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0.1g 극소량 마약도 찾아내”…해외서 모셔가는 K-탐지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세계 톱클래스, 올 51건 마약 적발

지난달 20일 인천공항본부세관 국제우편통관센터에서 탐지요원(핸들러) 박동민 주무관이 마약이 들어간 우편물을 찾은 마약탐지견 ‘딜론’에게 링 모양의 놀잇감을 주고 있다. 정종훈 기자

지난달 20일 인천공항본부세관 국제우편통관센터에서 탐지요원(핸들러) 박동민 주무관이 마약이 들어간 우편물을 찾은 마약탐지견 ‘딜론’에게 링 모양의 놀잇감을 주고 있다. 정종훈 기자

지난달 20일 오후 4시, 인천공항본부세관 국제우편통관센터. 세 살짜리 마약탐지견 ‘딜론’이 빠르게 돌아가는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분주하게 움직였다. 몇 초 만에 지나가버리는 고위험 해외 우편물의 냄새를 맡기 위해서다. 바로 옆에 선 탐지요원(핸들러) 박동민 주무관도 주기적으로 우편물을 툭툭 치면서 주의를 환기했다.

20분 넘게 우편물 수천 개를 확인하던 딜론은 마약이 포함된 우편물이 나오자 가만히 멈춰 섰다. 박동민 주무관이 우편물 내부를 확인하니 마약이 들어 있었다. “잘했어.” 박 주무관은 딜론을 쓰다듬으면서 ‘더미’라고 부르는 링 모양 놀잇감을 꺼냈다. 그는 “마약탐지견은 마약을 찾는 업무도 일종의 놀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투철한 사명감으로 마약을 찾아내니까 최고의 선별 요원인 셈”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가 내세운 ‘마약과의 전쟁’을 이끄는 숨은 공신은 마약탐지견이다. 2일 관세청에 따르면 딜론을 비롯한 38마리의 마약탐지견이 인천공항 등 전국 공항·항만에 배치돼 활약하고 있다. 사람과 비교해 최대 1만 배까지 후각이 발달한 마약탐지견은 해외에서 교묘하게 밀수하려는 마약을 빠르게 찾아내는 데 특화됐다. 눈으로 보기도 어려운 0.1g 수준의 마약을 탐지할 정도라고 한다. 이렇게 단속한 마약류만 올해 들어 51건, 8.1㎏에 달한다(8월 기준).

지금은 없어선 안 되는 ‘필수 견(犬)력’이지만, 불과 30여 년 전엔 마약탐지견이란 개념조차 없었다. 그러나 1987년 김포공항에서 폭발물 사고가 난 게 터닝포인트가 됐다. 다음 해 열리는 서울올림픽 대비 차원에서 미국으로부터 폭발물탐지견 6마리를 기증받았다. 올림픽이 끝난 뒤엔 이들의 기능이 마약 탐지용으로 전환됐다고 한다.

외국 탐지견들이 들어온 지 36년 만에 한국은 마약탐지견 공여국으로 위상이 바뀌었다. 관세청은 지난 8월 태국 관세총국에서 요청해 마약탐지견 ‘제이크’ ‘조크’ 두 마리를 기증했다. 국내 탐지견이 해외로 진출하는 건 처음이다.

태국으로 간 탐지견들은 과일명을 딴 ‘두리안’ ‘카눈’이란 새 이름을 받았다. 현장에 배치된 지 얼마 안 됐는데 벌써 3㎏이 넘는 마약을 적발했다고 한다.

이처럼 K마약탐지견 실력이 높은 배경엔 탐지견 전담 인력들의 묵묵한 조련이 있다. 23년째 운영 중인 인천 소재 탐지견훈련센터엔 69마리가 모여 있다. 이날 마약탐지견 ‘알파’는 공항 모의 훈련장에서 발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뛰어다녔다. 실제 공항을 본뜬 이곳에서 불과 몇 초도 안 돼 컨베이어 벨트 위 여행 트렁크의 대마 16.4g, 사람 바지 주머니 속 코카인 90g을 감지해 냈다.

물론 탐지견들도 실제 현장에 배치되면 시행착오를 거친다. 수많은 사람이 오가고 돌발 상황도 많은 공항 입국장 등에 적응하려면 반년가량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그래서 탐지요원의 역할이 중요하다. 훈련교관 손을 떠난 마약탐지견은 9~10세쯤 은퇴할 때까지 담당 핸들러와 조를 짜서 함께 근무한다. 그러다 보니 탐지요원은 자신과 함께하던 탐지견이 은퇴하거나 죽으면 눈물을 쏟아내는 경우가 부지기수라고 한다.

올해 24년 차 베테랑인 박동민 주무관은 “탐지견은 나의 파트너이자 직업인이고, 아들딸보다 더 많은 시간을 같이 보내는 가족 같은 존재”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