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준, 내 ‘쪼인트’도 깔까?” 포항공대 스카웃 교수의 질문

  • 카드 발행 일시2024.09.19

쇳물은 멈추지 않는다

쇳물은 멈추지 않는다를 내 관심에도 추가해드렸어요.

“김호길을 무조건 잡아!”

필자는 1985년 6월15일 김호길 박사 가족을 포스코 영빈관인 백록대에 초청했다. 사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필자, 이대공 대학설립추진본부장, 권봉순 여사(김 박사 부인), 김호길 박사, 김 박사의 딸. 사진 박태준

필자는 1985년 6월15일 김호길 박사 가족을 포스코 영빈관인 백록대에 초청했다. 사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필자, 이대공 대학설립추진본부장, 권봉순 여사(김 박사 부인), 김호길 박사, 김 박사의 딸. 사진 박태준

1985년 5월 나는 영화 ‘스파이더 맨’의 촬영 장소로도 유명한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칼텍) 31동 건물에 들어섰다.
“칼텍 같은 대학을 한국에도 하나 세우려고 합니다.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칼텍 재정담당 부총장은 처음엔 농담으로 받아들이는 눈치였다.

“한국 대학들의 공학과 과학 전통은 일천합니다. 매우 늦었지만 대기업이 나서서 21세기에 대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이어진 나의 진지한 설득에 부총장이 마음을 열었다. 이미 포스코에선 이대공 상무를 책임자로 하는 대학 설립 추진반이 넉 달째 실질적 업무를 추진하고 있었다.

칼텍은 연구 중심 대학으로, 엑슨연구소와 더불어 산·학·연 협조체제가 모범적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이것이 내가 칼텍을 포항공대(포스텍)의 모델로 잡은 이유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