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자 못갚는 가계·기업 급증…‘깡통 대출’ 27% 늘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고금리·불경기에 은행 대출 이자도 내지 못할 정도로 한계 상황에 내몰린 가계와 기업이 늘고 있다. 특히 원자재 가격이 치솟고 소비 심리는 얼어붙으면서 일부 은행의 기업부문 무수익여신(깡통 대출)이 50% 가까이 증가하기도 했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무수익여신 잔액은 지난해 말 2조2772억원에서 올해 3분기 말 2조8988억원으로 27.3% 급증했다. 같은 기간 4대 은행 총여신 증가율(3%·1295조7838억원→1334조2666억원)의 9배 수준이다. 이에 따라 총여신에서 무수익여신이 차지하는 비율은 0.18%에서 0.22%로 올랐다.

무수익여신이란 은행이 돈을 빌려준 뒤 이자조차 받지 못하는 대출을 의미한다. 3개월 이상 원금 상환을 못 한 경우에 부도·상환능력 약화 등으로 인한 이자미계상 대출을 포함해 산정한다. 고정이하여신(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보다도 손실 우려가 큰 악성 부실 채권이다.

특히 가계보다 기업 부문의 무수익여신 비율이 더 늘었다. 4대 은행의 기업대출 부문 무수익여신은 지난해 말 1조5310억원에서 올해 3분기 말 1조9754억원으로 29% 증가했다. 일부 은행은 5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의 가계대출 부문 무수익여신은 7462억원에서 9234억원으로 23.7% 증가했다.

위험 신호는 곳곳에서 감지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누적 전국 어음 부도액은 4조156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3202억원)보다 무려 214.9%나 급증했다. 1~9월 월평균 전국 어음 부도율도 지난해 0.08%에서 올해 0.25%로 뛰었다. 전국 법원에 접수된 법인 파산은 올해 3분기 기준 1213건으로 전년 동기(738건) 대비 64.4% 늘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한국 기업의 부도 증가율은 약 40%(전년 대비)로 주요 17개국 중 2위였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현재 부실 대출 규모가 아직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다만 고금리 기조가 지속하는 가운데 대출 만기와 상환 압박을 고려하면 내년 상반기가 고비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감원은 향후 연체율 추가 상승 가능성에 대비해 대손충당금 적립,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정리 등으로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은행권의 손실 흡수 능력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