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체포동의안에 '가결' 표를 행사했다고 밝힌 비명(비이재명)계 의원 2명 중 한 명으로 지목된 5선 중진 설훈 의원이 입장을 밝혔다. 그는 "국회의원은 당론이 아닌 경우 양심에 따라 헌법기관으로서 표결할 수 있다"며 "당론이더라도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라면 개인 양심에 따라 표결을 다르게 할 수도 있는 것이 국회의원의 책무"라고 주장했다. 개인 판단에 따라 지도부와 반대되는 가결을 행하는 것도 국회의원으로서 해야 할 일이라는 것이다.
이날 오전 친명(친이재명)계인 서영교 최고위원은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의원 총회 때 설훈 의원 스스로가 격앙돼 '내가 이재명을 탄핵한 것'이라는 속내를 드러냈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이 대표 체포동의안이 가결 통과된 후 열린 의원총회에선 S, K 등 비명계 의원 2명이 '가결표'를 행사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중 S 의원이 설훈 의원이라는 것이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7월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서울-양평 고속도로 백지화와 관련해 원희룡 국토부 장관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
이에 설 의원은 페이스북에 "확실히 해두자면 당시 동의안의 표결은 당론표결이 아니었다는 것"이라며 "국회의원은 당론이 아닌 경우 양심에 따라 헌법기관으로서 표결할 수 있다. 당시의 동의안 표결은 당론이 아니었기에 해당 행위가 당연히 성립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설 의원은 가결을 행한 것이 '해당 행위'라고 주장하는 당 지도부와 친명계를 향해선 "생각이 다른 의원들을 해당 행위자로 몰아가고 있는 행위 자체가 민주당 분열을 획책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지도부는 민주당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잘 이끌어나갈지를 고민해야 할 임무가 있는 것이지, 상대방을 비난하는 것은 지도부가 해야 할 일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또 "해당 행위 운운하면서 민주당 분열을 가속화하는 언행이나 행위를 멈추고, 민주당의 미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설 의원은 "당론이더라도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라면 개인 양심에 따라 표결을 다르게 할 수도 있는 것이 이른바 국회의원의 책무"라고도 거듭 강조했다.
설 의원은 또 "오히려 당대표가 '불체포특권 포기'라는 약속을 했기 때문에 동의안을 압도적으로 가결하고, 당대표가 당당히 영장실질심사를 통해 살아 돌아오는 것이 당대표와 민주당의 미래를 위해 훨씬 좋은 선택이라는 의견들이 많았다"며 "민주당 국회의원들이 모두 표결 방향은 다르지만 각자 민주당의 미래를 위해 선당후사의 정신으로 표결행위를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민주당은 어느 한 사람이나 어느 한 세력만의 정당이 아니라, 모든 민주당원의 정당이며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는 정당이자 그것이 신익희 선생님, 김대중 대통령님, 노무현 대통령님, 문재인 대통령님과 함께 지속해서 이어온 민주당 정신"이라고 강조하며 당내 결집에 나섰다.
홍영표 "양심·소신에 따른 투표 결과"
또 다른 비명계 4선 홍영표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에 "당론이 아닌 자유투표였고 의원 각자 양심과 소신에 따라 투표한 결과"라며 목소리를 더했다.
홍 의원은 "이번 체포동의안 처리는 국민과의 약속과 신뢰 회복을 앞에 둔 고심의 결정"이라며 "만약 부결되었을 때 쏟아질 방탄정당 비판과 민심의 이반은 회복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가 불체포특권 포기 선언을 뒤집은 것이 체포안 가결이라는 결과를 낳았다는 것이다.
이어 지도부를 향해 "다름을 존중하지 못하는 극단의 부정과 겁박은 우리가 소중히 지켜오고 또 지켜갈 민주당의 참모습이 아니다"라며 "분열을 선동하고 조장하는 행위가 해당 행위, 사법문제 해소가 애당"이라고 주장했다.