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아이의 아버지 찾으러 사찰로 온 여인
」#풍경1
대승불교 경전인
『금강경』이나 『반야심경』에는
2500년 전에
붓다가 머물던
사찰의 풍경은
보이질 않습니다.
대신
마음과 이치와
깨달음에 대한
본질적 메시지가
담겨 있지요.
초기 불교 경전인
『잡아함경』을 읽어 보면
다릅니다.
거기에는
구체적인 풍경이
곳곳에 담겨 있습니다.
아하,
그때는 이랬구나!
그런 생각이 드는
풍경들 말입니다.
그중에
유독 기억에 남는 광경이
하나 있습니다.
어찌 보면
가슴 아픈 광경이고,
어찌 보면
궁리할 거리를 던져주는
장면이기도 합니다.
붓다가
인도 북부의 사위성에 있는
기수급고독원에
머물 때였습니다.
한 여인이
아이를 안고 찾아와
시위를 하고 있었습니다.
알고 보니,
그 여인은
스님들 중에서
아이의 아버지를
찾고 있었습니다.
#풍경2
당시
그 절에는
상가마지라는
비구가 있었습니다.
그는
출가하기 전에
이미 결혼을 했고,
아이도 있는
처지였습니다.
그런데도
아내와 아이를 뒤로하고
머리를 깎고
출가했습니다.
아내는
크나큰 배신감을
느꼈겠지요.
그 대목을 읽는
요즘의 우리도
황망할 정도니까요.
아니,
출가를 하려면
결혼하기 전에 하든가,
아이까지 낳았는데
어떻게
이기적인 출가를 했을까.
이런 생각이
절로 들지요.
물론
2500년 전
고대 인도의 관습과 전통도
있었겠지요.
그래도
아내가 느끼는
배신감은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그 여인은
사찰 안에 있는
남편의 방 앞으로
갔습니다.
거기서
걷기 명상을 하고 있던
남편을 만났습니다.
아내가 따지듯이
물었습니다.
“이 아이는
어린 아기입니다.
당신이 버리고
출가를 했습니다.
누가 길러야 합니까?”
비구 상가마지는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