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설의 풍물패 ‘사물놀이’의 귀향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6호 10면

1 1978년 사물놀이가 탄생한 공간사랑에서 공연하는 원년 멤버. 왼쪽부터 이광수·김덕수·최종실·김용배 2 꼭 30년 만에 공간사랑에 다시 모인 사물놀이. 왼쪽부터 고(故) 김용배 자리를 이은 징 남기문, 장구 김덕수, 꽹과리 이광수, 북 최종실

떡가루처럼 고운 눈이 흩날리던 21일 서울 원서동 공간사랑. 빽빽하게 들어찬 손님들 앞에 4명의 사내가 앉았다. 손에 든 네 가지 연장을 어루만지더니 “비나리로 오신 분들 새해 복부터 빌어 드릴까” 눈길을 맞춘다. 이제는 전설이 된 풍물패 ‘사물놀이’의 귀향을 알리는 조촐한 모임이 소리로 길을 여는 순간이었다.

“깨개갱깽 깨개갱깽 딩 다닥 쿵 딱 지잉~” 천천히 호흡을 가다듬으며 떠난 타악기 넷은 서로를 품고 또 내치며 소리를 하늘로 밀어 올리기 시작했다. 꽹과리 가락과 장구 가락이 맞물리고 엇물리며 자아내는 소리의 용솟음은 곧장 관객 가슴으로 날아와 후끈 피를 덥힌다.

발이 들썩이고 어깨가 흔들리더니 고개가 절로 노를 젓는다. 장단이 빨라지니 뜨거운 불기운 같은 것이 몸을 휘감는다. 작은 공간이 망망한 우주로 붕 뜨면서 광활한 소리 사막 하나가 펼쳐진다. 소리 하나로 사람들을 어우르는 사물의 힘은 겨울 한복판의 추위를 잊게 할 만큼 뜨겁고 진했다. 꼭 30년 전 이 자리에서 탄생한 ‘사물놀이’는 ‘세계를 뒤흔든 혼의 소리’라는 찬사를 들으며 한국 민속음악을 월드뮤직의 최고 위치에 올려놓았다.

맹렬한 불길처럼 타오르던 타악의 향연이 절정의 외마디로 끝나자 박수가 터져나온다. 숨을 고른 4명의 잡이가 인사한다. ‘사물놀이’의 원년 멤버인 장구 김덕수(56), 꽹과리 이광수(56), 북 최종실(55)씨와 고(故) 김용배를 이은 남기문(50)씨다. 새까맣던 김덕수씨의 머리에는 흰서리가 내려앉았다.

청년에서 장년으로 넘어온 네 사람처럼 ‘사물놀이’도 30년 세월 속에 빛과 어둠을 두루 내려앉혔다. 먼저 간 쇠잡이 김용배(1955~86)의 혼이 찾아와 함께하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었다. 서늘한 광기의 뜬쇠, ‘신들린 손’이라 불리던 마지막 상쇠 김용배에 대한 추억은 ‘사물놀이’의 어제와 오늘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그의 혼을 위로하는 씻김굿에서 ‘김덕수패 사물놀이’가 부른 소리에 그 안타까움이 묻어 있다.

“자네/ 먼저 갈라는가?/ 쨍거랑/ 맑은 소리/맑고도 맑은 소리/ 자네 먼저 갈라는가?/ 우리 모두 소리 찾아/ 몸고생 마음고생/ 같이도 하였거늘/ 어찌/ 진정/ 자네 먼저 갈라는가?”

‘사물놀이’는 하늘에서 덜컥 떨어진 음악이 아니다. 농부들이 노동과 일상에 지쳤을 때 피로와 설움을 떨쳐내려 흥겹게 놀던 농악을 구실 삼아 태어났다.

‘사물놀이’의 위대함은 그 전통을 시대에 맞게 네 명의 연주자가 실내에 앉아서 하는 연주 형태로 바꿔 누구나 공감하는 음악으로 만든 데 있다. 김덕수씨는 고리타분한 옛 음악을 탈바꿈시켜 현대인이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사물놀이’의 대중화에 노력했다. 김용배는 민중의 신명이 녹아 있는 풍물놀이의 원형을 그대로 살리자는 주장을 폈다. 원본을 잘 닦아 보존한 뒤 대중을 생각해도 늦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물놀이’의 예술정신이 어느 쪽으로 갔어야 했을까는 이제 큰 의미가 없다.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을 미래의 가락으로서 ‘사물놀이’의 새 출발이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사물놀이’가 키운 ‘새끼사물’이 이미 여럿 나와 활동하고 있으니 30년 시간이 헛되지는 않은 셈이다.

이광수씨는 “20세기 사물놀이가 한국 음악의 새로운 장르를 만들었다면, 21세기 사물놀이는 그때 뿌린 씨앗을 잘 자라게 키우며 다시 한번 발돋움하는 시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덕수씨는 “세계 문화시장의 주류문화로 사물놀이가 진입하길 바란다”고 말을 보탰다.

‘사물놀이’는 3월 6~7일 오후 8시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탄생 30주년 기념공연을 한다.
사물놀이의 또 다른 길 떠남을 알리는 무대다. 이날 ‘사물놀이’는 1부에서 길잡이·비나리·삼도설장구가락·삼도농악가락, 2부에서 판굿과 명인 개인놀이를 펼친다. ‘글로벌 드림팀’이라 이름 붙인 21세기 사물놀이가 봄과 함께 온다. 사진협조 ‘크레디아’ .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