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분도 할 수 있다"며 장풍 쏘는 포즈를 취한 김관우.
"열정이 있다면, 우리 모두 금메달리스트가 될 수 있다."
'격투게임 고인물(오래된 고수를 뜻하는 게임계 은어)' 김관우(44)가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e스포츠 스트리트 파이터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소감이다. 김관우는 28일 중국 항저우 e스포츠센터에서 열린 대회 스트리트 파이터 V 결승전에서 대만의 샹여우린을 세트 점수 4-3으로 물리쳤다. 김관우는 한국이 e스포츠가 아시안게임에서 따낸 역사적인 첫 금메달의 주인공으로 남게 됐다. e스포츠는 이번 대회를 통해 처음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이 됐다.
한국 선수단은 28일까지 24개의 금메달리스트를 배출했다. 그중 44세 김관우는 최고령 금메달리스트다. 그는 자신의 플레이를 본 40~50대들이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길 바랐다. 김관우는 "이제 우리 뭐 좀 하려고 하면 잘 안 되고, 머릿속에서는 되는데 손은 잘 안 움직이지 않나. 그래도 연습했더니 옛날 실력을 되찾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관우는 마흔넷이 될 때까지 30년 넘게 격투기 게임을 해왔다. 정확히는 36년이다. 어릴 적 담임 선생님한테, 부모님께 혼나면서도 오락실을 드나들며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를 했다. 고수이다 보니 게임에서 진 '무서운 동네 형들'한테 맞을 뻔한 적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어린 시절 같이 게임을 하던 또래들은 하나둘 관뒀다. 그래도 그는 꿋꿋하게 '격투기 게임'이란 한 우물만 팠다. 10대∼20대가 대부분인 e스포츠 선수단에서 유일한 40대이자 최고참 선수다.
e스포츠 전문 게임단에 소속된 프로게이머들이 출전한 리그 오브 레전드(LoL)나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등 다른 종목과 달리, 김관우는 평소 직장생활과 프로게이머 생활을 병행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3년 전 회사를 그만두고 게임 스트리머로 나서며 사실상의 '전업 프로 게이머'가 됐다. 김관우는 ""게임을 왜 하겠나. 재미있으려고 한다. 오늘도 재미있었다"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김관우의 금메달을 예상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한국 e스포츠 첫 금메달은 페이커를 앞세운 LoL 대표팀이 따낼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김관우는 10대 같은 손놀림으로 상대를 압도했다. 김관우는 "지난해 스트리트 파이터 최고 권위 대회인 캡콤컵에서 한국 지역 우승을 했을 때가 내 정점이라고 생각했다.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과연 내가 더 발전할 수 있을까에 대해 스스로 의심을 많이 했다"고 털어놨다.
'스트리트 파이터'는 올해로 36주년을 맞은 대표적인 대전 격투 게임이다. 일본 게임사 캡콤이 1987년 처음 출시했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오락실을 풍미한 '스트리트 파이터 2'를 통해 잘 알려졌다. 최신 작품은 지난 6월 출시된 '스트리트 파이터 6'다. 하지만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는 2016년 나온 전작 '스트리트 파이터 V'로 치러졌다. 그러면서 "결국 부모님은 '너 하고 싶은 거 하라'며 포기하셨는데, 오늘은 금메달 땄으니까 기뻐하실 것 같다"며 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