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디지털 세상 읽기

혁신의 대가, 정보 통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박상현 오터레터 발행인

박상현 오터레터 발행인

최근 뉴욕타임스는 중국이 자율주행차량 개발을 두고 미국과 경쟁하는 모습을 소개했다.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해 극히 제한적인 지역에서만 자율주행 택시를 허용하는 미국과 달리 중국에서는 16개 이상의 도시에서 운전자 없는 택시의 운행을 허가했고, 우한 한 도시에서만 무려 500대의 택시가 돌아다닌다.

실제 운전을 통한 데이터가 필수적인 자율주행차량 개발에서 많은 차량의 운행이 도움이 되는 것을 미국이 모르는 게 아니다. 문제는 사고 가능성이다. 미국에서는 보행자나 다른 차량의 실수로 사고가 나도 자율주행 차량이 개입된 경우 여론이 크게 나빠지고, 따라서 도시들은 자율주행차량의 운행을 허용하는 것을 꺼린다. 반면, 중국인은 미국인에 비해 자율운전차량에 대한 두려움이 적고, 이는 각 도시가 이런 대규모의 실험에 적극적일 수 있는 배경이다.

하지만 기사는 흥미로운 지적을 했다. 중국 사람들이 자율주행차량에 두려움이 적은 데에는 중국 특유의 정보 통제가 한몫을 한다는 것. 중국에서는 국영 매체들이 자율주행차량의 사고를 보도하는 일이 드물고, 중국이 중점적으로 개발하는 신기술에 대한 대중의 공포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온라인에서 관련 소식이 퍼지는 것을 막고 있다고 한다. 국민보다 기업의 이익을 보호하는 셈이다.

신기술, 특히 새로운 운송 기술의 경우 초기 사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기차, 자동차, 비행기 모두 지금에 이르기까지 많은 안전사고를 동반했다. 하지만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을 위해 과연 승객과 보행자가 희생을 각오해야 할까? 근거 없는 소문이 퍼지는 것이 두려워 아예 사고 뉴스를 막아서라도 기술 발전에 매진해야 할까? 그렇게 해서 세계에서 가장 앞선 기술을 갖게 되었을 때 그 열매는 누가 누리게 될까? 민주주의 절차가 빠진 기술의 발전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다.

박상현 오터레터 발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