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 프리즘] 없애는 게 최선일까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901호 30면

황정일 경제산업에디터

황정일 경제산업에디터

1989년 말, 당시 ‘3저(低, 저금리·저환율·저유가) 호황’으로 유동자금이 넘쳐나며 전셋값이 급등했다. 그러자 노태우 정부는 임차인(세입자)을 보호하겠다며 전세 계약 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확대했다. 임대인(집주인)은 2년 치 전셋값을 받겠다고 나섰고, 그 결과 서울 전셋값은 이듬해 23.7% 폭등했다. 1990년 초 17명의 임차인이 전셋값 급등을 비관해 자살하는 이른바 ‘전세 파동’이 일었다.

그로부터 30년이 지난 2020년 7월, 문재인 정부와 집권여당 더불어민주당은 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를 도입해 주택 임대차 기간을 2년에서 4년으로 연장하고, 전셋값 상승률을 4년간 5%로 제한하는 이른바 ‘임대차 2법’을 시행했다. 전문가들은 1990년 전세 파동 때와 비슷한 일이 일어날 것이라며 반대했지만, 당시 정부와 여당은 단 며칠 만에 법안 발의부터 국회 통과, 국무회의 의결까지 군사작전을 하듯 속전속결로 처리했다.

대통령실, 임대차 2법 폐지 추진
오류 보완으로 혼란 최소화해야

법 시행 직후 전세 물건이 잠기면서 임대인 우위 시장이 됐고, 이를 활용해 임대인이 2년 뒤 인상분을 미리 반영하면서 전셋값은 급등했다.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해 2년의 시간을 번 사람들은 손뼉을 쳤지만, 당장 새 전셋집을 구해야 하는 사람들은 전세 품귀와 가격 급등에 당황하기 시작했다. 전문가와 부동산시장의 예상대로 전셋값이 폭등하고, 곳곳에서 임대인과 임차인 간 분쟁이 발생하는 등 혼란이 일었다.

4년이 지난 2024년 현재, 정부는 올해 들어 전셋값이 무섭게 뛰고 이로 인해 집값마저 급등세를 보이자 최근 임대차 2법 폐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도 지난달 초 본지에 “임대차 2법으로 전월세 가격 급등과 전세 물건 감소 등의 부작용이 심각하다”며 “두 법을 폐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힌 바 있다.

임대차 2법 폐지는 윤석열 정부의 공약이기도 했다. 하지만 여소야대 상황에서 취임한 윤 대통령은 임대차 2법 폐지를 위한 이렇다 할 시도조차 하지 못했다. 임대차 2법을 만든 민주당이 반대할 게 뻔했기 때문이다. 기회가 될 때마다 대통령실과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임대차 2법 폐지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정도였다. 여소야대 상황은 2년여의 시간이 흐른 지금도 마찬가지다. 오히려 민주당이라는 벽은 더 크고 단단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전셋값이 뛰자 내놓은 게 고작 임대차 2법 폐지 추진이라는 건 얼른 이해하기 어렵다.

임대차 2법 시행 4년이 지난 만큼 임대차 2법 폐지가 과연 실효성이 있을지도 의문이다. 4년 전 임대차 2법에 반대하던 전문가들조차 인제 와서 폐지하면 또 다른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며 신중한 모습이다. 임대차 2법의 계약 만기(4년)가 돌아오고 있는 상황에서 폐기하면 시장 불안만 커질 수 있다는 우려다. 그렇다고 이 법을 그대로 두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4년 전 임차인 보호에만 초점을 맞춰 급조한 만큼 분쟁의 소지가 많고, 정부가 임대차 시장에 과도하게 개입하는 측면이 있는 건 분명하다.

따라서 큰 틀에서는 임대차 2법의 구조를 유지해 혼란을 최소화하면서 민주당을 설득해 임대·임차인 간 분쟁 발생 소지를 줄여가는 방향을 고려해야 한다. 고가 전세나 지역에 따라서는 전월세상한제 적용 배제나 상한선을 달리하는 식이다. 중·고교 학제에 맞춰 계약갱신청구권 기간을 ‘1년’으로 바꾸거나, 인상률 자체를 조정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이후에는 임차인이 계약 만료 전이라도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손볼 필요가 있다.

한국 사회에서 임대차 문제는 이해관계가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는 사안 중 하나다. 그러다 보니 분쟁도 많고, 분쟁 이후 후유증도 적지 않다. 그런 분쟁을 확대하고 증폭시킨 게 민주당인 만큼 앞으로 있을 정부의 임대차 2법 논의에 적극적으로 나서길 기대해 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