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열 세번째 사랑 못밝힌다…대학 때 꽤 알려진 그 여인

  • 카드 발행 일시2024.07.29

18. 내 연애 소설은 왜 실패했나  

실패한 사랑 이야기를 할 때 이문열의 낭만주의가 가장 소담스럽다고 말한 이는 역시 평론가 유종호 선생이었다. 내 초기 단편 ‘폐원(廢苑)’을 거론하면서다. 1980년 소설집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에 붙인 ‘출발의 작가’라는 해설에서, 선생은 소설집에 실린 ‘폐원’이 잃어버리거나 금지돼서 더욱 치열한, 낭만주의 가운데서도 가장 낭만적인 모티브를 갖추고 있다고 했다. 세상의 지도로는 돌아갈 수 없어 강렬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고향처럼, 금단(禁斷) 앞에서 더욱 격렬해지는 정념(情念)이 ‘지금 여기’의 황폐한 삶에서 ‘잃어버린 낙원’을 동경하는 낭만주의를 부른다는 뜻이었다.

문학은 어쩌면 삶을 속속들이 경험해 보지 못한 자가 꿈꾸는, 이제까지의 삶 가운데 가장 아름답고 화려한 꿈인지도 모른다. 당신에게도 그런 낭만적인 사랑이 있었느냐고 누군가 묻는다면 당연히 그렇다고 답해야 한다. 다만 내 경우 때로는 토니오 크뢰거와 같은 무기력한 사랑이었다. 토마스 만의 소설 『토니오 크뢰거』에 나오는 혼혈 주인공 토니오 크뢰거처럼 금발의 잉에, 잉에보르크 홀름을 홀린 듯한 눈으로 바라볼 뿐 끝내 다가가지 못하는 소심한 사랑 말이다.

세 번째 사랑 상대 못 밝혀 

낭만적 사랑은 문학의 영원한 주제다. 소설가 이문열씨도 연애 소설을 썼다. 이천 작업실 모습. 사진 이재유

낭만적 사랑은 문학의 영원한 주제다. 소설가 이문열씨도 연애 소설을 썼다. 이천 작업실 모습. 사진 이재유

첫사랑은 역시 짝사랑이었다. 국민학교 4학년 때부터 대학 1학년까지 갔다. 끝내 고백해 보지 못했다. 두 번째도 짝사랑. 부산에서 건달처럼 지내던 시절 마주친 인형 같은 처녀였다. 여러 밤을 새워가며 숱하게 편지를 썼지만 문장만 늘었달까, 하나도 부치지는 못했다. 세 번째는 대학 시절 꽤 알려진 일이어서 조금만 사연을 밝히면 상대가 누구인지 금방 드러나기 때문에 아직도 언급하기 곤란하다.

아내가 어떻게 여길지 모르겠지만 나도 불 꺼진 사랑의 제단 안의 하얀 재를 되살려서라도 필생의 사랑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 『폭풍의 언덕』이나 『좁은 문』의 사랑처럼 강렬하면서도 묵직하게 가슴 아픈 이야기, 섹스보다 더 강력하게 우리를 사로잡는 참사랑이라고 할까, 그런 향기가 느껴지는 소설 말이다. 쉰 무렵까지 비슷한 걸 몇 개 쓰긴 했지만 흡족하지 않았다. 연애가 시원찮았으니 여자를 제대로 이해했을 리 없다. 그래서 내 소설에 나오는 여자들은 세계문학에서 한 번쯤 본 듯한 여자이기 십상이었을 것이다. ‘새하곡’이나 『사람의 아들』에 나오는 어떤 여자들은 메리메의 소설 『카르멘』에 나오는 팜므 파탈의 이미지를 빌린 것이었다. 중편 ‘들소’에 나오는 ‘초원의 꽃’에서 영화배우 스칼렛 오하라를 떠올렸던 분이 있을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