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한국 방위산업의 진격은 거침없습니다. 2024년 전체 방산 수출액은 200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처럼 K방산이 잘나가고 방산기업의 실적이 좋아지면서 주식시장에서 방산 테마도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방산과 무기 체계는 전문적입니다. 수출 협상 과정은 물론 계약 사실도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방산 투자에 관심 있는 개미들이 어려워들 합니다.
그래서 중앙일보가 '밀리터리&머니'를 준비했습니다. K방산의 주력 수출품이 어떤 상황이며 어떤 전망인지 여러분께 알려드리겠습니다.
K9 자주포는 K방산의 ‘고인 물’이다. 2001년 튀르키예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9개국에 1496문을 수출·계약했다. 전 세계 자주포 시장의 베스트셀러다. 폴란드는 K9 672문 외 포탑을 뺀 차체만 120대를 따로 샀다. K9에 눈독을 들이는 나라들이 더 있다.
그리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K9에 기회와 함께 도전을 던졌다. 이 전쟁은 아직도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의 말처럼 ‘포병은 현대전의 신(Артиллерия — бог современной войны)’이라는 사실을 알려줬다. 동시에 새로운 자주포의 필요성도 일깨워줬다. K9은 어떻게 응전해야 할까.
①K9은 155㎜ 궤도형 자주포
‘목포는 항구’인 것처럼 ‘K9은 자주포’다. 그런데 자주포 중에서도 155㎜ 궤도형 자주포다. 무슨 얘긴가.
화포는 요새나 진지에 붙박이로 배치한 고정포, 트럭과 같은 다른 기동수단이 끌고 가는 견인포와 자체 동력으로 스스로 움직이는 자주포로 나뉜다. 곁가지로 북한에선 자주(自走)포를 자행(自行)포라 부른다. 자주포는 빨리 쏘고, 빨리 움직이면서, 방어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값이 비싼 게 흠이다.
자주포는 차체를 기준으로 바퀴가 달린 트럭이나 차륜형 장갑차 위에 포탑을 얹은 차륜형 자주포, 궤도형 장갑차에 포탑을 결합한 궤도형 자주포로 갈린다. 예전에는 열차 차량에 화포를 탑재한 열차포가 있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취를 감췄다.
K9은 155㎜ 곡사포를 쏜다. 미국과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는 화포의 표준 구경이 105㎜와 155㎜인 반면, 러시아와 옛 동유럽은 122㎜와 152㎜, 203㎜다. 북한이 포탄이 모자란 러시아에 122㎜와 152㎜를 수백만 발 보내고 있는 이유다. 현재 자주포는 화력이 더 센 155㎜가 대세다.
②K9의 장점들
K9은 우선 가성비가 뛰어나다. 한때 K9의 가장 큰 경쟁자였던 독일의 PzH2000(2000만 달러)보다 가격이 절반 수준(1132만 달러)이다. 규모의 경제를 이뤘기 때문에 값은 더 내려가고 있고, 부품을 구하기도 쉽다. 튀르키예·폴란드·노르웨이·핀란드·에스토니아·루마니아 등 나토에서만 6개국이 쓴다. 동맹국끼리 전술과 운용 노하우를 공유해 교리가 발전할 수 있다. 포탄이나 부품도 다른 나라 것을 쓸 수도 있다.
K9은 값은 싼데 PzH200과 성능은 비슷하다. 두 자주포의 최대 사거리(40㎞)는 같지만, 발사 속도는 K9(최대 1분당 6발)이 PzH2000(최대 1분당 10발)보다 조금 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