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탄탄대로’ 앞에 ‘물 부족’이라는 암초가 나타났다. 용수·전력 확보 문제가 세계 반도체 제조를 도맡은 한국·대만의 난제이자 새로운 경쟁처로 부각되면서 SK하이닉스도 공공 하수처리장의 물을 가져다 정화해 사용하는 등 해법 찾기에 몰두하고 있다.
24일 SK하이닉스가 공시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4’에 따르면 HBM 대형 생산기지를 건설 중인 충청북도 청주 사업장의 물 스트레스 지수가 ‘고위험’으로 나타났다. 물 스트레스란 세계자원연구소(WRI)의 기준을 바탕으로 해당 지역의 물 부족 현상을 지수화한 것이다. 청주의 물 부족은 전년도에 ‘중간 위험’이었다가 1년 만에 ‘고위험’으로 높아졌다.
청주 M15X 팹은 인공지능(AI)용 메모리로 각광받는 HBM 등 D램 신규 생산기지로 SK하이닉스가 낙점한 곳이다. 회사는 내년 가동을 목표로 이곳에 5조3000억원을 투입해 공장을 짓고 있다. SK하이닉스의 HBM 물량이 내년 생산분까지‘완판’된 가운데, 청주 팹의 용수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HBM 사업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물은 반도체 제조공정의 여러 단계에 사용되는 주요 자원이다. 예컨대 웨이퍼 세정에는 고도 정제된 초순수를 사용해야한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용인 팹 건설 과정에서 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착공이 지연되기도 했다.
SK하이닉스는 향후 발생할 수도 있는 물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국내 반도체업계 최초로 외부 하수처리 재이용수를 도입했다. 반도체 공장에서 쓴 물을 재이용할 뿐 아니라, 하수처리장 등 외부 물을 가져다 정화해 쓴다는 얘기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청주시 공공 하수처리장에서 재이용수를 받아서 사용하며 반도체 공장 대기오염을 걸러주는 스크러버(필터) 등 필수 공정 이외의 인프라에 주로 사용한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SK하이닉스가 강물 등 자연에서 가져온 물(취수)의 양은 1억655만톤으로, 전년 대비 5% 줄었다. 대신 재이용수 양은 5809만톤으로 18% 늘었다. 국내 사업장의 용수 재이용률은 44%로, SK하이닉스의 해외사업장(29%)보다 높다.
삼성전자도 반도체에 필요한 용수가 2030년 현재의 두 배 이상이 될 거로 전망한다. 다만 ‘2030년 취수량 2021년 수준 유지’가 목표다. 반도체 공장을 늘려도 강물·지하수를 더 가져다 쓰지는 않겠다는 의미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2년 환경부·경기도 등과 하수처리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고 수원·용인·화성·평택·오산 등 지자체와 이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을 협의 중이다.
SK하이닉스의 재생 에너지 사용률은 30%로, 전년(29.6%)보다 소폭 증가했다. 회사는 “국내 재생에너지 조달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라고 보고서에 적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처음으로 태양광 직접전력거래계약(PPA)을 SK에코플랜트와 맺었다.
물과 전력 확보는 동아시아 반도체 업계의 공통 난제다. 최근 발간된 S&P 글로벌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반도체 제조는 인구 750만이 사는 홍콩만큼 많은 물을 소비하고 있다. 보고서는 “물 관리를 잘못할 경우 2030년 반도체 생산량의 10%까지 차질을 빚을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반도체 제조 강국인 한국과 대만은 좁은 국토와 높은 인구밀도, 낮은 에너지 자급률이라는 공통의 문제를 안고 있다. TSMC의 상황은 더 심각해 연초 미국 씽크탱크 제임스타운이 “TSMC가 일본 구마모토에 반도체 공장을 지은 이유 중에 대만의 물·전력 부족도 있다”라고 분석했을 정도다. TSMC 반도체 팹의 재생에너지 사용률은 10.4%다(2022년 기준).
SK하이닉스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는 이외에도 인사, 복지 등 내용이 기재됐다. SK하이닉스 국내 신입사원 초임은 월 466만원이며,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40.9시간으로 나타났다. 이직률은 1.8%로, 3년째 감소세(3.8%→ 2.4%→ 1.8%)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