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이버 스페이스 40년 … 이젠 우주로 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1면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82년 리들리 스콧 감독이 필립 K 딕의 소설 『안드로이드도 전기 양의 꿈을 꾸는가』를 바탕으로 만든 ‘블레이드 러너’는 조작된 기억을 이식한 인조인간(레플리컨트)을 다뤘다. 남이 기억과 감정까지 만들어준 인조인간도 사람으로 인정해야 하는지 물은 소설이다. 2년 후 작가 윌리엄 깁슨은 인공두뇌를 다룬 공상과학소설(SF) 『뉴로맨서』에서 ‘사이버스페이스’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썼다. 현실이 아니라 두뇌 속에서 펼쳐지는 또 다른 공간이라는 뜻이다. 시간이 흐르며 이 용어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구성된 가상공간이라는 의미로 발전했다.

1969년 첫선 … 우주 인터넷 시대 눈앞

◇가상공간이 열리다= 인터넷의 시초는 60년대부터 사용하던 미국 국방부의 방위 네트워크다. 69년 국방부 고등연구계획국(ARPA)은 핵전쟁에 대처하기 위해 UCLA·스탠퍼드 등을 연결해 ‘아르파넷’이라는 통신망을 구축했다. 아르파넷은 80년대 전 세계 대학·연구소·정부기관·기업 등을 연결하는 국제 통신망으로 발전하며 인터넷의 모체가 됐다. 월드와이드웹(www)과 전자우편(e-메일)은 인터넷의 핵심 서비스다. 컴퓨터를 연결해 메시지를 주고받는 e-메일은 아르파넷의 구축으로 널리 퍼졌다. 71년에 레이 톰린슨이 컴퓨터와 사용자의 이름을 구분하기 위해 ‘@’ 기호를 쓰기 시작하면서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췄다. 89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연구원인 팀 버너스 리의 제안에서 시작된 월드와이드웹은 웹브라우저 프로그램만 있으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을 통해 지구촌 누구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표준화된 가상공간을 마련했다.

◇PC와 인터넷의 만남=이런 초기 인터넷 환경은 미국 IBM이 선보인 개인용컴퓨터(PC)의 보급 확산으로 대중화됐다. 81년 IBM이 ‘5150’ PC모델을 내놓은 데 이어 ‘XT’와 ‘AT’ 기종을 잇따라 시판하면서 일반인들도 전화선 등으로 컴퓨터를 서로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됐다. 미국 인텔이 개발한 85년 ‘386’, 89년 ‘486’ 프로세서를 탑재한 PC는 인터넷이 화려하게 꽃을 피우게 했다. 인터넷 환경은 소프트웨어 차원에서도 급속도로 발전했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가 내놓은 PC 운영체제(OS) ‘윈도3.0’(90년)과 ‘윈도95’(95년)는 컴퓨터 이용자가 인터넷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창이 됐다. 이전의 도스(Dos) 환경에서는 PC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PC통신을 주로 사용했다. 그러나 윈도 보급과 함께 넷스케이프가 개발되면서 웹브라우저 내비게이터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만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됐다. 이후 현실의 생활공간은 사이버스페이스로 이어졌다. 94년 스탠퍼드대 출신의 제리 양과 데이비드 파일로는 ‘야후’의 전신이 된 디렉토리 서비스를 시작했다. 98년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세계 최대의 검색사이트인 ‘구글’을 만들었다.

◇유비쿼터스 세상을 넘어=차세대 인터넷 환경으로 불리는 인터넷전화(VoIP)·모바일인터넷(와이파이), 그리고 인터넷TV(IPTV)·와이브로(초고속무선인터넷)가 최근 현실화되고 있다. 인터넷과 무선통신 기술이 결합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가상공간에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세상이 눈앞에 다가온 것이다. 전문가들은 유비쿼터스를 넘어 사이버스페이스와 리얼 월드가 서로 연동하는 수준까지 인터넷이 발전해 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구글이 추진하는 ‘우주 인터넷’이 성공을 거둔다면 앞으로 집에서 사이버스페이스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화성의 경치를 즐길 수 있는 날이 올 전망이다.

