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준비청년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서울시가 5년간 1065억원을 투입한다. 5년만 지원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어릴 때부터 지원하는 게 특징이다. 특기 개발비, 자립 정착금 등 자금 지원은 물론 적은 비용으로 교육을 받을 기회도 제공한다.
서울시는 24일 ‘자립준비청년자립 지원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자립준비청년은 부모가 아닌 아동 양육시설·위탁가정서 지내다 만 18세(보호 연장 시 24세)가 되면 시설에서 나와 홀로서는 청년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엔 지난 5월 기준 자립준비청년 1509명이 있고, 이들 중 평균 150명이 매년 사회로 나온다.
서울시, 자립준비청년 지원 마스터플랜
아동복지법에 따르면 자립 지원 기간은 보호 종료 후 5년까지다. 서울시는 “모든 지원을 일괄적으로 중단하는 5년 이후엔 보호 종료고연차(보호 종료 이후 3~5년 차) 자립준비청년의 정서적 불안도가 높고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2020년 기준 자립준비청년의 월평균 소득은 156만원이다. 35.9%는 주거불안을 경험했고 2명 중 1명(46%)은 우울증이 의심된다. 이 중 24.8%는 자살까지 생각했다.
서울시는 이런 점을 고려해 마스터플랜을 마련했다. 서울시는 마스터플랜에 따라 양육시설 시절부터 홀로서기 과정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일단 자립준비청년 이전인 보호아동 시기부터 개인별 성장·발달을 지원한다. 아동 양육시설 거주 어린이의 흥미·적성을 검사해 예체능(미술·음악·체육 등) 분야에 재능있는 아동을 발굴한다. 연간 100명에게 월 30만원씩 특기 개발 비용을 지원한다.
중·고등학생 시기에는 일대일 진로 설계 컨설팅을 제공한다. 서울시 교육 플랫폼인 ‘서울런’도 수강할 수 있다. 관심 분야 선배를 만나 조언을 듣는 전문가 멘토 특강도 주기적으로 연다. 요리·공과금 납부 등 일상생활을 경험하는 사회연계체험 프로그램도 운용한다.
또 아동 양육시설 유휴공간을 활용하거나 시설을 개조해 2028년까지 1인 1실을 마련한다. 자립 이후 방 꾸미기·청소 등을 통해 나만의 공간을 경험하도록 돕기 위해서다.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을 위한 서울아동힐링센터도 연다. 아동 생활시설 안에 동행정원을 조성해 직접 정원을 가꾸며 심리적 안정을 지원한다.
서울 자립준비청년 1509명…1065억 투입
경제적 자립 지원도 확대한다. 고물가와 주거비용 상승 등을 반영해 자립 정착금 2000만원을 주고, 월 50만원의 자립 수당을 지급한다. 별도로 보호 종료 5년 이내 자립준비청년에게 월세·기숙사비 등 주거비를 월 최대 20만원까지 지원한다. 민간 전·월세, SH·LH 공공임대, 기숙사 거주자가 지원 대상이다.
복권기금을 통해 서울시가 매입한 꿈나눔하우스(주택 22개소) 이용대상도 확대한다. 기존엔 자립준비청년만 입주가 가능했지만, 앞으론 보호 연장 아동도 입주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에게 구직 프로그램을 연결해준다. 보호 연장아동·자립준비청년에게 사전 직무교육과 인턴과정을 제공한다. 실제로 취업에 성공하면 ‘새출발응원금’ 50만원을 지급한다.
민간 후원금으로 2028년까지 총 2억원의 ‘SOS 자금’을 조성해, 자립 지원 기간 종료 이후 긴급위기 상황을 지원할 예정이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부모라는 울타리 없이 홀로 어른으로 성장하는 자립준비청년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부모 마음으로 동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