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진입 전기차의 충전율 90% 제한 대책과 관련해 배터리별 특성 등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탑재 전기차를 비롯한 전기차주들이 “과학적 근거가 있느냐”며 반발하면서다. 완성차 업체들은 LFP 배터리는 일주일에 한 번 100% 충전을 권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13일 “(최근 발표한 대책과 관련해) 배터리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전문가들과 완성차·배터리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중”이라며 “(전문가들이)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면 보완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90% 충전율 일괄 제한이 불합리하다는) 언론 보도도 있었기 때문에 그런 지적들이 맞는지 검토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특히 이날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전기차 화재 관련 차관급 회의 결과도 반영해 대책을 보완할 계획이다. 정부는 회의가 끝난 뒤 국내 시판 모든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정보를 제조사가 자발적으로 공개하도록 권고하는 등의 대책을 내놨다. 배터리 충전율에 따라 지하주차장 진입을 막는 방식의 대책은 포함되지 않았다.
서울시는 지난 9일 충전율 90% 이하인 전기차만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들어갈 수 있도록 제한하는 내용의 전기차 화재 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1일 인천 청라, 6일 충남 금산 등에서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자 지방자치단체 중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이다. 서울시는 “전기차 화재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완충에 가까운 과도한 충전”이라며 전기차 제조사가 90% 충전제한이 적용됐다는 ‘충전제한 인증서(가칭)’를 발급하도록 하고, 이를 발급받은 차주만 지하주차장에 들어가도록 권고하는 방식의 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일괄적인 충전율 규제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완성차 업체들은 이미 배터리를 전기차에 탑재하는 과정에서 내구 마진(차이)을 설정해 배터리를 100% 충전한다고 하더라도 실제론 96% 정도만 충전이 되고, 그 정도 충전 상태에선 화재 위험이 없다고 보고 있다. 화재의 원인을 배터리 충전율에서 찾는 건 잘못됐다는 취지다.
특히 LFP 배터리의 경우엔 100% 충전이 문제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평가다. 2021년부터 LFP 배터리를 탑재해온 테슬라는 차주들에게 “충전 제한을 100%로 유지하고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완충하는 게 좋다”고 안내하고 있다.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보다 LFP는 완충 시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배터리 수명에 미치는 영향도 적기 때문이다. 테슬라는 완충이 SOC(충전 상태·State of Charge) 측정에 더 유리하다고도 본다. 서울시 대책 발표에 테슬라 차주들의 반발이 특히 컸던 이유다.
이 때문에 서울시가 LFP 배터리엔 다른 수준의 충전율 규제를 적용하는 식으로 대책을 보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