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공포 닥친 블랙 먼데이…증시 충격, 실물 전이 막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코스피가 5일 전 거래일 대비 8.77%(234.64포인트) 하락한 2,441.55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11.3% 내린 691.28로 마감했다. 사진은 이날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 모습.연합뉴스

코스피가 5일 전 거래일 대비 8.77%(234.64포인트) 하락한 2,441.55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11.3% 내린 691.28로 마감했다. 사진은 이날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 모습.연합뉴스

외국인 투매에 코스피 8.77% 하락, 192조원 증발

금리·부동산 및 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 서둘러야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증시가 어제 ‘블랙 먼데이’로 요동쳤다. 미국발 ‘R(Recession·경기 침체)의 공포’와 ‘인공지능(AI) 거품론’에 따른 기술주 약세 등이 이어지며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한국 증시에서 이날 하루에만 235조원 넘는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코스피는 어제 전 거래일보다 8.77%(234.64포인트) 하락한 2441.65에 거래를 마쳤다. 장 중 8% 넘게 급락하며 오후 2시14분쯤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고, 장 중 한때 10% 넘게 밀리며 2400선도 무너졌다. 코스피 시장에서만 하루 만에 192조원이 사라지며, 시총 2000조원도 깨졌다. 외국인 투자자가 1조5281억원의 주식을 던진 탓이다. 코스닥 시장도 전 거래일보다 11.3% 하락한 691.28에 마감했다.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동시에 발동된 것은 2020년 3월 19일 이후 4년5개월 만에 처음이다. 삼성전자 주가도 10.3% 떨어지며 세계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일본과 대만에서도 기록이 속출했다. 일본 닛케이255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12.4%(4451.28포인트) 급락했다. 하루 낙폭 최대치다. 플라자합의(1985년) 이후 1987년 기록한 일일 하락 최대치를 앞섰다. 대만 자취안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8.35% 하락하며 종가 기준 최대 하락 폭을 기록했다.

미국의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라는 호재에도 시장이 요동친 것은 미국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다. 고용지표 악화와 경기 위축 전망에 시장은 긴장 모드에 돌입했다.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반도체 설계 오류와 인텔의 2분기 실적 쇼크 등이 겹치며 기술주에 대한 회의감이 커진 것도 시장의 불안에 기름을 부었다.

미국발 경기 침체와 그에 따른 금융시장의 충격은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는 치명적이다. 외국인 투자자 이탈로 주가가 하락하고 환율이 뛰면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기업 투자도 어려워질 수 있다. 미국이 금리 인하 시기를 저울질하고, 일본이 금리 인상에 나서는 등 각국의 통화정책이 엇갈리며 빚어지는 글로벌 자금 흐름과 경기 침체 우려 등이 더해지며 금융시장은 당분간 출렁일 수밖에 없게 됐다.

뒷걸음질치는 성장률, 늘어나는 가계부채와 들썩이는 부동산 시장 등 우리 경제의 과제는 한둘이 아니다. 그동안 정부의 대응이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실기 논란을 반면교사 삼아 금리와 금융·부동산 등 다양한 정책 조합을 통해 금융시장의 충격이 실물경제로 전이되지 않도록 해야 할 시간이다. 경기 침체를 이겨낼 수 있도록 기업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입법과 정책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치권은 백해무익한 정쟁을 접고 민생에만 전념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