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그때 오늘

사북 탄광 노사분규 유혈사태로 번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사북 탄광 노조지부장의 부인 김순이씨가 납치돼 기둥에 묶여 있는 모습(1980년 4월 24일자 중앙일보 1면 사진).

사북 탄광 노사분규 유혈사태로 번지다

1980년 4월 24일 강원도 사북 탄광에서 발생한 시위가 처음으로 신문에 보도되기 시작했다. ‘광부들의 집단 난동’으로 보도된 이 사건과 함께 한 여인이 기둥에 묶여 있는 사진은 당시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게다가 이 사건으로 경찰 한 명이 사망하면서 사건의 정확한 진실은 오랜 기간 동안 묻혀 있었다.

사건은 탄광의 열악한 조건 때문에 일어났다. 60년대 이후 한국 사회는 급격한 근대화와 도시화의 물결이 휩쓸고 있었지만, 탄광만은 예외였다. ‘막장 인생’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사회로부터 소외된 사람들이 마지막으로 찾던 곳이 바로 탄광이었다. 막장은 갱도의 막다른 곳을 의미하는 말이다. 힘든 작업으로 인해 광부들은 도시 노동자들에 비해 약간 높은 임금을 받았지만, 열악한 작업환경에 시달려야 했으며, 생필품의 부족으로 인해 물가도 다른 지역보다 30% 정도 높은 편이었다. 툭하면 터지는 것이 갱도 매몰 사고였고, 운이 좋아야 기적적으로 구출되는 일들이 빈발했다. 작업 중 미세한 탄가루를 계속 흡입하다가 진폐증에 걸려 사망하는 경우도 다반사였다.

사북 탄광은 당시 채탄량 연간 160만t에 종업원 수가 3000명이 넘는 국내 최대의 민영 광산이었다. 이는 전국 채탄량의 9%에 달했다. 당시 정부는 70년대 두 차례의 오일쇼크로 인해 석탄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석탄산업 육성정책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렇게 열악한 상황에서 탄광 노동자들은 79년 10·26 사건 이후 민주화 흐름에 맞추어 노조를 중심으로 임금 인상을 추진했다. 그러나 노조 지부장이 회사 측과 비밀리에 타협하면서 사태가 악화되기 시작했다. 정부는 모든 집회를 불허한다는 방침이었지만, 노조원들은 4월 21일 농성에 들어갔다. 이를 진압하러 나선 경찰과 맞서는 과정에서 4명의 광부들이 경찰의 지프에 치이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고 이에 흥분한 광부들에 의해 한 명의 경찰이 사망하였으며, 광부들이 사북 지역을 장악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다행히 사북 사태가 보도되기 시작한 4월 24일 정부 측 대책위원들과 노동자 대표들의 합의가 이루어져 사태가 해결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2주 후 합동수사본부는 70여 명의 광부와 부녀자들을 연행하고, 25명을 군법회의에 회부했다.

사건이 발생한 지 30년이 지났지만, 당시의 진상은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고 있다. 단지 너무도 비상식적인 드라마에 대해 ‘막장’이라는 수식어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그리고 사북탄광이 있었던 그 자리에 서 있는 거대한 카지노 안에는 또 다른 막장이 있다는 사실이 우리를 슬프게 한다.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한국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