이제는 화성이다
미·중·러 탐사 경쟁 … 인도·일본도 추격전

미국과 러시아는 1950~60년대 냉전시대에 걸맞게 우주개발에서도 시소게임과 같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우주개발의 기선은 러시아가 잡았다. 1957년 10월 4일 카자흐스탄에 있는 러시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그 뒤 석 달여 만에 미국이 인공위성을 성공적으로 쏘아 올렸다. 61년에는 러시아의 유리 가가린이 인류 처음으로 우주에 올라갔으며, 69년에는 미국의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첫발을 디뎠다.

미국과 러시아는 다시 우주정거장으로 승부수를 띄웠다. 러시아가 71년 ‘살류트’를, 미국은 73년 ‘스카이랩’을, 러시아는 다시 86년 ‘미르’를 우주에 건설했다. 지금은 이소연 박사가 올라갔던 국제우주정거장(ISS)을 미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16개국이 참여해 98년부터 건설 중이다.

우주개발 초기 미국과 러시아를 필두로 한 열강은 이처럼 달과 우주정거장 건설 등 지구 근처를 탐사하는 경쟁에 머물렀다. 그러나 지금은 화성·금성·목성 등 태양계 행성, 혜성 등의 탐사로 범주를 넓히는가 하면 달나라에 유인기지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특히 미국·러시아·중국은 강대국답게 요즘에도 우주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러시아 연방우주청이 지난해 8월 말 발표한 계획에 따르면 러시아는 2025년까지 달에, 2035년까지는 화성에 유인우주선을 보낼 계획이다. 이 계획에는 2028년께 달에 유인 우주기지를 건설하는 내용도 들어 있다. 미국은 2024년까지 달에 유인기지를 건설하고, 이를 화성 탐사를 위한 전초기지로 이용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은 2012년에 무인 달 탐사선을 보내고, 2009년 러시아와 공동으로 화성 탐사에 나선다. 2020년까지는 달에 사람이 상주하는 우주기지를 건설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일본과 인도도 달 탐사선을 보낼 준비를 하고 있다.

외계인과 채팅할 수 있게 되나요
독자들의 동영상 질문

빈트 서프와 이소연 박사의 특별대담 소식을 접한 독자들은 사전 질의로 이번 행사에 참여했다. 방송인·유치원생·대학생·주부 등 각계각층의 다양한 질의가 글과 동영상으로 만들어져 e-메일과 유튜브 사이트로 도착했다. 이들은 ‘인터넷의 아버지’와 ‘한국 최초 우주인’에 대해 이런 궁금증을 갖고 있었다.

◇홍진경(방송인)=“서프 박사님, 인터넷의 익명성은 때로 독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저처럼 대중에게 노출된 방송인이나 연예인 중에는 그로 인해 상처를 받은 이들이 적지 않은데요. 이런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백홍렬(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서프 박사님, 우주 인터넷은 왜 필요하고 현재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미래에는 어떻게 사용하게 되나요. 행성 간 인터넷에 대한 계획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행성 간 인터넷이 된다면 인류는 어떻게 활용할까요.”

◇김서강·오현정·오동현(고려대 국제어문학부)=“이 박사님, 무중력인 우주에서 느끼는 신체적인 징후는 어땠나요. 24시간 동안 매일 연구하면서 힘들었을 텐데 우주에서 혹시 술을 마시고 싶은 생각은 안 들었는지 궁금합니다.”

◇한준우(유치원생)=“이소연 누나, 우주에는 지구랑 다른 우주 컴퓨터가 있을 것 같은데 외계인이랑 채팅해 봤나요. 서프 박사님, 우주 인터넷이 되면 외계인과 채팅도 하고, 화성이나 금성에 소풍 가면 인터넷으로 엄마한테 사진도 보낼 수 있나요.”

◇김민영(주부)=“이 박사님, 제가 살고 있는 대전에서 내년 10월에 국제우주대회(IAC 2009)가 열린다고 들었습니다. 국제우주정거장의 우주인과 지구에 있는 제 아이가 인터넷으로 온라인 게임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특별대담과 관련된 기사와 비주얼은 중앙일보는 물론 중앙데일리와 조인스닷컴, 유튜브·구글블로그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조인스닷컴·유튜브·구글블로그)에서는 더 많은 내용과 함께 동영상이 서비스됩니다.

◇ 특별취재팀=이원호·이나리·김창우(경제부문), 김윤미(디지털뉴스), 성소영(중앙데일리), 김형수·이병구(영상부문), 김지일·우현아·박용석·박경민(편집·그래픽 부문) 기자,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