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엔비디아 첨단 칩 주문을 독점하고 있는 TSMC의 역사를 되짚으면 6명의 연구개발(R&D) 공신을 만나게 된다. 제조 하청 TSMC를 기술 자립의 길로 이끈 6인방을 대만인들은 ‘TSMC의 6기사(knight)’라고 부른다. 삼성전자를 거쳐 중국 SMIC CEO가 된 량멍쑹, SMIC 부회장으로 영입됐던 장상이도 그중 하나다.
6기사 중 유일하게 반도체 업계를 떠나 TSMC에 쓴소리를 하며, 그러나 여전히 대만의 미래를 위해 일하는 이가 있다. 양광레이 국립 대만대 객원교수다. 그는 20년간 TSMC에서 일하며 R&D 담당 이사를 역임했고, 지난해까지는 인텔 기술고문을 지냈다. TSMC의 영광을 만든 그는 지금 TSMC의 그림자를 걱정한다. 대만의 공학 교육은 지나치게 분업·전문화됐고, TSMC 신입사원의 이직률은 17%에 달했다.
지난 3월 타이베이에서 만난 그를 지난달 서울에서 다시 만났다. 양 교수는 반도체 기술 자체에 관한 언급는 피했다. “TSMC R&D의 독점정보보호위원회(PIP) 의장이었고, TSMC로부터 소송을 당하고 싶지도 않다”면서다. 그러나 TSMC가 안고 있는 숙제와 삼성전자에 대한 조언엔 망설임이 없었다. TSMC 임원 출신이 한국 언론과 인터뷰한 것은 처음이다.
목차
2. 한국·대만 ‘유교 문화’의 양면성
3. 삼성전자 파운드리에 필요한 것
4. ‘미국 설계+아시아 제조’의 미래
1. TSMC 성장의 비결
TSMC의 역사를 대만 반도체 전문가들은 3개의 시기로 구분한다. ① 1987~97년의 제조 하청기 ② 1998~2008년의 기술 축적기 ③ 2009년 이후의 투자 증대기다. 1기에서 2기로 전환을 이룬 비결로는 크게 두 가지, 해외 인재 유입과 파운드리(위탁생산) 집중을 꼽는다.
1970~80년대 국립대만대학을 졸업한 이공계 인재들은 대부분 미국으로 박사 유학을 갔다. 1987년 설립된 TSMC는 곧 파격적인 주식 보상을 내걸고 이들을 불러들였다. 미국 버클리대 박사를 마치고 HP에서 근무하던 양 교수 등 6기사는 실리콘밸리를 떠나 대만에 돌아왔다. 1995년 귀국한 양 교수는 TSMC에서 수작업으로 일하는 모습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 뭐가 문제였나?
- “아시아 기업들의 생산성은 대체로 세계 최하위권이다. 시간당 생산성이 낮은 한계를 장시간 노동으로 메운다. 유교에서 비롯된 문화 같은데, 정말이지 모든 사람의 피와 뼈에 녹아 있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