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과 위메프 정산금 미지급 사태가 국내 이커머스 시장 재편의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티몬과 위메프의 모기업 큐텐(Qoo10)은 “해결책을 마련하겠다”라는 입장이지만, 판매자와 소비자의 신뢰를 다시 얻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향후 이커머스 시장은 1위 쿠팡과 2위 네이버의 경쟁 속에, 초저가 공세를 앞세운 차이나(C) 커머스 기업들이 도전하는 구도가 될 보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정산 지연 사태로 판매자와 소비자들의 티몬, 위메프 이탈이 가속화할 전망이다. 티몬에 입점했다 철수한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티몬과 위메프가 기적처럼 살아날지도 모르지만, 이런 일이 재발하지 말란 법이 없다. 현재로선 큐텐 계열 플랫폼에 재입점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증권도 “이번 사태가 큐텐 그룹의 부도까지 이어지지 않더라도 신뢰를 잃은 이상 판매자·소비자의 이탈은 불가피하다”라고 전망했다.
쿠팡-네이버 양강구도 더 세진다
현재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양강은 쿠팡과 네이버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은 쿠팡(24.5%)과 네이버(23.3%)가 근소한 차이로 1, 2위였다. 그 외 업체들이 각각 10% 이하의 점유율을 나눠 가졌지만, 이들 3위 이하 업체들은 대부분 적자 상태다.
G마켓은 신세계그룹이 2021년 3조4000억원에 인수한 후 매년 적자를 내고 있다. SSG닷컴도 2018년 이마트에서 물적분할한 후 매년 적자를 기록하며 이달초부터는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등 구조 조정에 돌입했다. 롯데쇼핑의 이커머스 롯데온 역시 매년 적자를 내면서 구조조정 중이다. 대기업 계열의 한 이커머스 관계자는 “‘쿠팡·네이버를 이기자’는 목표를 세운 적도 있지만 현재는 그들과는 다른 길을 생각해야 생존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서 “유통 기업이 잘할 수 있는 분야나 아이템을 선정해 특화하는 쪽으로 가려고 한다”라고 말했다.
티몬·위메프 사태를 계기로 쿠팡과 네이버로 온라인 판매자와 소비자들이 몰릴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국내 최대 포털 운영사인 네이버가 반사 효과를 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는 티몬·위메프처럼 판매자와 소비자을 연결해주는 오픈마켓 형태의 커머스 플랫폼이다. 쿠팡은 물건을 판매자로부터 직접 매입해 소비자에게 되파는 비중이 90%에 달해 오픈마켓과는 성격이 다르다. 쿠팡의 경우 6조원 이상을 투자해 자체 물류·배송 인프라를 탄탄하게 갖췄고, 지난해말 기준 1400만 유료 멤버십 소비자를 확보한 상태다. 티몬에 입접했던 한 가구 회사 관계자는 “판매자 입장에선 플랫폼이 다양해야 납품 가격 협상에서 유리한 게 사실이라 특정 플랫폼으로 쏠리는 것이 마냥 좋은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커머스 지각변동에 C커머스 공세도
이커머스 지각변동이 본격화하면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C커머스의 공습도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 플랫폼이 판매한 제품에서 가품이나 유해물질이 발견돼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유통업계에서는 이들의 공세를 무시하기 어렵다고 본다. 이미 국내 브랜드 업체들이 이들 플랫폼에 입점하면서 품질 논란도 초기보다는 잦아든 편이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 3월 국내에 3년간 11억달러(1조4500억원)을 투자해 물류 인프라를 강화하기로 한 만큼, 쿠팡·네이버 등과 배송 경쟁에도 본격적으로 나설 수 있다. 초저가에 이어 물류 경쟁력까지 확보한 C커머스가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면, 국내 제조·유통 생태계가 중국 업체들에 완전히 종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로 모바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인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종합몰 앱 사용 순위에서는 C커머스의 약진이 확인됐다. 월 사용자수 기준 1위 쿠팡(3129만명)에 이어 알리익스프레스(837만명)와 테무(823만명)가 나란히 2,3위를 차지했다. 4위는 SK그룹 계열의 11번가(712만명), 5위는 G마켓(497만명)이었다. 티몬은 437만명으로 6위, 위메프는 432만명으로 7위였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플랫폼 비즈니스는 적자가 나더라도 시장을 장악하면 상장을 하거나 매각하는 방식으로 출구 전략을 세우는 게 보통이지만, 한국의 이커머스는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중하위 플랫폼들은 출구를 찾기 어려워졌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후발주자가 쿠팡이나 네이버만큼 대규모로 투자해 따라잡기가 이제는 어렵고, 한동안 두 플랫폼의 영향력이 더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