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혁당 유가족들 “우토로 아픔 나누려 …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우토로 한인들의 아픈 사연을 들으니 우리가 외면당했던 30여 년의 시간들이 떠올랐다.”

21일 오후 5시30분 서울 정동 세실레스토랑. 권위주의 정권 시절 재야세력의 기자회견이 자주 열렸던 이곳에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으로 사형을 당한 유가족들이 모였다. 유가족들은 이날 김교일 우토로주민회 회장에게 5000만원을 기부했다.

인혁당 사건 사형수 하재완 선생의 부인 이영교(71)씨는 “대구에서 먼 길을 오면서도 힘든지 몰랐다. 우토로 한국인들이 삶의 터전을 빼앗길 수 있다는 얘기를 듣고 돕게 됐다”고 말했다.

인혁당 사건과 우토로 마을은 한국 근·현대사의 아픈 단면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인혁당 사건은 북한의 지령을 받아 유신체제에 반대하고 국가를 전복하려 했다는 혐의로 1975년 25명이 기소돼 8명이 사형 선고를 받은 사건이다. 사형은 선고된 지 20시간 만에 집행됐다. 17명에게는 무기징역 등 징역형이 선고됐다.

법원은 지난해 1월 이 사건으로 사형을 당한 하재완 선생을 비롯해 8명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국가는 유가족들에게 245억원을 배상했다. 이번에 유족들이 우토로 마을에 기부한 5000만원은 지난해 설립한 4·9 통일평화재단에서 출연한 것이다. 통일평화재단은 유족들이 국가배상금으로 설립했다.

우토로 마을은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41년 비행장 건설을 위해 강제 동원된 조선인 노동자 1300여 명이 가건물에서 모여 살면서 만들어졌다. 현재 이 마을엔 65가구 200여 명의 동포가 살고 있다.

89년 토지를 소유하고 있던 서일본식산이 개발을 추진하면서 우토로 주민들은 강제 이주 위기에 처했다. 주민들은 국민 모금액 5억여원과 한국 정부가 약속한 지원금 30억원으로 겨우 이주를 모면했다. 하지만 아직 7억여원의 토지 잔금이 남아 있다.

기부식에 참석한 이영교씨는 “무죄 판결과 배상금 지급은 인혁당 사건을 위해 힘써준 분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동안 우리가 받은 도움의 일부라도 돌려주고 싶었다”고 기부 이유를 설명했다. 김교일 우토로주민회 회장은 감사문에서 “우토로에는 오랫동안 절망과 고통밖에 없었지만 조국이 있어 이겨낼 수 있었다”고 답했다.

강기헌 기자

[J-HOT]

▶ "연맹 사무실까지 가 비디오 판독 요구했지만 거절당해"

▶ "Oh~ 한국 대리운전기사에 영감" NYT도 짝짝짝

▶ 靑 전 참모 30명 봉하마을로 집결, 왜?

▶ 벌이 가까이 날아오면 손으로 저어 쫓지 말고…

▶ 자신의 성행위 조차 적나라하게 쓰는 작가

▶ 최진영 "군장성들 앞에서 베드신 찍느라 진땀 뻘뻘"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