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밤 10시. 서울 중랑구에 사는 A(72)씨가 망우산에 올랐다가 연락이 끊겼다는 신고가 경찰에 접수됐다. A씨의 가족들은 “오후 5시쯤 곧 하산할 것이라며 전화를 했는데 이후로 감감무소식”이라고 했다. 수색에 나선 경찰은 새벽 3시가 가까워질 무렵, 망우산 계곡 인근에서 기진맥진한 채 앉아 있는 A씨를 발견할 수 있었다. 당뇨가 있는 A씨는 날이 갑자기 어두워진 상황에 산속이라 휴대전화도 터지지 않자 망연자실한 상황이었다.
A씨를 발견한 건 서울 중랑경찰서 망우지구대 박승우(38) 경장이다. 박 경장은 최근 서울 지역 경찰서에 보급된 ‘정밀탐색기’ 덕분에 A씨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었다. 박 경장은 “수색 도중 정밀탐색기 신호 강도가 갑자기 올라가는 구간이 발견돼 다가 가보니 요구조자가 보였다”며 “밤 시간대 산 수색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데다 주위가 깜깜해서 수색 대상자를 찾아내기도 쉽지 않은데, 정밀탐색기 신호를 통해 빠르게 수색을 마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해당 사례는 서울 지역에서 정밀탐색기를 통해 조난된 이를 구출한 첫 사례다.
정밀탐색기는 2021년 현장 경찰의 아이디어를 토대로 연구 개발된 이동형 와이파이(Wi-Fi) 송신기다. 와이파이 신호 강도에 따라 주변을 수색하는 방식이다. 1~20까지 신호 강도 중 20에 가까울수록 수색 대상이 가까이 있다는 뜻이다. 통상적으로 신호강도 레벨 8 이상의 값이 잡히면 대상이 가시거리 안으로 들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지도 기반 모바일 앱을 통해 무선신호의 위치를 이미지로 표현해내는 기술까지 구현해 수색 효율성을 더욱 높였다. 휴대폰을 지닌 대상이라면 수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도도 높다는 게 경찰 내부 평가다.
경찰은 정밀탐색기가 다세대 주택가나 숙박시설처럼 수색 대상의 위치를 명확히 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28일 용마지구대 관할에서 밤 12시 넘은 시간 다세대 주택에서 요구조자가 발생했는데, 이때도 정밀탐색기가 사용됐다.
서울 중랑경찰서 이규탁 범죄예방대응과장은 “밤늦은 시간이라 현실적으로 주민들을 모두 탐문하기 어려웠는데 정밀탐색기 덕분에 탐문 과정을 크게 단축할 수 있었다”며 “중랑경찰서에서 선제적으로 교육을 실시한 덕분에 기기를 활용한 성과가 연달아 나타난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경찰은 정밀탐색기의 시범운영 및 1차 실증과정을 마친 상태로, 2차 실증 단계를 거치는 중이다. 정밀탐색기는 올해 9월까지 서울 지역 경찰서에 보급된 후 보완 및 효과성 검증 단계를 거쳐 내년부터 전국 경찰로 확대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