 척추 측만 정도에 따라 진행 가능성이 달라진다. 추가 성장이 많이 남아 있고 초기 측만이 심할수록 진행하기 쉽다.

그렇다면 아이의 척추측만증 어떻게 확인해야 할까?

아이의 옷소매가 늘 한 쪽이 더 나온 다거나 한 쪽 신발이 더 빨리 닳을 경우, 양쪽 어깨나 골반 높이가 다른 경우, 유방의 비대칭 등이 있을 경우 척추 측만증을 의심해 볼 수 있고 선 자세에서 몸통을 앞으로 숙이도록 하여 등의 돌출이 비대칭인지를 살펴 보는 것도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최근에 많은 학교에서 척추 측만증 선별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어 조기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진단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다른 질병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다. 가령 심한 통증, 마비, 감각 이상을 동반한 경우에는 중증의 척추전방전위증이나 척추 종양 등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치료로는 척추 측만 정도가 20도 미만인 경우에는 주기적인 방사선 사진을 통해 경과를 관찰하게 되고 20도가 넘어서는 경우에는 척추 보조기를 사용한다. 척추 보조기의 효과는 측만을 교정시키기 보다는 진행을 막는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따라서 진행 우려가 있는 성장시기에만 착용하게 된다. 착용 시간에 따라 측만 진행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하루에 최소 16시간 이상을 착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최근 조사에서 보조기에 센서를 부착하여 보조기 착용 정도를 측정한 경우, 실제로 아이가 얘기하는 것 보다는 착용 시간이 적은 경우가 많고 착용률이 안 좋은 아이가 척추 측만이 진행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척추 측만증에 사용되는 딱딱한 보조기가 장시간 착용하기에 많이 불편하고 외모에 민감한 아이들에게는 옷을 입어도 드러나는 문제점 때문에 착용률이 떨어지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천 소재의 스트랩으로 구성된 척추보조기를 고려해 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척추 주변 근육의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을 포함한 재활 프로그램을 시행하게 되는데 꾸준히 시행하게 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40도 이상의 만곡이 있는 경우에는 몸의 성장 정도에 따라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하지만 상당수의 척추 측만증은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히 관리하면 심한 기형으로의 진행을 어느 정도는 막을 수 있으므로 평소 자녀의 척추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대한재활의학회 제공>

도움말 주신 분들
: 정한영(인하대학교병원), 전재용(서울아산병원), 권범선(동국대학교 일산병원), 권정이(삼성서울병원), 김명옥(인하대학교병원), 김성우(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나동욱(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문정림(가톨릭대 성모병원), 박은숙(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박주현(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방문석(서울대학교병원), 성인영(서울아산병원), 임신영(아주대학교병원)

* 가까운 재활의학과 진료병원에 관한 정보는 대한재활의학회 홈페이지 (http://www.karm.or.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재활의학회의 생활 속 재활의학 칼럼 더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